jeudi 29 janvier 2009

CORÉE DU SUD • Minerve, prophète ou irresponsable ? - Courrier International / 2009-01-12

L'internaute qui publiait des prévisions économiques gênantes pour le gouvernement a été arrêté. Son interpellation suscite de très nombreuses réactions dans un pays où l'information en ligne joue un rôle de plus en important.

Les autorités sud-coréennes ont incarcéré, le 10 janvier, Minerve, cet internaute devenu célèbre grâce aux analyses économiques qu'il publiait notamment sur le forum de discussion de Daum, un des plus importants portails du pays. L'homme, un chômeur de 31 ans, est accusé d'avoir diffusé des informations fausses, déclarant notamment que le gouvernement coréen avait exercé des pressions discutables sur les établissements bancaires, ayant entraîné des effets regrettables sur la monnaie coréenne, le won. Dans un contexte de crise économique, Minerve avait fait parler de lui en raison de la pertinence de ses pronostics. Il avait notamment prédit l'effondrement de Lehman Brothers et la chute du won. Les internautes, qui lui avaient décerné le titre de "président de l'économie sur Internet", s'interrogeaient avec passion sur l'identité de celui qui se cachait derrière ce pseudonyme.

Leurs réactions à la suite de cette arrestation n'ont pas tardé et sont très nombreuses sur le site du quotidien en ligne OhmyNews dont le rédacteur en chef, O Yon-ho, a publié une lettre adressée à l'inculpé. "Je voudrais vous embaucher comme journaliste permanent et vous demander de vous exprimer sur l'économie en votre propre nom, au lieu d'avoir recours à l'anonymat", lui a-t-il notamment écrit. L'indignation est d'autant plus forte que des révélations se succèdent pour prouver que la mise en cause du gouvernement par Minerve avait quelques fondements. Le quotidien Hankyoreh remarque que "le gouvernement va avoir du mal à échapper au soupçon d'avoir procédé à cette arrestation pour se venger des accusations que
Minerve a portées contre lui en le taxant d'incompétent dans la gestion de la crise."

Beaucoup de questions demeurent sans réponse à propos de celui (ou de ceux) qui utilise(nt) ce pseudo. Certains internautes prétendent que celui qui a été arrêté n'est pas le vrai Minerve. Et ce dernier lui-même, tout en reconnaissant les faits, nie avoir donné l'interview parue sous son nom, il y a quelques mois, dans un mensuel. L'affaire suscite aussi des polémiques au sujet d'Internet et de la liberté d'expression. "Une actrice s'est suicidée il y a quelques mois à cause d'une rumeur qui circulaient sur Internet relative à sa vie privée. (…) Vu sa célébrité, Minerve aurait dû adopter une attitude plus responsable dans ses écrits", a notamment estime Son Tong-gyu, un universitaire, dans les colonnes du quotidien Donga Ilbo.
Eun-jing Jeong

Kim Jong-il veut la dénucléarisation de la péninsule coréenne - L'Express / 2009-01-23

PEKIN/SEOUL - La Corée du Nord est attachée à la dénucléarisation de la péninsule et elle souhaite coexister pacifiquement, a déclaré vendredi le dirigeant nord-coréen Kim Jong-il dont les propos sont rapportés par l'agence Chine nouvelle.
Selon des propos rapportés par l'agence Chine Nouvelle, Kim Jong-il a déclaré vendredi que la Corée du Nord était attachée à la dénucléarisation de la péninsule et souhaiter coexister pacifiquement. Le dirigeant nord-coréen a reçu vendredi Waing Jiarui (à gauche), chef du département des relations internationales du Parti communiste chinois, précise l'agence officielle. (Reuters/KCNA)

Selon des propos rapportés par l'agence Chine Nouvelle, Kim Jong-il a déclaré vendredi que la Corée du Nord était attachée à la dénucléarisation de la péninsule et souhaiter coexister pacifiquement. Le dirigeant nord-coréen a reçu vendredi Waing Jiarui (à gauche), chef du département des relations internationales du Parti communiste chinois, précise l'agence officielle. (Reuters/KCNA)

Kim s'est entretenu avec Waing Jiarui, chef du département des relations internationales du Parti communiste chinois, qui s'était déjà rendu à de nombreuses reprises en Corée du Nord par le passé, précise l'agence officielle.

Il s'agirait de la première entrevue entre un diplomate étranger et Kim depuis l'accident vasculaire dont, selon des responsables américains et sud-coréens, le numéro un nord-coréen aurait été victime en août dernier.

La dernière fois que Kim avait reçu un invité étranger remontait au mois de juin dernier, avec la visite du vice-président chinois Xi Jinping à Pyongyang, a rappelé le ministère sud-coréen de l'Unification.

"La Corée du Nord ne veut pas voir de tensions surgir dans la péninsule et elle veut renforcer la consultation et la coopération avec la Chine pour faire progresser les discussions à six", a dit Kim en faisant allusion aux discussions multilatérales destinées à convaincre Pyongyang de renoncer à son programme nucléaire en échange d'aide.

A Washington, Robert Wood, porte-parole du département d'Etat, a qualifié de "bonne chose" les propos prêtés à Kim, tout en rappelant que la Corée du Nord a déjà accepté il y a plus de trois ans de renoncer à ses programmes nucléaires.

"Si vous remontez à septembre 2005, les Nord-Coréens ont accepté de prendre plusieurs mesures contribuant à la dénucléarisation de la péninsule coréenne, de sorte que nous espérons voir le Nord adhérer à ce qu'il a accepté", a-t-il dit lors d'une conférence de presse.

Les propos de Kim, qui n'ont pas été repris par les médias nord-coréens, tranchent avec la rhétorique incendiaire de ces mêmes médias à l'encontre de la Corée du Sud et de son président.

MAIN ENFLÉE

La Corée du Sud a placé la semaine dernière son armée en état d'alerte à la suite de menaces proférées par Pyongyang qui avait évoqué un possible conflit dans les eaux au large de la côte ouest de la péninsule, que se disputent les deux pays et qui ont déjà été le théâtre de batailles navales meurtrières.

Chine nouvelle écrit que Kim a "accepté avec chaleur" une invitation à se rendre en Chine contenue dans une lettre adressée par le président Hu Jintao à l'occasion du Nouvel An lunaire.

La télévision d'Etat nord-coréenne KRT a diffusé quinze photographies de la rencontre entre Wang et Kim, qui semble avoir perdu du ventre. Les deux hommes, assis, sont en discussion et portent ensuite des toasts lors d'un déjeuner.

Sur les photos diffusées par l'agence Chine nouvelle, la main gauche de Kim paraît singulièrement enflée.

Les médias officiels nord-coréens ont rapporté au cours des derniers mois plusieurs visites de Kim dans des installations de l'armée, des usines ou des fermes, mais aucune source indépendante n'est venue confirmer ces informations et aucune preuve n'a été fournie quant à la date de ces visites.

Selon les analystes, la rencontre avec Wang participe des efforts destinés à montrer que Kim, en tant que chef de l'Etat, tient bel et bien les rênes du pouvoir, alors que le pays s'achemine vers l'élection, le 8 mars, de l'Assemblée populaire suprême, au cours de laquelle le numéro un devrait être confirmé comme le leader incontesté des forces armées et de l'Etat.

"C'est un événement public majeur, auquel il se doit de prendre part", explique Cho Min, de l'Institut sud-coréen de l'Unification nationale, qui est spécialiste de la scène politique nord-coréenne.

Selon un journal proche de Pyongyang, le Choson Sinbo, dans son édition publiée mercredi à Tokyo, la Corée du Nord est disposée à collaborer avec le nouveau président américain Barack Obama dans la recherche d'un règlement du différend nucléaire opposant les deux pays.

Avec Jon Herskovitz et Kim Junghyun à Séoul, Chris Buckley à Pékin, Arshad Mohamed à Washington, version française Grégory Blachier, Eric Faye, Guy Kerivel et Nicole Dupont

Corée du Nord : Kim Jong-il aurait choisi son troisième fils pour successeur / Le Monde / 2009-01-15

Kim Jong-un pour succéder à Kim Jong-il. A en croire l'agence de presse sud-coréenne Yonhap, qui cite des "sources bien informées des services de renseignement", le troisième fils du "Cher leader" nord-coréen a été choisi par son père pour prendre sa suite. Selon Yonhap, Kim Jong-il a émis une "directive, vers le 8 janvier, dans laquelle il désigne Jong-un comme son successeur à la tête du Parti des travailleurs".

La désignation de Kim Jong-un, âgé de 24 ans, n'était pas attendue par les analystes, son frère aîné Jong-nam, 37 ans, faisant figure de favori. Les avis étaient cependant partagés sur les chances respectives des trois fils Kim. Certains analystes citaient comme favori Jong-chul, le deuxième fils, âgé de 27 ans, jugeant que son aîné Jong-nam, fils "illégitime", n'avait aucune chance.

La question de la succession de Kim Jong-il se pose avec acuité alors que l'état de santé du dictateur nord-coréen fait l'objet de spéculations. Selon des responsables sud-coréens et américains, Kim Jong-il a été victime d'une attaque cérébrale mi-août, mais a depuis récupéré et garde toujours le pouvoir à Pyongyang. En place depuis 1997, soit trois ans après la mort de son père, Kim Jong-il n'a de fait jamais indiqué qui de ses trois fils, ou des hauts dirigeants nord-coréens, pourrait être à même de reprendre le flambeau.

“탈북자 5만 명의 고통, 한 사람이라도 만나 들어보라” - 중앙일보 / 2009-01-23

[김환영 기자의 글로벌 인터뷰] 내셔널 지오그래픽에 ‘북한 탈출’ 쓴 톰 오닐 수석 기자

미국 사람이 이사할 때 다른 건 다 버려도 성경책과 내셔널 지오그래픽은 반드시 챙긴다는 이야기가 있다. 1888년 창립된 내셔널 지오그래픽 협회가 발행하는 이 잡지는 똑똑한 사람들, 오피니언 리더들이 보는 잡지로 정평이 나 있다. 협회 창설의 목표는 ‘지리 지식의 보급’이다. 여기서 지리 지식은 넓은 의미다. 이 잡지의 내용은 자연·과학·역사·사회 등과 관련된 내용을 포괄한다.

내 셔널 지오그래픽은 2월 1일 발매될 2월호에서 ‘북한 탈출(Escape from North Korea)’이라는 제목으로 탈북자 문제를 26쪽에 걸쳐 다뤘다. 미국 정가와 지성계에 상당한 영향력이 있는 잡지인 만큼 파장이 예상된다. 다른 매체와 마찬가지로 내셔널 지오그래픽도 기사 내용과 발행 시점을 영향력 극대화 차원에서 결정한다. 기사 발행 시점이 버락 오바마 행정부 출범과 맞물려 북미관계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줄 것이다.

‘ 북한 탈출’ 기사는 내셔널 지오그래픽의 수석 기자로 나이지리아 석유, 일본 사무라이, 그림 형제 등 다양한 주제를 다뤄온 톰 오닐이 썼다. 오닐은 2003년 한국전쟁 종전 50주년을 맞아 ‘비무장지대(DMZ)’ 기사를 썼다. 신혼부부로 가장한 오닐과 부인 이소영씨는 탈북자 3명이 천기원 목사가 설립한 두리하나선교회의 도움으로 중국을 출발해 라오스~태국을 거쳐 한국에 도착하는 과정을 동행 취재했다.

오닐의 부친은 한국전쟁 중 북한에서 미군 포로 생활을 하다 사망했다. 그래서 오닐은 각별한 사명감으로 취재에 임했다고 한다. 워싱턴 DC 인근에 사는 오닐 수석 기자와 전화로 인터뷰 했다. 다음은 인터뷰 요지.

-한국 사람은 탈북자 문제의 심각성을 알고 있으나 일반 시민이 할 수 있는 일은 한계가 있다. 게다가 최근 경제위기로 탈북자 문제를 걱정할 여유가 없다. 탈북자 문제에 대해 한국 사회가 보다 적극적이 되려면 무엇이 필요한가.

“ 탈북자들을 직접 만나 이야기를 들어야 한다. 중국에 머물고 있는 5만 명 이상의 탈북자는 심각한 위협에 처해 있다. 그들 중 75%가 여성이며 상당수가 구금 상태에서 온라인 음란 채팅 등의 힘든 일을 하며 연명하고 있다. 현재까지 1만500명, 매년 2000명의 탈북자가 한국에 오는 데 성공했다. 그들은 한국 사회 내에서도 고립돼 있으며 아직도 두려움을 떨쳐 버리지 못하고 있다. 동포가 겪고 있는 고통에 대해 한국 사회가 보다 깊게 공감하고 많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대화가 필요하다. 한국인과 만나 이야기하는 것 자체가 탈북자들의 고립감과 두려움을 치유할 수 있는 좋은 수단이다.”

-탈북자 문제에 대해 오바마 대통령은 어떻게 나올 것인가.

“ 오바마는 탈북자 문제에 이미 깊은 관심을 갖고 있다. 지난해 5월 재미 한국 기독교 단체에 서한을 보내 탈북자들이 국제법에 따라 인권을 보장받고 정당한 보호를 받아야 한다는 점을 역설했다. 오바마가 공언해 온 대로 북·미관계 정상화를 위한 대화의 전제조건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오바마 행정부는 북핵 문제뿐만 아니라 인권 문제가 포함된 포괄적 협상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오바마 시대를 맞아 중국은 탈북자 문제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

“ 온 세계가 중국을 주시하고 있다. 중국은 투명하게 자국 내 인권 문제를 처리해야 할 입장에 있다. 이번 기사는 지난해 베이징 올림픽 즈음에 실어 탈북자 문제를 중국의 인권 문제 차원에서 제기할 예정이었으나 일정이 늦어졌다. 중국은 체면을 중시하는 나라이기도 하다. 탈북자 문제를 유엔이 모니터링하는 것을 원할지 모른다.”

-지미 카터 전 대통령의 인권외교는 그리 인기 있는 정책이 아니었다.

“팔레스타인-이스라엘 문제로 인권이 중대 사안으로 급부상하지는 않을 것이다. 지난 행정부에선 미국의 도덕적 위상이 훼손됐다. 인권 문제는 미국이 위상을 회복하는 과정에서 제기될 수 있다.”

-‘북한 탈출’ 기사는 어떤 파장을 일으킬 것인가.

“ 내셔널 지오그래픽은 영향력 있는 매체인 데다 본사가 워싱턴DC에 있다. 관료와 상·하원 의원들이 읽는 잡지다. 특히 환경·인권 분야 기사는 영향력이 크다. 우선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을 심각하게 보는 계기가 될 것이다. 김정일은 미국에서 코미디 프로의 소재다. 그가 지닌 위험성을 일반 미국인은 잘 모른다. 그가 통치하는 북한에는 30만 명의 정치범이 수용소에 수감돼 있다. 이번 기사는 어떤 현상을 추상적으로 다루고 있는 게 아니라 3명의 실존 인물을 통해 생생한 이미지를 전달하고 있다. 미국인은 사람 이야기에 관심이 높다. 언론이 여론을 조성해 탈북자 문제를 쟁점화하면 북한 인권·탈북자 문제를 전담하는 특사가 임명될 수도 있다. 내셔널 지오그래픽은 매달 세계 각국에서 31개판 1000만 부가 팔리는 잡지다. 탈북자 문제가 세계적 공론의 장으로 나오게 됐다. 나는 이 기사와 관련해 라디오 등 언론 매체와 인터뷰 일정이 잡혀 있다.”

-기사가 악영향을 미치지는 않을까.

“ 진실이 감춰졌을 때 그 진실을 드러내는 것이 거의 항상 더 좋은 결과를 낳는다는 것이 언론매체의 역사가 말해 주고 있다. 물론 탈북자나 탈북자를 돕는 기독교 선교단체 등 그 누구에게도 피해가 없도록 최선을 다했다. 불행히도 탈북자들이 처한 곤경은 더 이상 나빠질 것이 없다는 게 현실이다. 중국의 경우 해외 언론이 어떤 문제를 다뤄 주기를 바라는 경향도 있다.”

-이번 기사에서 부인인 이소영씨가 수행한 역할은.

“내 처가 없었으면 이 기사도 나올 수 없었다. 그는 우리 모두를 결속하는 역할을 했다. 탈북자 3명과 선교단체 관계자들과 신뢰를 쌓는 데 크게 기여했다. 내가 키 큰 서양인이라서 그런지 탈북자들은 처음에 나를 무서워했다.”

-한국에 대한 다른 기사를 준비 중인지.

“ 산삼에 대해 다룰 예정이다. 한국이 개방적이며 생동감 있는 나라이기 때문에 내셔널 지오그래픽 사진 작가들도 한국을 취재하는 것을 좋아한다. 한국에 대한 내셔널 지오그래픽의 관심은 꾸준했다. 한국전쟁에 참전한 바 있는 편집장도 있었다. 현 편집장인 크리스 존스도 북한 취재를 성사시키기 위해 여러 번 시도했다. 최근 중국의 부상에 따라 미국인은 중국뿐만 아니라 그 주변 국가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게 됐다.

요즘은 미국에서 음식·영화 등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일본 문화에 대한 관심을 추월하는 경향마저 있다. 미국과 한국의 관계는 군사·안보 문제에 집중되던 시대가 가고 이제는 정치적으로나 경제적으로 공통의 가치를 공유하는 관계로 발전했다.”

김환영 기자·스탠퍼드대 정치학 박사 whanyung@joongang.co.kr

“한국 민족주의, 흑백논리 숨어있다” - 중앙일보 / 2009-01-21

민족에게 민족주의는 가장 강렬한 ‘자아 인식’인 동시에 처절한 ‘피아(彼我) 인식’이다. 19세기 외세의 위협, 20세기 식민주의와 동족상잔을 겪으며 ‘민족’의 이름으로 적과 동지를 가르는 피의 전선(戰線)이 그어졌다. 신기욱(사진) 미국 스탠퍼드대 사회학과 교수는 “한국의 민족주의가 식민지 극복과 근대 국가 형성에 많은 공헌을 한 것은 사실이지만 다양한 견해와 토론을 제약하고 흑백논리적 역사의식을 가져온 점도 알아야 한다”고 말한다. 또 그는 “파시즘적 민족주의 국가로서 북한은 과거 일본의 ‘천황제 군국주의’ 국가와 가장 유사하다”고 평가했다.

신 교수는 스탠퍼드대 아시아·태평양연구소(APARC) 소장도 맡고 있다. 한국에서 대학을 나와 미국 주류 학계에 자리 잡은 학자다. 한국 민족주의의 안과 밖을 균형 있게 판단할 수 있는 입장에 서 있다. 그의 영문 저서가 『한국 민족주의의 계보와 정치』(창비)란 제목으로 번역돼 나온다. 잠시 한국을 찾은 신 교수를 21일 만났다.

-한국의 강렬한 민족주의가 보수·진보 논쟁의 사상적 결핍을 낳았다고 지적했다.

“ 한국 사회가 근대로 이행할 때 다양한 사상들이 들어왔다. 서구 자유주의 사상도 있었고, 안중근의 ‘동양평화론’ 같은 범아시아주의도 있었다. 하지만 제국주의 위협과 식민지를 거치며 뿌리 내리지 못했다. 대신 민족주의가 강하게 자리 잡았다. 한국에서 민족주의는 역사적 필연이 아니라 사회·역사적 산물이다. 자유주의의 뿌리를 갖고 있는 서구의 진보·보수와 달리 한국의 보수·진보는 민족주의에 과도하게 기대어 그 힘을 발휘했다.”

-어쨌든 ‘민족주의’가 승리한 사상으로서 살아 남은 것 아닌가.

“100 여 년 전 문명 개화론·동양주의·민족주의의 경쟁 구도는 지금의 세계화론, 동북아 공동체론, 민족주의와 유사하다. 역사적 상황이 바뀌면 국가 전략도 달라져야 한다. 한국 사회에선 과도한 민족주의가 보수·진보의 사상적 빈곤을 초래했다. 보수는 ‘민족 번영’을 위해 근대화를 추구했지만 자유주의의 기반이 약해 독재를 지지했다. 진보는 정권과 민족주의 선명성 경쟁을 하는 과정에서 친북·반미주의로 기울기도 했다. 보수·진보 모두 시민적·보편적 자유주의가 결여돼 있다.”

-민족주의는 남북 양 체제에서 역사 연구를 왜곡했다고 했는데.

“ 민족주의 담론은 식민사관 극복이라는 당위성에서 출발했다. 그 긍정적 역할의 이면에는 다양한 견해를 억압하는 흑백논리가 숨어 있다. 식민주의를 착취와 저항의 이분법적 구도로만 봐선 당시 식민지 사회의 다양한 모습을 읽어낼 수 없다. 북한의 경우 민족주의가 주체사상으로 연결돼 교조적 역사 인식에 빠졌다. 북한 체제는 일본 군국주의처럼 ‘천황’의 자리에 ‘김일성’이 놓인 파시즘적 ‘가족국가’라고 할 수 있다. 김정일 이후로는 아마 김씨 집안을 상징적인 지도자로 남겨두고 군부가 실권을 가질 가능성이 크다. 이렇게 되면 전전(戰前)의 일본과 더 비슷해진다.”

-다문화 사회에서 필요한 ‘민족주의’는 어떤 건가.

“ 혈통 중심의 민족 개념을 재고해야 한다. 저출산·고령화 시대에 한국 사회 특유의 역동성을 유지할 국가 전략이 필요하다. 외국인 이주민과 혈통을 떠나 민주국가의 동등한 시민으로서 함께 살아가는 ‘시민적 민족 정체성’이 필요하다. 통일 이후의 사회통합 논리이기도 하다.”

-APARC 소장으로서 오바마 시대의 한·미 관계는 어떻게 전망하나.

“북한이 제일 두려워하는 것은 ‘잊혀지는 것’이다. 경제위기, 중동 사태 등으로 북한 문제는 오바마 정부의 우선 순위에서 밀릴 가능성이 크다. 단기적으로는 북한이 도발을 선택할 우려가 있다. 한·미 양국은 앞으로 4년간 대통령의 임기가 일치한다. FTA 비준 등 첨예한 문제가 있지만 양국 관계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배노필 기자

미네르바현상은 시대상의 반영 - 오마이뉴스 / 2009-01-08

미네르바의 진짜 죄목, 권력의 시샘이다
범법자를 양산하는 정권
출처 : 미네르바의 진짜 죄목, 권력의 시샘이다 - 오마이뉴스

이래헌 (sasarang)

미네르바현상은 시대상의 반영

훗날 읽게 될 한국사에서 2008년 한국의 경제대통령으로 불렸던 미네르바현상은 어떻게 기록되어 있을 것인가?

CEO 출신 대통령이나 경제 각료 그리고 국내외의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은 경제 전문가들이 최첨단 정보와 시스템으로도 예측하지 못한 거시경제의 동향을 일개인이 족집게처럼 예측한 것은 실로 놀라운 일이다. 결과만 놓고 본다면 미네르바의 경제에 대한 예측은 과학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신기(神氣)에 가깝다. 마치 기상청이 수많은 기상전문가와 수퍼컴퓨터로도 예측하지 못한 엄청난 자연재해를 야생 동물들이 먼저 느끼고 대피에 나선 격이라고나 할까?

세계의 정보망을 연결한 거미줄(WWW), 특히 정보화에 관한 인프라가 가장 잘 갖추어진 한국의 각 사이트 마다 사회 전 분야에 대한 갖가지 게시물들이 홍수를 이루고 있다. 미네르바는 단지 수많은 네티즌 중의 한사람이며 그의 놀랍도록 정확한 예측 역시 수많은 게시물 중의 하나였던 것이다. 물론 이런 말을 하는 이유가 그의 예측이 소 뒷발질에 쥐 잡은 것이거나 우연의 일치 등으로 폄훼하기 위함이 아니다. 단지 아무리 복잡한 변수가 난마처럼 엮여 있다할지라도 그 방법이 정확한 분석에 의한 결과물이던 놀라울 만큼 뛰어난 감각이던간에 모든 변수를 꿰뚫고 결과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사람이 한명쯤은 있는 것이다.

월드컵 모든 경기의 승패를 맞추었다던지 주요 스포츠 경기에서 승패 뿐 아니라 스코어까지 정확하게 맞추어 거액의 당첨금을 받는 일 등이 이와 비슷한 사례일진데, 일반인에게 있어서 미래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일은 틀리는 것이 본전, 맞추면 그야말로 대박을 맞는 일이다. 이러한 예를 드는 것이 조금은 부적절하다고 생각한다. 이 부분이 미네르바의 경제에 대한 예측이 스포츠 승패를 맞추는 것처럼 우연한 적중이라고 주장하고자 하는 바가 아니므로 이점 오해가 없기를 바란다.

2008년 한국 사회에서 미네르바 신드롬이 일어난 것이 바로 이런 까닭이다. 이명박 정권은 유가폭등과 환율폭락 같은 사태에 제대로 대비하지 못했을 뿐 아니라 경제 위기에 대해서 어떻게 대처하며 어떤 방법으로 탈출할 것인지에 대해 신뢰할 만한 대책을 전혀 제시하지 못한 채 대통령의 발언은 “위기다.” “아니다”를 오락가락 했다가 “세계에서 가장 먼저 경제위기 탈출하겠다.” 같은 허황된 발언으로만 일관하니 불신이 극에 달한 대중은 구체적인 자료를 조목조목 제시하며 차분하게 앞날을 예측하는 미네르바의 주장에 더 큰 신뢰를 가지게 된 것이다.

저지르지도도 않은 죄를 미리 처벌하기로 한 검찰

보도에 의하면 미네르바로 추정되는 인물이 지난 6일 체포되었다고 한다. 검찰은 그가 올린 수 백 개의 글을 검토한 결과 지난달 29일에 올린 글에서 "정부가 긴급업무명령을 통해 금융기관과 수출입 관련 주요 기업에 달러 매수를 금지하도록 했다"고 주장한 부분을 정보통신기본법상 허위사실 유포 행위로 보고 처벌하겠다는 방침을 정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여기에 정황이 맞지 않는 부분이 있다. 검찰이 미네르바를 검거하기 위해 추적을 시작한 것은 보다 오래전이었다.

미네르바가 허위사실을 유포했다는 검찰의 법리가 맞다거 하더라도 미네르바가 허위사실을 유포한 것은 12월 29일인데 문제의 글을 올리기 훨씬 전인 11월 3일 김경한 법무장관은 이미 그에 대한 수사를 시사했고, 그때부터 검찰은 그에 대한 추적을 시작한 것으로 보여 진다. 검찰의 미네르바에 대한 추적과 처벌과정이 여타 시국사건들과 마찬가지로 [선 처벌결정 후 혐의 입증]의 전형으로 기획수사나 표적수사의 혐의를 짙게 하는 부분이다.

이 부분에 대해서 “검찰이 왜?”라는 질문은 상투적이다. 모든 기획수사나 표적수사가 그렇듯이 권력의 구미에 맞으면 집요하게 추적하는 것이 권력의 주구들이 가지는 일반적인 관성이기 때문이다. 그의 학력이나 경력 연령 등은 현상의 본질과 무관하다. 미네르바 현상의 본질은 정부가 가져야 할 경제 정책의 신뢰를 한 개인이 독점한 것에 대한 권력의 시샘이며 보복이고, 정부 정책에 대한 대중의 지지를 훔치기 위한 치졸한 기망(欺罔)이기도 한 것이다.

도적을 양산하는 사회

조선 명종 시대를 뒤흔든 임꺽정(林巨正)은 백정 출신이었다. 그가 처음부터 도적이 된 것은 아니었다. 그는 젊은 시절에 천대받던 신분임에도 불구하고 구국을 위한 일념으로 왜구 토벌을 위한 전투에 의병으로 참가하기도 했었다. 뛰어난 무용으로 전투에서 크게 활약한 임꺽정은 승전 후 공을 나누는 자리에서 큰 공을 세우고도 천한 백정이라는 이유로 오히려 멸시를 받았다. 백정 신분으로는 나라를 위해 싸울 수도 없었던 것이다. 훗날 그가 황해도와 경기도 황해도 강원도 일대를 장악하고 관청을 습격하는 등 맹활약 했지만 관군은 3년 만에야 겨우 이를 진압할 수 있었다.

명종실록에 사가(史家)들은 임꺽정의 난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적었다.

“도적이 성행하는 것은 수령의 가렴주구 탓이며 수령의 가렴주구는 재상이 청렴하지 못한 탓이다. 지금 재상들의 탐오가 풍습을 이루어 끝이 없기 때문에 수령은 백성의 피와 땀을 짜내어 권세가를 섬기고 돼지와 닭을 마구 잡는 등 못하는 짓이 없다. 그런데도 곤궁한 백성들은 하소연할 곳이 없으니 도적이 되지 않으면 살아갈 길이 없는 형편이다. 그러므로 너도나도 스스로 죽음의 구덩이에 몸을 던져 요행과 겁탈을 일삼으니, 이 어찌 백성의 본성이겠는가? 진실로 조정이 청명하여 재물만을 좋아하지 않고 어진 사람을 가려서 수령으로 임명한다면, 칼을 잡은 도적이 송아지를 사서 농촌으로 돌아갈 것이니 어찌 이토록 거리낌없이 사람을 죽이겠는가? 그렇게 하지 않고 군사를 거느리고 도적을 뒤쫓아 잡기만 한다면, 아마 잡는 대로 또 일어나 장차 다 잡지 못할 지경에 이르게 될 것이다.”

훗날 역사는 말할 것이다.

집권기간 동안 평균 7% 경제성장과 400만개의 일자리 창출 그리고 세계 7위의 경제대국을 달성하겠다는 공약으로 압도적 지지를 받아 집권했던 정권이 출범 첫해부터 공약달성은 고사하고 산업화 이후 최악의 경제 위기에 직면한 한국 사회에서 미네르바 같은 인물의 출현은 필연적이었다. 권력이 신망을 잃으면 갖가지 비약과 추측이 난무하는 것은 인지상정인데 이를 권력의 힘으로 억제하려하면 할수록 추측은 억측으로 비약하기 마련이다.

무능하고 부패한 인사를 퇴진시키고 청렴하고 능력있는 인물에게 중책을 맡긴다면 억측은 잦아들고 대중은 정부를 신뢰하게 된다. 스스로의 무능을 개선하지 않은 채 처벌만을 능사로 여긴다면 대중은 처벌하는 대로 또 다시 일어날지니 대한민국 전체 대중이 범법자가 되고 말 것이다.

출처 : 미네르바의 진짜 죄목, 권력의 시샘이다 - 오마이뉴스

아고라 경제논객 SDE "미네르바 체포, 명백한 불법" - 머니투데이 / 2009-01-08

다음 아고라에서 미네르바와 함께 이름을 날렸던 논객 SDE가 9일 미네르바 체포에 대해 "명백하게 표현의 자유에 대한 탄압"이라고 주장했다.

SDE는 이날 머니투데이와 이메일 인터뷰를 통해 "지난해 12월 29일 글이 문제가 됐다면 여기에 대한 기획재정부의 고소 또는 고발이 있어야 한다"며 "재정부가 고소고발을 하지 않았다면 미네르바 체포는 명백한 불법"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미네르바가 해당 글이 잘못됐다고 인정한 이상, 고소고발이 없다면 참고인 자격으로 조사해야 한다"며 "현재 벌어지고 있는 사태는 헌법에 규정된 표현의 자유 제 21조에 의거해 불법이며 미네르바는 무죄"라고 주장했다.

같은 인터넷 논객으로서 미네르바에 대해 평가해달라는 질문에는 "미네르바의 주장은 경제학을 공부한 사람이라면 얼마든지 추론해낼 수 있는 지극히 정상적인 논리"라며 "논리적으로 미네르바의 주장은 상당히 타당하다"고 답했다.

다만 "100% 사실이라고 확신하고 있는 내용도 나중에 보면 사실이 아닌 경우가 많아 조심스럽게 행동하려고 노력한다"며 "미네르바는 나에 비해 직설적으로 표현했는데, 좀 더 깊이 생각하고 표현했으면 좋지 않았을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인터넷 논객으로서 자기 의견을 펼치기 어려운 점이 있냐는 질문에는 "한국사회의 문화적 특성상 표현을 직설적으로 하기 어렵고, 이름이 알려지면 실제 업무에 지장이 발생하기도 한다"고 답했다. 하지만 "아직까지 국가기관에서 직접 연락한 적은 없다"고 말했다.

SDE는 포털사이트 다음 아고라에서 유명한 논객 가운데 한 명. 지난해 11월 서지우라는 필명으로 '공황전야'라는 제목의 책을 내기도 했다. 미네르바만큼 언론에 이름을 알리지는 않았지만, 아고라 내에서 그의 인기는 미네르바와 필적한다.

SDE는 1998년 비선형 확률제어로 공학박사 학위를 받았고, 현재 공학계열 연구소에서 10년째 연구원으로 몸담고 있다. 대학원 재학시절부터 꾸준히 국제경제와 파생금융상품 등 실물경제를 연구해왔고, 90년대 말부터 인터넷과 다양한 매체에 경제 관련 분석글을 기고해왔다.

SDE가 바라보는 한국 경제의 앞날도 미네르바의 시각만큼 어둡다. SDE는 "오는 11월과 12월을 제외하고는 거의 마이너스 성장을 계속할 것으로 보인다"며 "정부의 무제한적 금리인하와 재정적자는 4분기에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또 "2011년이나 2012년까지 미국 등 주요 선진국의 경기가 살아날 가능성이 높지 않은 상황"이라며 "비정규직이 늘어나는 현실은 내수 위축을 불러와 한국 경제에 큰 타격을 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국사회 ‘돈’ 인식변화 정리 - 한겨레 /2009-01-09

그것이 알고 싶다(S 밤 11시10분)=<그것이 알고 싶다>가 700회를 맞아 2부작 특집을 2주에 걸쳐 방송한다.

지난 16년 동안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 다루어진 돈 관련 소재에서 드러난 우리 사회의 돈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정리하고, 2009년 돈을 주제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우리나라 사람들이 보이는 ‘돈 철학’이 어떤 것인지 알아본다. 설문 결과 10억원 이상이면 가족, 친구와의 관계를 끊을 수도 있다고 답한 사람이 53%였다.

10일 방송되는 1부는 ‘돈 나라 사람 나라’, 17일 방송되는 2부는 ‘얼마면 만족하시겠습니까’가 각각 주제다. 1부에서는 시간이 없어 컵라면을 먹으며 쉴 새 없이 주식을 사고파는 억만장자와 일찍부터 돈에 눈을 떠 동급생들에게 사채놀이를 하고 있다는 한 초등학생, 병원비 10만원이 없어 야반도주했다가 30년이 지난 뒤 50만원을 들고 나타난 폐지 줍는 박아무개(80) 할머니 등 다양한 인간 군상들의 모습을 들여다본다.

하어영 기자 haha@hani.co.kr

[테마진단] 한국 사회의 거울, 미네르바 신드롬 - 매일경제 / 2009-01-08

불안감이 `확신 편향` 부채질
정치답답함이 허상을 우상화


지난 몇 달간 이름과 신분을 숨긴 채 `경제대통령`으로 불리면서 화제의 중심이 되어 왔던 인터넷 경제논객 미네르바가 30대 남성이란다. 개인적 신상도 그가 그간 밝혀 왔던 정보와는 어느 정도 거리가 있었다.

미네르바는 일찌감치 몇 가지 굵직한 경제적 사안을 잘 짚어 냈다. 리먼브러더스 부실화나 환율 변동 등을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하긴 했다. 그러나 기본적인 경제학 개념이 틀리기도 했고 논리적 근거 없이 내놓은 섬뜩한 예측도 있었다. 어쩌면 전문가들은 갸우뚱했을지는 모르겠지만, 우리 사회 많은 이들은 그의 주장에 강한 신뢰감을 가지고 있었다.

인간의 주의집중력과 기억창고는 그 용량에 한계가 있다. 이런 제한된 심리적 자원으로는 완벽한 정보처리가 어렵기 때문에 때로 오류에 빠지기도 한다. 초기에 적중한 미네르바의 몇 가지 예측은 사람들 머릿속에 일종의 `가용한 정보`로 강렬한 인상을 주었다.

특히 인간은 여러 가지를 꼼꼼히 비교해서 판단하기보다는 떠올리기 쉬운 가용성에 이끌려 판단하고 사고하는 경향이 있다. 처음의 정확한 예측이 강렬한 인상을 주었기에 이후 주장을 판단하는 데도 이러한 인상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인지적 절약성은 쉽고 빠르게 옳은 판단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되기도 하지만 때론 오류에 빠지게 만든다. 이 때문에 사람들 머릿속에 미네르바는 틀린 예측보다는 정확한 예측을 내놓는 존재로 자리 잡은 이후 사람들은 그를 그대로 신뢰했던 것이다. 더욱이 인간은 믿는 바나 바라는 바를 지지하는 정보는 진위에 상관없이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믿는 반면, 그에 반대되는 것은 눈여겨볼 가치도 없다고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 바로 `확신 편향` 심리다. 이러한 확신 편향은 불안한 상황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공고하다고 생각했던 미국 경제 위기와 일관성 없는 경제 정책을 내세운 정부에 대한 불신은 미네르바 주장에 대한 사람들의 확신 편향을 부채질하는 중요한 요소였다. 이번 사건은 우리 사회가 이러한 비합리적 사고에서 결코 자유롭지 못함을, 오히려 그러한 편향에 휘둘림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또한 사회가 불안할수록 진실은 밝고 공식적인 곳에 있는 것이 아니라 어둡고 비공식적인 곳에 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바로 `루머`의 힘이다. 물론 일반대중에게 공식적으로 전달되는 정보량이 적고 그 경로가 한정적이었던 과거에는 루머를 아는 것이 정보적 가치가 있었다. 그러나 다양한 정보가 제공되는 현대사회에서는 그 가치가 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불안한 상황과 불신이 만연한 사회에서 사람들은 공식적인 정보보다는 비공식적인 정보에 귀를 기울이게 되는 것이다. 더욱이 방대한 정보를 시시각각 쏟아내고 그 파급 속도 역시 엄청나게 빠른 인터넷은, 근거가 모호하지만 일견 그럴 듯해 보이는 불확실한 내용도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빨리 전달시킬 수 있는 환경이다. 결국 경제적, 정치적, 사회적 불안함은 우리를 인터넷 안에서 배회하게 만들었고 불안한 대중은 미네르바라는 허상을 우상화시켜 갔던 것이다.

그런 네티즌 반응에 힘입어 더 멋진 미네르바가 창출되어 갔다. 인터넷 공간에서는 신분이 철저히 위장될 수 있었기에, 사람들은 금융계 경력을 지닌 국외 경험이 있는 50대라고 그의 경력을 포장해 가면서 그를 우상시했다. 그의 지식보다는 그의 포장이 주는 후광으로 인해 그의 주장이 더 큰 신뢰감을 갖게 되었는지도 모른다. 이는 경제 위기와 정치적 답답함이 빚어낸 인터넷상 여론몰이로 휘청거리는 한국사회의 단면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이었다.

불신과 불안이 팽배한 사회, 공식적인 정부 주장은 못 믿으면서도 익명의 가면 뒤로 내세운 은근한 권위에는 약한 이중적인 모습, 우리가 스스로 만들어 냈던 영웅 미네르바가 지배했던 지난 한철은 이런 우리 사회의 슬픈 모습을 여과 없이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왠지 허탈해진다.

[곽금주 서울대 심리학 교수]

‘한국사회 불평등 핵심고리를 천착하라’ - 한겨레 / 2009-01-12

[2009 문화현장] 이곳을 주목하라
비판사회학회 ‘불평등연구회’

“사회 전반에 걸쳐 불평등이 심화되고 있는 건 맞습니다. 하지만 최근 목격하는 것은 경제적 불평등의 결정력이 압도적으로 강해졌다는 것 아닌가요?”(김영미 중앙대 사회학과 박사후 연구원)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게 경제적 요인만이 아니잖아요? 오히려 불평등 구조를 재생산하는 사람들의 의식과 행위 양식에 주목해야 합니다.”(박경숙 서울대 사회학과 교수)

지난 8일 저녁 서울 중앙대 교수연구동 401호. 이름마저 범상치 않은 ‘불평등연구회’의 신년 모임이 한창이다. 2008년 회계 보고와 새해 인사를 겸해 마련된 자리였지만, 양극화 문제를 두고 시작된 회원들의 대화는 어느새 치열한 논쟁으로 발전했다.

“88만원 세대론은 부풀려진 담론”
신년 모임 어느새 열띤 논쟁으로

2007년 출범 20여명 매달 정례 발표
양극화 다양한 접근·비교연구 시도

한준 연세대 교수가 말을 이었다. “최근 불평등의 심화는 금융화와 함께 자본주의 본연의 경제적 속성이 한층 적나라하게 드러난 결과로 봐야 한다”는 게 논지였다. 그러자 박경숙 교수가 다시 반론을 폈다. “이혼 가정이나 고령층에서 나타나는 빈곤을 경제적 요인만으로 설명할 수 있나요?” 이성균 울산대 교수는 “자산·소득 불평등을 확대재생산하는 교육 시스템에 주목해야 한다”고 했고, 김성훈 이화여대 교수는 “공공성·시민성의 부재가 왜곡된 시장주의를 불러 양극화를 심화시키고 있다”며 박 교수를 거들었다. 양보 없는 갑론을박이 이어지는 가운데 좌장 격인 신광영 중앙대 교수가 나섰다.

“신자유주의화가 진행되면서 경제적 불평등의 구조적 규정력이 강화되고 있지만, 그것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복합적 측면이 있는 것 같습니다. 이혼 여성과 노인층 빈곤은 경제적 현상이되, 각각 가족해체와 노동시장의 변화와 밀접한 연관이 있으니까요. 복지·사회 등 불평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특성을 다른 나라와 비교해 본다면, 우리 사회 불평등 구조의 속성이 밝혀질 수 있지 않을까요?”

불평등연구회는 2007년 10월 한국비판사회학회 산하에 만들어진 연구모임이다. 외환위기 이후 심화된 양극화 문제를 소득·일자리·교육·의료 등 다양한 차원에서 접근해 보자는 취지로 사회학자와 복지 전문가, 의료인, 대학원생 등 20여 명이 모였다. 매달 정례 발표회를 열어 분야별 쟁점을 토론하고, 동아시아 국가와의 비교연구도 병행한다. 9일에는 일본 불평등학회 초청으로 신 교수와 김영미 연구원이 후쿠오카를 다녀오기도 했다. 다음달에는 미국 프린스턴대가 주관하는 세계불평등네트워크(GNI) 회의에도 참가한다.

한국 사회의 불평등은 1997년 외환위기를 계기로 급속히 악화됐다. 소득 불평등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니계수는 1992년 0.248에서 1997년 0.262, 2002년 0.284, 2007년 0.312로 치솟았다. 중산층 붕괴와 하향 빈곤화를 보여주는 상대적 빈곤율(소득이 중위소득의 50%에 미치지 못하는 계층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 역시 1997년 7.3%에서 2007년 13%로 배 가까이 상승했다. 비정규직 비율은 50%를 넘어선 지 오래다.

이날 모임에선 세대간 불평등의 심각성을 부각시킨 ‘88만원 세대론’이 도마에 올랐다. “과도하게 부풀려진 담론”이란 의견이 많았다. 노동시장의 ‘인사이더’에 대한 보호장치가 두터워 청년 세대의 신규 진입이 쉽지 않은 유럽과 달리, “외환위기를 계기로 일자리 보호장치가 파괴된 한국의 경우엔 불평등이 모든 세대에 걸쳐 증가하고 있다”(김영미)는 이유에서다. “젊은층이 88만원 세대라면, 고령층은 50만원 세대”(박경숙)라는 지적과 “세대간 갈등을 부추기는 우파 담론에 88만원 세대론이 이용당하고 있다”(한준)는 비판도 이어졌다. 신 교수는 “이른바 ‘아이엠에프 세대’라는 30대와 다른 세대를 비교해 보니, 실업자·비정규직 비율 모두 50·60대에 비해 낮은 편이었다”며 “88만원 세대론은 다분히 유럽적 상황에 기댄 논의”라고 꼬집었다. 우리 사회는 세대간 불평등보다 세대 내부의 양극화가 훨씬 심각하다는 얘기다.

이세영 기자 monad@hani.co.kr

[아침을 열며/1월 16일] 이상한 나라의 미네르바 - 한국일보 / 2009-01-15

강신익 인제대 의대 교수

검찰이 미네르바를 구속했다. 5공 때 만들어지고 위헌 논란이 있는 전기통신법 상 허위사실을 유포한 죄란다. 그런데 기획재정부의 말에 따르면 허위사실로 적시된 외환매입 자제 요청이 없었던 것도 아니란다. 언제나 일사불란하게 정부를 두둔하던 여당 안에서도 비판의 목소리가 터져 나온다. 이 사실이 얼마나 우스꽝스러웠던지 로이터 통신은 그 기사를 '이상한 소식(oddly enough)'란에 실었다고 한다.

정부 먼저 부끄러움 알아야

일반 국민이 보기에도 충분히 이상하고 우스꽝스럽다. 4일 발표된 한국사회여론연구소의 조사에 따르면 미네르바의 구속에 반대하는 의견이 50.1%, 찬성 의견이 37.9%였다고 한다. 이 사건을 이상하게 보는 정도는 전문가일수록 더해서 기업 임원의 54%, 경영ㆍ경제학 교수의 64%, 기자의 84%가 반대했고, 오직 CEO 집단에서만 62%가 찬성 입장을 나타냈다고 한다.(세계경영연구원 조사)

이상한 짓에서는 국회도 검찰에 못지않아서, 여야가 뒤섞여 싸우는 장면이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의 표지를 장식했다고 한다. 보다 못한 대통령께서 한 말씀 하셨다. "어떻게 이룬 민주주의인데 이렇게 국제적 경멸의 대상이 되다니 대통령으로서 정말 부끄러웠다"고. 우리 국민도 충분히 부끄럽다. 하지만 이유는 조금 다르다.

교과서에 따르면 민주주의란 '국민의,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정부'에서 출발한다. 지금의 정부도 국민이 뽑아준 '국민에 의한' 정부임에는 틀림이 없다. 하지만 진정 '국민을 위해' 봉사하는 '국민의' 정부인지에 대해서는 믿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번번이 국민의 뜻에 반하는 일만 밀어붙이기 때문이다. 미국산 쇠고기가 그렇고 이름만 바꾼 대운하가 그렇다. 그리고 대통령이 심히 부끄러워하는 국회의 폭력사태에 대한 대응도 그렇다.

역시 한국사회여론연구소의 조사에 따르면 국회에서 벌어진 폭력사태의 원인에 대해 '현 정부여당이 논란이 있는 법안들을 무리하게 추진했기 때문'이라는 의견이 57.1%로 '야당이 여당과 대화하지 않고 폭력을 행사했기 때문'이라는 의견 32.7%를 훌쩍 뛰어넘었다고 한다.

대 통령의 부끄러움에 자극받은 여당이 추진하고 있는 국회폭력방지법에 대해서도 46.0%가 반대의견을 보여 찬성 36.9%를 훨씬 앞질렀다고 한다. 국회 폭력의 책임을 묻는 질문에 한나라당(30.7%)과 청와대(15.5%) 등 여권 책임이 크다는 응답이 민주당(15.6%), 민노당(1.9%) 등 야당 책임론보다 3배 가까이 높게 나왔다는 조사결과도 있다.(내일신문-한길리서치 1월 여론조사).

국회 폭력사태를 두고 "해머가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때렸다"고도 했다. 크게 틀린 말은 아니다. 하지만 정작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뿌리로부터 위협하고 있는 건 민의를 무시하고 무조건 밀어붙이기에만 능한 불도저다. 이 정부가 진정 민주주의를 신봉하는 '국민을 위한, 국민의'정부라면 그 부끄러움을 자신에게로 되돌려야 마땅한 이유다.

이상한 소식은 이밖에도 많은데, 그 중 하나는 미네르바의 긴급체포가 청와대 지하 벙커에 비상경제상황실(war room)이 차려진 직후에 이루어졌다는 사실이다. 정부는 경제를 전쟁으로 여기나? 정부 정책에 비판적인 네티즌을 상대로 전쟁을 하겠다는 건가? 하긴 네티즌의 입을 틀어막을 사이버 모욕죄를 신설하고 수구 족벌신문의 방송진출을 허용하는 등의 법안을 무더기로 통과시키는 일을 입법 '전쟁'이라고 했으니 오죽하랴.

밀어붙이기 '전쟁'은 잘못

미네르바를 구속한 검찰의 부서가 마약조직범죄 수사부라는 사실도 이상하기는 마찬가지다. 의아해 하는 기자들에게 "마약조직범죄 수사부에 허위사실 유포 전담반이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는데, 그의 행위가 허위사실 유포에 해당되는지는 논외로 치더라도 마약수사와 허위사실이 무슨 연관이 있는지 도무지 알 수가 없다.

미네르바의 부엉이는 황혼 녘에 날개를 펼친다고 했다. 그 날개를 너무 일찍 편 것이 그의 죄라면 죄인지도 모르겠다. 참 이상한 나라의 미네르바다.

통계청, 미리 본 10년 후 한국사회 - AFPBB NEWS / 2009-01-21

통계청, 미리 본 10년 후 한국사회

* 2009/01/21 16:17 발신지:Seoul/한국

' 인구 감소로 군(軍) 입대자가 감소하자 정부는 무인 첨단 국방 장비 수입에 천문학적인 돈을 쏟아 붓는다. 베이비붐 세대(1955년~1963년생)가 은퇴하면서 소비는 줄고 주택 매물은 넘쳐나지만 사려는 사람은 적어 집값은 몇 년째 하락세다.

그래도 직장에서 구조조정을 당할 가능성은 적어진다. 일할 사람 자체가 줄었기 때문이다. 빈곤층으로 추락한 노인들의 자살 소식은 더 이상 새로운 뉴스가 아니다.'

통계청이 그려본 10년 후 한국 사회의 자화상이다. 통계청은 20일 '향후 10년간 사회변화 요인 분석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10년 후 한국 사회가 ①인구 감소 ②고령화와 노인 빈곤화 ③고(高)학력화 ④양극화 현상으로 요약되는 큰 사회적 변화를 겪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통계청은 저출산 현상이 지속되면서 우리나라 인구가 2018년 4934만명을 정점(頂點)으로 감소하기 시작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군 입대 인구(18세 기준)는 이보다 빠른 2012년을 정점으로 줄기 시작한다. 지난 30여년간 교육과 주택, 노동시장의 주역이었던 716만명에 이르는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도 5~10년 이내에 시작된다.

이처럼 인구가 줄고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하면서 내수 위축과 주택 수요 둔화, 학령 인구 감소 등 사회 곳곳에 폭넓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김영노 통계청 분석통계과장은 "일본의 경우 1990년대 베이비붐세대의 은퇴와 함께 주택 구입 세대인 35~54세 인구가 감소해 장기적인 주택 경기 침체가 초래된 것으로 추정된다"며 "우리나라도 2011년 이후 35~54세 인구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돼 지금부터 3년 정도 후부터 주택 경기의 구조적인 침체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그러나 인구 감소에도 불구하고 혼자 사는 '싱글족'과 독거 노인이 늘어나면서 1인 가구는 2008년 336만가구(전체 가구의 20%)에서 2018년 398만가구(21%)로 늘어날 것으로 통계청은 전망했다. 김 과장은 "향후 주택정책도 대형 주택보다는 1인 가구를 위한 소형 주택 중심으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고령화의 진전은 빈곤층 증가와 노인 자살 증가로 이어질 전망이다. 2016년이 되면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14세 이하 유소년 인구보다 많아지고, 2018년에는 고령 사회(65세 인구 비중이 14% 이상)에 진입한다고 통계청은 전망했다. 60세 이상 연령대의 소득 불균형 정도를 나타내는 지니계수는 2000년 이후 악화(2000년 0.325→2007년 0.366)되고 있어 향후 빈곤 고령층의 증가가 자살률 증가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또 대학 입학 연령대인 18세 인구는 지난해 62만9000명으로 이미 대학 입학 정원(66만7000명)을 밑돌기 시작했다. 이 같은 학령 인구의 감소는 대학 구조조정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정혜전 기자 cooljjun@chosun.com
(c)조선일보

반민특위, 친일파 재산몰수 첫 확인 - 한겨레 / 2009-01-09

이기용 토지대장 흔적 발견
“실제 집행까진 단정 어려워”

1940년대 말 실질적 성과 없이 와해된 것으로 알려진 ‘반민족행위 특별조사위원회’(반민특위)가 당시에 친일파의 땅을 실제로 몰수했던 기록이 처음 발견됐다.

9일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종합정보센터의 누리집 문헌자료를 보면, 1949년 5월13일치 <자유신문>에는 “추상같은 전 인민의 심판의 칼날은 12일 드디어 자작 이기용에게 최초로 내리게 되었다”며 ‘징역 2년6개월과 부동산 절반 이상 몰수’의 판결 내용이 기사로 실렸다. 몰수 대상인 부동산은 ‘양주군(현 양주시) 장흥면 부곡리 6○○ 번지 부근 전답 8122평이다.

실제 <한겨레>가 경기 양주시에서 이 지역 일대의 토지대장을 떼보니, 이 부동산에 대해 ‘반민법에 의거 국유재산’으로 명기돼 있었으며, 소유권자도 ‘이기용’에서 ‘국’(國)으로 바뀌어 있었다. 이는 반민특위가 무력하게 종결됐다는 기존의 역사 평가와 달리 초기에는 실제 재산 몰수까지 집행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에 대해 ‘친일 반민족 행위자 재산조사위원회’ 쪽은 “토지대장 기록만으로 실제 법 집행이 이뤄졌다고 단정하기는 이르지만 흥미로운 발견으로 보이며, 친일재산조사위에서도 올해 반민특위의 재산 몰수 성과에 대한 본격 조사를 벌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반민특위의 조직과 활동>(2003)이란 연구서를 낸 허종 충남대 교수는 “반민특위에 의한 실제 몰수 집행이 있었는지는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다”며 “반민특위가 와해됐다고 봐 연구자들이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해방 직후에 국민의 폭넓은 지지를 받아 1949년 1월5일 구성된 반민특위는 화신백화점 박흥식 사장을 시작으로 육당 최남선, 춘원 이광수 등 친일파를 줄줄이 체포해 초기에는 활발한 활동을 보였다. 그러나 이승만 정권과 친일파의 방해 활동으로 반민특위는 이후 와해의 길을 걸었다. 1949년 6월4일 반민특위가 서울시경 사찰과장 최운하 등을 체포하자 이틀 뒤 50여명의 경찰관이 특위 사무실을 습격하는 일까지 벌어졌다.

권오성 기자 sage5th@hani.co.kr

일본만화 ‘헤타리아’ 한국 비하 논란… 24일부터 방영 파문 - 한겨레 / 2009-01-12

일본 웹툰 ‘헤타리아’가 한국을 상징하는 한 캐릭터를 비하해 네티즌들 사이에 ‘한국 민족성 훼손’논란이 일고 있다.

하지만 이를 넘어 1월 일본 어린이 채널 키즈 스테이션에서 오는 24일부터 한국이 비하된 내용을 가지고 애니메이션화 해 방영 예정으로 두고 있어 더욱 논란이다.

‘헤타리아’는 일본에서 웹툰으로 연재중인 4컷 만화로, 세계 각국을 ‘의인화’하여 2차 세계대전을 배경으로 한 만화이다.

이 만화 속에 드러나는 ‘한국 비하’는 크게 5가지.

첫번째, 일장기를 머리에 두르거나 몸에 두르는 행위

두번째, 중국의 한자를 한국어라고 우기는 행위

세번째, 한국은 중국과 형제관계

네번째, 각 나라에서 좋다고 하는 것들은 뭐든지 한국의 유산이라고 우긴다.

인터넷을 통해 올라온 짤막한 번역만화를 보면 한국이 일본 사람의 가슴을 만지며 좋아하고, 아무런 이유 없이 우리나라 만세를 외치는 등 지나치게 찌질한 형태의 캐릭터로 설정해 놓았다. 또한, 한복인지 그냥 천을 걸쳐 입은 것인지 모를 옷을 입고 있다.

분명 웹툰이기에 가슴을 만지거나 옷을 찢는 등의 모습이 연출되지만, 이같은 것은 한국이란 나라자체를 비하하는 것이 맞다.

하지만, ‘한국비하’를 넘어 이 불안정한 요소들이 담긴 만화가 ‘인기 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1월 일본 어린이 채널에 방영돼, 일본 어린이들에게 그릇된 역사인식을 낳을 수 있어 더욱 파문이 일고 있다.

이에 네티즌들은 방영 저지 서명 운동을 하는 등 강력하게 반발을 하고 있다. 이미 다음 아고라에서 진행 중인 방영저지 서명 운동에는 13,839명이 서명을 진행했으며, 많은 네티즌들은 이를 펌질하며 다른 이들에게 알리고 있는 상황이다.

네티즌 ‘샤카’는 “만화도 방송매체처럼 시청자를 동요시키는 엄청난 힘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는데, 이런 민감한 문제를 다루다니 정말 어처구니가 없다” 라며 의견을 전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개그를 너무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냐”, “다른 나라들 또한 찌질하게 설정되어있다”라며 반박의 의견을 내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네티즌들은 “역사를 왜곡하고 비하하는 행위를 ‘개그는 개그일 뿐’ 이라는 인식으로 보는 것부터가 잘못된 역사인식의 첫 시작”이라며 “그릇된 것은 고쳐야 하는 것이 올바르다”라고 의견을 펼치고 있다.

일본의 애니메이션이 끼치는 파장력은 매우 크다. 전 세계의 모든 이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일본 애니메이션. 한곳으로 치우치며 그릇된 역사를 사실인 냥 소재로 사용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윤선영 기자 happie89@naver.com

[weekly chosun] "한민족은 단일민족 아니다!" - 조선일보 / 2009-01-10

[weekly chosun] "한민족은 단일민족 아니다!"
특집 | '종의 기원' 150년
유전자로 본 한국인
“북방계·남방계 등 두 가지 이상 유전자가 섞인 집단”
‘북방계 남성·남방계 여성이 결합’ 가설도 급부상
<이 기사는 weekly chosun 2039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이종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초빙과학자 mystery123@korea.com

한국인이 한민족의 근거지인 한반도에서 계속 살아왔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그러므로 한국인들은 어린 시절부터 ‘우리는 역사적으로 유례가 없을 정도의 단일민족’이라고 배워왔다. 실제 KIST유전공학센터가 한국인 40여명의 인슐린 유전자를 연구 분석한 결과 ‘한국인의 혈통은 유전자적으로 80% 이상이 공통될 정도로 순수하며, 유럽인의 유전자와는 크게 다르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러나 한국인의 유전학적 기원 역시 순수한 의미에서 하나는 아니다. 대부분의 학자들은 한국인의 유전학적인 기원이 북방계와 남방계로 구성돼 있다고 보고 있다. 염색체의 유전자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유전자가 섞여 새로운 형질을 만들어내지만, Y염색체와 미토콘드리아라는 두 염색체는 뒤섞임 없이 한쪽 부모한테서 그대로 유전되는 특성을 지닌다. Y염색체는 아버지에게서 아들에게로만 유전되며, 미토콘드리아는 반대로 모계를 통해서만 유전된다. 이 때문에 미토콘드리아DNA를 ‘이브의 유전자’, Y염색체를 ‘아담의 유전자’라 부른다. 때문에 학자들은 이 두 가지 유전자를 분석해 한민족의 기원을 파악하고 있다.

단국대학교 김욱 교수는 Y염색체를 이용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한민족을 크게 두 갈래로 나누고 70~80%는 북방계, 20~30%는 남방계이며 나머지는 유럽인 등 다른 그룹이 섞여 있다고 발표했다. 다른 연구에서는 북방계가 60~70%, 남방계가 30~40%라는 분석도 있다.


일제강점기 때인 1930년대 경성제국대학의 해부학연구실에서는 한국인 약 2만명을 대상으로 유전적 기원을 조사한 적이 있다. 이 조사기록 역시 ‘한국인은 남쪽으로부터 이주해온 남방계와 북쪽으로부터 이주해온 기마민족인 북방계가 섞이거나 혼혈되었다’고 적고 있다. 이 조사기록은 그 증거로 북쪽지방, 북한 사람들의 체형과 남한 사람들의 체형이 상당히 다른 점을 들었다.

북방계 70~80% + 남방계 20~30% + 유럽인 등 다른 민족
만주족과 가장 유사…중국 남부 묘족·베트남인과도 비슷

여하튼 한국인 집단은 동아시아인 집단 가운데서도 만주족과 가장 가까운 유전적 유사성을 지니고 있으며 중국의 일부 남부인(묘족 등)과 베트남인 등과도 가까운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정하면 한국인 집단은 적어도 두 가지 경로 이상의 다양한 민족 집단이 혼합과정을 겪으면서 형성됐으며, 유전적으로 볼 때는 하나의 민족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한 민족은 수적으로 압도적 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북방계가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남방계도 무시할 정도는 아니다. 또 북방계라 하더라도 기존에 알려진 것처럼 모두 몽골에서 내려온 것도 아니다. 김욱 교수는 “한국인의 Y염색체를 분석한 결과 한국 남자의 유전적 계통이 그룹C, 그룹D, 그룹O의 세 가지 형태를 보이는데 몽골·시베리아인은 그룹C가 40~50%를 차지하는 반면 한민족은 15%에 불과해 한민족이 모두 몽골 쪽에서 내려왔다고 볼 수는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남성 유전자 주류는 중앙아시아·시베리아 계통
북방계 남자가 남방계 남자 몰아내고 후손 불린 듯

근 래의 연구 중에서는 북방계와 남방계가 혼합해 한국인이 형성되는 과정에 대해 매우 흥미 있는 가설을 제시하는 것들도 있다. 이는 동아시아인의 Y염색체 유전형을 보면 북방 루트를 통해 온 사람(특히 남성)이 주체인 반면 미토콘드리아 유전형들은 거의 전부 남방 루트로 이동한 여성들의 것이라는 연구 결과에서 비롯된다. 즉 동아시아 여성들이 가진 미토콘드리아 유전형은 거의 전부 남방 해안 루트를 거쳐 이동해 온 사람들로 보이며 Y염색체는 중앙아시아·시베리아를 거쳐 내려온 남자들의 것이 대부분이라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북방계 남자가 남방계 남자를 몰아내고 남방계 여자들을 취하여 후손을 불려왔다는 것이다. 이렇게 이루어진 동북아시아 사람들은 유전자 구성에서 한국, 중국 북부, 일본인이 모두 같다고 설명된다.

물 론 한국인이 북방계와 남방계로만 구성된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한반도의 지리적 입지 때문에 중국으로부터의 유민과 이민이 계속 한반도로 들어왔다. 특히 신석기를 지나 청동기로 들어서면서 전쟁이 빈번하자 전쟁의 결과 여하에 따라 많은 중국인들이 한반도를 찾았으며 이들이 계속 한반도에 정착하여 한국인이 되었다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학자들에 따라서는 이들을 ‘귀화 한국인’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중국인들이 한국으로 이주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대부분 중국에서의 권력투쟁에서 패배한 사람과 이들의 시중을 들었던 사람들, 또는 전란으로 피란 온 사람들로 볼 수 있다. 이들은 주로 전북과 충남의 내륙지방, 황해도 등 한반도의 서반부에 걸쳐 살았다.

그러나 한국인의 형태에서 중국인의 영향이 크지 않다는 것은 이들 ‘귀화 한국인’의 수가 많지 않았고 또 시간이 흐름에 따라 한국인과 피가 섞이며 한국인 주류에 밀렸기 때문으로 이해된다.

두 종류만으로 이뤄진 민족도 세계적으로 드물어
프랑스는 3대가 한 혈통인 경우도 20%밖에 안돼

유 전자는 그 집단 구성원이 많이 가지고 있는 것은 점점 많아지지만 10% 이하의 유전자는 300년 정도가 지나면 거의 사라진다고 한다. 유전자 결합의 확률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한국의 주류를 북방계와 남방계로 분류해도 크게 틀리지 않다.

한 민족이 유전적으로 단일민족은 아니지만 두 종류(북방계와 남방계)만의 민족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도 세계에서 매우 드물다. 1980년대 초에 프랑스에서 ‘누가 진짜 프랑스인인가’를 조사한 적이 있었다. 그 당시 정통 프랑스인은 부모와 조부모, 즉 3대가 모두 프랑스인인 경우를 의미했다. 그런데 호구 조사는 전 유럽인들을 놀라게 했다. 프랑스 정부가 호구 조사를 통해 프랑스인을 가린 결과 이 기준에 맞는 프랑스인들은 겨우 20%에도 미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런 프랑스의 경우와 비교하면 단 두 갈래의 유전적 흐름만 갖고 있는 한민족은 세계에서도 드문 매우 집약적인 혈통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인류 기원에 대한 학설 |
아프리카 가설 동아프리카 돌연변이 여성이 기원
다지역 기원설 호모에렉투스가 각지로 이주해 진화

현 인류의 기원에 대해서는 두 가지 설이 팽팽하게 대립하고 있다. 현 인류는 약 20만년 전 아프리카에 살고 있던 ‘이브’라는 한 여성으로부터 시작되었다는 ‘아프리카 가설’과, 이와는 달리 적어도 100만년 전에 아프리카에서 출발한 호모에렉투스가 각 지역에 도착한 후 각 지역의 특성에 따라 진화되었다는 ‘다지역 기원설’이 그것이다.

1987년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대의 알란 윌슨은 세계 각지 147명의 미토콘드리아 DNA를 조사하여 계통 수를 그린 결과, 현대 인류의 조상은 단 한 명이라고 발표했다. 그는 두개골 화석 비교와 분자유전학적 방법을 동원해 연구한 결과를 토대로 ‘현대 인류가 14만년에서 29만년 전에 동아프리카의 사바나 지역에서 돌연변이를 일으켜 출현한 후 이 후손들이 세계 각 지역으로 이주하여 모든 인류의 부모가 되었다’는 가설을 발표했다. 이를 ‘이브 가설 또는 아프리카 가설(Out of Africa theory)’이라고 부른다.

반 면 펜실베이니아대학의 커얼리튼 쿤 교수는 1962년 발간한 ‘인종의 기원에서’란 책에서 ‘다지역 기원설’을 다음과 같이 요약하고 있다. ‘전 세계의 인류가 모두 같은 조상으로부터 갈라진 것은 아니다. 세계 인류의 기원으로 분류될 수 있는 첫 번째 집단들은 각기 다른 지역에서 각기 다른 시대에 독자적으로 진화되어 온 영장류, 즉 호모 에렉투스의 여러 종류의 후손들이다. 따라서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는 결코 우리의 공통적인 조상으로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 가설은 호모 에렉투스인 ‘북경 원인’ 등의 후손이 단절되지 않고 이어졌다고 주장하는 중국의 학자들을 중심으로 지지를 받고 있다.

우리나라 첫 백과사전의 산실, 초간정 - 중앙일보 / 2009-01-12

경북 예천군 용문면 개울가에 자리한 초간정이란 작은 정자가 지난해 12월 26일 국가 명승지(51호)로 지정됐다. 초간정은 국내 여행에 어지간한 조예가 있는 마니아에게도 생소한 이름이다. 자료를 뒤져도 ‘우리나라 최초의 백과사전인 ‘대동운부군해’를 집필한 권문해가 세운 정자’ 정도의 설명이 전부다.

이 책은 단군 이래 선조 때까지 역사·인문·지리 등을 총망라, 총 20권 20책으로 구성된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그 가치를 인정받아 보물(제878호)로 지정됐다. 조선 선조 때 만들었으니 400년을 넘겼다. 이 역작의 주인공인 권문해는 어떤 사람일까. 그리고 이 정자를 왜 지었을까. 모든 것이 궁금했다.

초간정을 이해하려면 이를 세웠던 권문해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다. 조선 선조 때 별시문과 병과에 합격, 관찰사·좌부승지 등을 지낸 학자다.

권 씨의 본은 안동과 예천 두 개 뿐이다. 권문해는 조선시대 세도를 과시했던 안동 권씨가 아니다. 안동 권씨에 비해 세가 훨씬 적었던 예천 권씨다. 이 때문에 퇴계 이황에 사사했고, 8년 후배 서애 유성룡 등과 교분이 깊었을 만큼 인품과 학문의 조예가 깊었으나 소위 ‘연줄’이 없어 입신출세에는 한계가 있었다. 유성룡이 판서를 지내며 ‘잘 나갈 때’ 자신은 좌부승지에 그쳤으니 오죽했을까.

이를 절감한 그는 고향 예천으로 낙향을 결심한다. 이 때 찾은 곳이 종가가 있는 용문면 죽림리. 이곳에서 그는 1334년 중국의 음시부가 지은 백과사전 ‘운부군옥’을 읽고 또 읽었다.

여 기서 힌트를 얻은 그는 한국의 백과사전 편찬을 결심한다. 그리고 역사·인문·지리 외에 국명·성씨·인명·효자·열녀·수령·신선·나무·금수 등으로 나눠 우리나라 최초의 백과사전을 완성했다. 낙향 10년 만이다. 필생의 역작을 탈고한 권문해는 기력이 다한 탓인지 2년 만에 세상을 뜨고 만다. 향년 58세였다.
 
초 간은 권문해의 호다. 풀(草)과 산골의 물(澗)이란 뜻이다. 초간정은 권문해가 낙향 3년 후 지은 정자다. 예천 권씨 종택에서 10리도 떨어지지 않은 조용한 곳이다. 그렇다고 흔히 볼 수 있는 정자처럼 높은 곳에 ‘군림’하고 앉아 세상을 내려다보는 곳도 아니다. 오직 정자 바로 아래 개울만 시야에 들어올 뿐이다.

지금은 바로 옆에 도로가 뚫려 소음이 심하지만 당시에는 물소리·새소리 외엔 달리 들을 만한 소음은 없었을 것이다. 책을 읽고 작품을 집필하는데 더없이 좋은 조건이다.

주 차장에서 내려다보면 위치가 절묘하다. 금곡천이라 불리는 작은 개울이 큰 바위를 만나 ‘ㄱ’자로 휘돌아가는 모퉁이 작은 절벽 위에 아담하게 서 있는 것이다. 절벽 위에 돌을 쌓아 축대를 만들고, 그 위에 정자를 지었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아담한 정자는 주변의 아름드리 소나무숲과 어울려 멋진 경관을 연출하고 있다.

초간정의 원래 이름은 초간정사. 초간이 학문을 가르치고 정신을 수양하는 집이란 의미다. 깊은 뜻을 가진 건물은 그러나 이후 여러 차례 수난을 당한다.

임 진왜란 때 경복궁에서 발견된 대동운부군옥을 불사른 왜군은 초간정마저 불태웠던 것이다. 광해군 때 다시 세웠으나 인조 14년(1636년) 또다시 화마에 잿더미로 변하고 말았다. 지금의 건물은 초간의 8대손이 1870년 중창한 것이다.

매 서운 한파가 몰아치던 지난 주말. 정자에 앉아 안빈낙도는 아니더라도 초간의 세계를 좇아보려 했으나 허사였다. 절벽을 기어오를 수 없으니 사주문을 통해 들어가야 하는데 굳게 잠겨 있었던 탓이다. 하지만 밖에서 바라보는 멋진 자태 만으로도 초간에게 한 걸음 다가설 수 있는 듯했다.

예천=글·사진 박상언 기자 [separk@joongang.co.kr]

아리랑 2호 영상 해외수출 - 아시아경제 / 2009-01-18

우리나라의 다목적실용위성 '아리랑2호'가 지난해 3건의 수출계약으로 2000만달러 수입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교 육과학기술부(장관 안병만)는 지난 해 아리랑 2호의 영상을 해외에 수출하는 3건의 계약을 체결했다고 19일 발표했다. 아리랑 2호는 2006년 7월 발사돼 현재 고도 685km 상공에서 하루에 지구를 약 14바퀴를 돌며 1m급 흑백영상과 4m급 칼라영상을 촬영하고 있다.

이 위성영상은 선진 우주개발기구인 유럽우주청 등에 수출됐으며 이는 우리나라 위성기술과 위성영상 품질이 국제적으로 인정받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유 럽우주청과의 계약으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이주진)은 북극에 위치한 노르웨이 스발바드(Svalbard) KSAT(Kongberg Satellite Services) 지상국을 이용해 아리랑 2호 영상자료를 1일 10여회 수신하여 제공하게 됐다.

아리랑 2호의 위성영상은 판매대행사를 통해 해외에 판매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공공목적에 한하여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직접 배포하고 있다. 한국항공우주원은 ▲여수엑스포 예정지의 현황 파악 및 활용 ▲대구시의 위성사진 기반 지도서비스 제작 ▲서울대 박물관의 '하늘에서 본 고구려와 발해' 특별전 활용 등 공공목적으로 지난 해 69개 기관에 위성사진 613장을 공급한 바 있다.

또한 정부는 최근 누구나 접근이 가능한 인터넷 온라인 지도 서비스에도 아리랑 2호 영상 공급을 시작했으며 3차원 지리정보시스템, 재난 및 환경오염 방지 등 타 분야에 위성영상이 보다 널리 활용될 수 있도록 관련 전문가 교육훈련, 홍보, 시범사업 등을 적극 실시해 나갈 계획이다.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100년 된 토지대장 ‘한눈에’ - 전남매일 / 2009-01-29

강진군, 70여만 장 전산화 시스템 구축…전국서 열람·발급 가능

“100년 된 토지대장이라도 강진지역의 토지라면 언제 어디서나 쉽게 열람할 수 있어요.”
강진군이 100여년 된 옛 토지대장을 전국 어디서나 신속·정확한 열람 및 발급이 가능하도록 전산화 시스템을 구축해 눈길을 끈다.
20일 강진군에 따르면 이번 전산화된 토지대장은 1910년대 토지조사사업 당시 작성돼 그동안 지적서고에 보관중인 부책·카드식 토지대장으로 191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강진군 지역의 토지가 총 망라돼 있다.
강진군의 옛 토지대장은 그 동안 노후화로 인한 파손 및 훼손의 위험성과 화재 등 각종 재난 위험에 노출 돼 있었다.
뿐 아니라 민원 발급 시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돼 민원인들의 불편이 끊이지 않았다.
이에 강진군은 국비 1억3,000만 원을 국토지리정보원으로부터 전액 지원받아 지난 2008년 7월부터 5개월 동안 부책 및 카드대장 총 70만 7,342면에 대한 전산화 작업에 들어간 것.
강진군은 100여년 된 토지대장의 전산화 시스템 완료로 주민 재산권 및 공적장부의 안정적인 보존이 가능하게 됐다.
뿐만 아니라 전국 어디서나 열람발급이 가능한 민원서비스제공으로 토지정보의 활용가치 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강진군은 기대하고 있다.
강진군 백종일 민원팀장은 “이번 토지대장 전산화로 관리비용 절감 및 민원인의 편의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며 “앞으로도 민원인 편의를 위한 각종 사업을 적극 추진해 사랑방 같은 민원실을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강진군은 지난 1991년 최근 토지대장 전산화, 2003년 한국토지정보시스템(KLIS)을 구축, 토지대장 무인발급 및 웹기반 민원서비스 등을 제공해 민원 편익증대 및 경제적 비용 절감효과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강진= 여두문 기자

안드레이 란코프 국민대 초빙 교수 - 데일리안 / 2009-01-16

2009년 01월 16일 (금) 13:16:11 변윤재 기자

“남한은 북한 문제에 대해 자국내 문제인 양 다룹니다. 남한 헌법에 북한은 ‘영토’라고 되어 있으니 그렇겠지만, 남북관계를 올바르게 풀려면 남과 북의 차이를 정확히 인식하고, 그에 따라 접근해야 합니다.”

스 스로를 “우파학자”라 칭하고 “대북정책의 방향성은 수정돼야 한다”고 쓴 소리를 하는 외국인 학자. 러시아 출신의 북한학자인 안드레이 란코프 국민대 초빙교수(45)는 ‘보수의 박노자’로 불린다. 대북정책과 남북관계에 대해 그의 언변은 거침없고 명쾌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외국인이라는 ‘자유로움’에서 기인하는 것일수도 있지만, 오랜 시간 한반도, 특히 북한에 대해 연구해 온 학자로서, 그리고 남한 사회에 “뿌리를 내리고 싶다”고 애정을 갖고 있는 생활인으로서 느낀 감정에 가까워 보였다.

란코프 교수의 연구실을 찾았을 때 그는 다른 매체와 인터뷰 중이었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중병설 이후 북한 급변 사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그에 대한 언론의 러브콜이 잇따랐기 때문.

“ 최근 더 바빠졌다”고 차를 건네고서야 란코프 교수는 한숨 돌리는 기색이었다. 쉬는 날에도 연구실에 나온다는 그는 ‘성실한’ 학자로 보였다. 연구실 책장에는 빈틈없이 손때 묻은 책들이 빼곡했고, 벽에는 북한 전도가 걸려 있었다. 란코프 교수는 언론매체 등에 칼럼 등을 기고하면서도 북한 관련 토론회에도 꾸준히 발표자로 참석하고 있다. 정치적 이해관계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자신만의 ‘특권’을 통해, 그리고 사회주의와 자본주의를 경험한 경험을 통해 남한 사회에 보다 많은 정보를 주고 싶어서다.

란 코프 교수는 지한을 넘어 친한의 감정을 갖고 있는듯 했다. 그는 “한국은 재미있고 매력적인 곳”이라며 “어떤 점이 좋은지 꼭 집어 말하긴 어렵지만 재밌는 국가”라고 말했다. 슬쩍 미소 짓는 그에게서는 한국화된 외국인의 인상이 풍겼다.

그러 나 란코프 교수는 이방인의 ‘객관성’을 잃지 않았다. 그는 “남한은 북한에 대해 잘 모르는 것 같다. 특히 정치권은 남북문제를 정치적인 난국을 타개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고 국민들은 북한을 ‘존재하지 않는 국가’인 양 외면하려 한다”며 “그러나 북한의 현실을 직시해야만 문제의 해법이 보인다”고 비판했다.

란코프 교수는 “남한 사람들은 자신들의 ‘안경’(시각)으로 북한을 바라본다. 북한을 객관적 협상의 대상으로 보지 못하고 국내 정치로 다루려다 보니 남북관계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못했다”고 꼬집었다. 전쟁과 분단을 거쳐 앙금이 남은 상황에서 민족주의 또는 대결주의와 같은 다소 감정적인 정책을 펴다보니 합리성과 객관성을 잃었다는 것이다. “대북정책에 남한은 있지만 북한은 없다”는 비판이 나올 수 밖에 없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란코프 교수는 북한의 급작스러운 변화는 남북한의 통일로 이어질진 몰라도 진정한 의미에서의 ‘화합’은 어려울 수 있다고 우려했다. 때문에 점진적인 변화를 유도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제2, 3의 금강산 관광, 개성공단 등의 교류협력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방향적으로는 햇볕정책이 맞지만 조건없는 식량지원보다 북한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기술, 교육 등을 전수하는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방법들이 모색돼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김정일 독재 체제는 수명을 연장할 것이고, 북한 주민들의 고통은 길어질 것”이라고 힘주어 말했다.

란코프 교수는 금강산 관광이나 개성공단처럼 ‘철창이 쳐진’ 제한적 개방일지라도 지속적으로 확대해야 하며, 이를 통해 남한의 정보들이 ‘입소문’을 타고 북한 사회 내 유입될 수 있다고 확신했다. “정권이나 정책보다 사회의 변화가 더욱 깊고 파급력이 크기 때문”에 남한의 발전상을 간접적으로 드러내면 이는 북한 주민들의 ‘의지’를 자극하고, 결과적으로 북한 체제를 변화시킨다는 것.

란코프 교수는 무엇보다 남북통일 이후 겪을 사회문화적 갈등과 혼란을 줄이려면 탈북자를 중심으로 한 대안 엘리트를 양성해 이질화를 줄이는 한편, 북한 주민들이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지 않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외국인으로서 한국의 역사를 공부하고, 한국에 오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

"중고등학교 때 동아시아 역사에 관심이 많았고, 대학에 들어가 중국 역사를 전공했다. 당시 동아시아 문화권을 공부하는 사람들은 중국이나 일본에 대해 공부했었는데 지도 교수님이 ‘한국 역사를 배워보면 어떻겠느냐’고 조언해주었다.

그 전에는 한국 역사에 대해 잘 몰랐지만 1982년부터 한국학으로 전공을 바꿔 호주 국립대 교수로 재직했다.

그러나 역시 한국학은 현지에서 연구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연구를 위한 1차 자료들에 대한 접근이 쉽고 다양한 자료를 수집할 수 있으며, 진짜 ‘한국 전문가’가 되려면 현지에서 경험하는 것보다 좋은 건 없다고 생각했다.

나 는 한국에서 10년, 호주에서 8년을 지냈다. 한국이라는 나라를 공부하고 연구한 것도 20여년이 넘는데 한국행을 선택한 것에 후회는 없다. 내가 원하는 연구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만족스럽고 한국은 ‘재밌는’ 국가이기 때문이다. (많은 사람들이) 한국의 어떤 점이 매력적이냐고 묻는데, 그런 질문을 받을 때마다 한국인들이 한국의 멋진 점을 설명할 때 딱 한 가지를 꼬집어 말하기 어렵듯이 그런 느낌을 갖는다. 매력적이고 재밌는 곳이지만 설명하긴 애매하다.(웃음) 그러나 (한국이 나쁘다는) 나쁜 의미가 아니라 긍정적인 것이다. (아마) 이미 생활이 됐기 때문에 객관적인 설명이 어려워진 걸지도 모른다."

-북한과 구 소련의 관계를 생각하면, 한국에서는 북한에 너그러울 것이라는 선입견이 있다. 그런데 실제 당신은 북한에 대해 굉장히 비판적이다.

" 그것은 선입견에 불과하다. 소련과 북한의 관계는 실제로 좋은 편은 아니었다. 소련은 북한을 지정학적 위치 때문에 이용할 수 밖에 없었지만 60년대부터 북한에 대해 비판적이었다. 특히 김일성의 우상화 때문에 소련에서는 북한을 ‘웃음거리’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소련에서 북한만큼 인기없는 공산권 국가는 없었다. 북한의 독재체제나 우상화 등에 대해 소련은 위험하다고 판단했고, 이 때문에 북한에 갈 때는 까다롭고 복잡한 절차와 교육을 받아야 했다. 이것은 유럽 등 자본주의 국가에 갈 때와 맞먹는 수준이었다. 말로는 소련과 북한의 외교, 동맹 등을 강조했지만 내심 적대국 이상으로 거리를 두고 있었던 셈이다.

특히 1980년대 내가 대학을 다닐 당시에는 소련 대학생들은 공산주의의 문제를 인식하고 있었고, 북한을 비판적으로 보았다.

북 한에 대해 공감이 생긴 것은 1990년대 말 소련이 붕괴하고 러시아 내에서 반미 민족주의가 커지면서부터다. 미국에 반대하는 세력이기 때문에 공감했던 것이지 그 전에는 ‘세계에서 가장 열악한 독재국가’ ‘가장 악독한 독재체제’였던 북한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이는 없었다.

또 국민들을 학대하고 민중의 기본 자유와 권리를 보장하지 않고, 극소수의 세습적인 엘리트의 특권만을 보호하려는 사회체제를 비판적으로 보게 되는 건 당연하지 않은가. 사회적 분위기도 그랬지만 개인적으로도 북한에 살면서 북한 체제의 실제 모습을 접했고, 스탈린주의 체제가 어떤 과정을 거쳐 무너졌는지를 경험한 사람이다. 시간이 갈수록 더욱 부정적으로 변하는 북한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취하는 건 당연하지 않은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중병설로 인해 우려의 목소리가 높았는데, 이번 중병설은 남한이 북한에 대해 정보가 부족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계기가 됐다. 한국이 북한에 대해 정확한 인식을 못하고 있다고 여기나.

"확실히 한국은 북한에 대해 잘 모르고 있다. 더 정확히 말하자면 남한의 주류사회는 북한이라는 국가가 마치 존재하지 않는 양 외면하면서 살고 있다.

현 재 한국 사회에서 북한의 현실 등에 대해 배우기 어렵다고 말한 순 없을 것이다. 탈북자도 국내에 1만명 이상이고 북한으로부터 취할 수 있는 정보도 많아졌다. 국내 언론 뿐 아니라 외신을 통해서도 북한에 대한 여러 기사를 읽을 수 있다.

결국 남한이 북한에 대해 잘 모르는 것은 ‘자료의 부족’ 때문이 아니라 ‘무관심’ 때문이다.

북한의 현실은 정말 비극적이고, 이런 현실을 남한 사람들이 알게 되면 ‘북한을 위해 우리가 어떻게 해줘야 하고 어떤 반응을 보여야 하는가’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지고 그 질문에 대한 답도 준비해야 한다.

북 한을 돕는 일은 돈을 주거나 식량이나 비료를 지원하나 탈북자를 도와주는 등, 남한 사회에 일종의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는 일이므로, 북한을 ‘무시’하는 게 어떤 측면에서는 편리할 수 있다. 물론 경제적, 문화적, 사회적 부담으로 인해 상대국을 외면하는 일은 분단국가에서는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반응이다.

동서독과 남북한을 흔히 비교하지만 둘은 전혀 다르다. 동독은 북한보다 자유롭고 물질적으로 잘 사는 나라였다. 동서독은 1960년대 말부터 교류를 꾸준히, 그리고 지속적으로 늘려왔고, 동독을 방문하는 서독 사람들은 별다른 제재를 받지 않고 어디든지 갈 수 있었다. 매년 동독을 방문하는 서독 사람들의 숫자는 수십만에서 100만 정도에 달했다. 동독 사람들도 서독을 방문할 권리가 있었고, 서독 방송이 개방되면서 동독 가정에서는 서독 방송을 보지 않는 집이 없을 정도가 됐다. 동독과 서독의 경제적인 차이는 2~3배가량이었다.

그러나 북한은 다르다. 금강산 관광이나 개성 시내 관광은 진짜 북한 구경이 아니다. 북한을 방문하면 한정된 공간만을 볼 수 있고, 그것도 일반 주민들과의 접촉은 불가능하고, 선발된 소수의 인원, 좋은 출신 성분을 지닌 특수 계층 사람들하고만 만날 수 있었다. 경제력의 차이도 남북한은 17~50배 정도 차이가 난다.

남한이 북한에 관심을 갖지 않는 또 하나의 이유는 남북한이 혹독한 ´열전´을 치렀고, 이념의 대립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동 서독은 감정적으로 얽히지 않았다. 서로 죽이는 비극은 없었고, 그랬기 때문에 앙금이나 한이 남지 않았지만 남북한은 다르다. 적대감이 있다. 체제 경쟁도 했기 때문에 ‘이념적으로 우월하다’는 점을 보여줘야 한다고도 생각하는 듯 하다."

-북한학자의 입장에서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은 어떻게 평가하나.

" 북한측이 받아들일 수 없는 조건으로 내걸고 있는데 비핵화나 개방은 북한에는 거북할 수 있다. ‘북한의 국민소득을 3000달러’까지 올려주겠다는 얘기는 듣기는 좋지만 비핵화와 개방이 조건이면 이명박 정부의 대북관계에서는 밝은 미래는 없다."

- 일각에서는 노무현 전 대통령과 같이 남북정상회담을 함으로써 북한을 공개석상으로 끌어내는 게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말하는데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

"정상회담이 나쁘진 않지만 정상회담만으로 변화가 생기진 않는다. 변화는 정부의 정책이 아니라 사회현상이다.

정상회담은 일종의 타협이기 때문에 북한 사회의 변화를 촉진하는 조치들에 대해 동의를 얻을 수 있을 순 있다. 개성공단과 같은 시설을 늘리고 평양 시내 관광을 요구하는 것 등 말이다.

그 러나 다음 정상회담도 평양에서 이뤄진다면 좋은 평가를 받을 순 없을 것이다. 유교 전통에 보면 사대주의가 있다. 형의 위치에 있는 국가의 수도를 아우에 해당하는 국가의 사절단이 방문하는 것이다. 조선이 명의 수도를 방문한 것이 그 예다. 그렇기 때문에 북한은 2차례의 정상회담을 평양에서 연 뒤 ‘남한이 우리보다 못해서, 우리 장군님을 존경하고 사랑해서 평양에 왔다’고 왜곡된 생각을 가졌을 수 있다. 이것은 남북관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최근 오세철 연세대 명예교수 등을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구속하려 했던 것과 관련해, “유감”이라고 말했다. 한국은 분단이 지속되는 상황이고, 이념 갈등이 현재까지도 불거지고 있기 때문에 사회적 혼란을 줄이기 위해서는 국가보안법과 같은 장치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당신은 ‘북한의 미래를 생각해 보면 김일성 김정일 부자의 독재를 반대하는 좌익세력에게 역할이 있다’고 했는데 국가보안법이 건강한 좌파가 육성되는데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보는가.

"어떤 면에서 국가보안법은 시대착오적이라고 볼 수 있다. 물론 북한의 간첩 첩보활동은 막아야 하지만 이것은 가로막기 위해 특별한 법은 필요없다. 북한만을 마치 특별 관리하듯 대하기보다는 다른 국가와 같이 대할 필요가 있다.

북 한 체제가 무너지면 남한의 좌파들은 북한에서 노동운동 등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노동자 권리를 보호하고 노동자들의 이익을 대표하는데 앞장서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특히 남한의 좌파들은 남북한의 경제력 차이에서 오는 적대감과 괴리감을 느낀 북한 노동자들을 사회 구성원으로 끌어안는 역할도 할 수 있다.

그런 측면에서 김정일에 대해 비판적인 좌파들이 필요하며, 오 교수는 사실 북한을 많이 비판하는 좌파학자라 생각한다. 우파학자인 내가 동의하지 않는 부분은 많지만 그렇다고 ‘친북’으로 보기엔 무리가 있다.

자 유민주주의라는 정치체제의 측면에서도 국가보안법은 국민이 다양한 의견을 자유롭게 개진하지 못하게 하는 측면이 있다. 진정한 민주주의 국가라면 법을 훼손하지 범위 내에서는 비폭력적인 정치활동을 다 포용해야 한다. 물론 친북좌파들의 일방적인 주장에 조금 화가 나고 그들을 비웃을 수도 있겠지만, 그들이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개진하는 걸 막는 것은 민주주의라고 보기 어렵다.

폭 력적인 행위로 국가에 혼란을 주거나 간첩행위를 한 사람들은 찾아서 이를 막아야 한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국민들은 ‘유아’가 아니라 ‘성인’처럼 대해야 한다. 오판을 내리고 그에 따른 책임을 지는 건 국가가 대신 해줄 수 없다. 국민 개개인의 판단에 맡겨야지, 모든 걸 국가가 간섭하려 해선 안 된다.

더욱이 남한이 개인숭배, 지도자 우상화를 하고 있는 후진국에 대해 위협적으로 느낄 필요가 있나. 그런 거짓말들은 나이가 들면 자연스럽게 알게 될 테고,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는 과정에서 충돌이 생길 수도 있겠지만 이 세상을 천국으로 만들 순 없는 일이다. 결국 국가보안법에 대한 논쟁은 남한 사회가 건전한 국가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생기는 성장통과 같은 것이라 생각한다."(계속)

작년 1만2000명 자녀姓 바꿨다 - 한국일보 / 2009-01-11

이진희 기자 river@hk.co.kr

'자녀 성(姓) 변경제도'가 처음 시행된 지난 한해 동안 1만2,000여명의 부모가 법원의 허가를 받아 자녀의 성과 본(本)을 바꾼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대법원에 따르면 지난해 자녀의 성과 본을 바꿔달라는 청구는 전국적으로 1만6,525건이 접수돼 1만4,269건이 처리됐다. 이 가운데 1만2,582건의 신청이 받아들여졌고 574건은 기각, 1,113건은 취하되거나 다른 법원으로 이송됐다.

지난해 민법개정으로 호주제가 폐지됨에 따라 생부나 생모 또는 성년이 지난 본인이 신청할 경우 이혼ㆍ재혼 가정의 자녀들도 법원의 허가를 받아 성과 본을 변경할 수 있게 됐다.

성 변경 신청의 대부분은 재혼 여성이 자신의 자식과 새 남편의 성을 같게 하려는 경우였고 혼자 사는 이혼 여성이 자신의 성에 맞춰 변경해 달라는 사례도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 성 변경과 함께 도입된 '친양자'에 대한 신청도 잇따라 1년 동안 2,498건이 접수돼 이 중 1,743건이 받아들여졌다. 친양자로 입양되면 입양한 부부가 혼인 중에 낳은 출생자로 간주돼 아이의 성과 본이 양부의 것으로 바뀌면서 일반 입양과 달리 친부모와의 법적 관계가 모두 소멸하게 된다.

[정책진단-껍데기만 남은 여성부] “여성정책은 죽었다”… 한해 예산 무려 95% ‘싹둑’ - 서울신문 / 2009-01-18

지난해 초 여성부는 정부조직개편의 격랑 속에서 가까스로 살아남았다. 주요 기능을 타 부처에 떼어주고 조직은 축소되면서 “간신히 목숨만 붙여놓은 것”이라는 우려를 자아냈다. 일반회계 예산규모는 2007년 1조 1994억원에서 2008년 539억원으로 1년 만에 95.5%가 줄어들었다. 여성정책을 총괄하는 한 부처의 예산 규모라고 하기엔 너무나 초라한 수준이다. 이같은 상황에서 여성 관계 전문가들은 “여성부는 살아남았지만 지난 1년간 여성정책은 죽었다.”고 서슴없이 비판한다.

●“여성정책 30년 전으로 후퇴”

익명을 요구한 한 정부부처 관계자는 18일 “지난 1년간 여성정책 자체가 실종됐다.”고 단언했다. 여성정책이 30년 전으로 후퇴한 느낌이라는 말도 덧붙였다.

그는 “지난 정권까지는 큰 틀에서 제도개선을 꾸준히 해왔고 호주제 폐지와 같은 성과도 있었다.”고 말했다. 또 “여성정책의 소프트웨어를 내실있게 다지는 단계에서 정권이 바뀌었는데 지금 정부가 생각하는 여성정책은 하드웨어 중심”이라며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만하면 하드웨어를 갖췄으니 여성부는 이제 필요없다.’는 게 새 정부의 관점이라는 것이다. 결국 존폐 논란 속에 살려두기는 했지만 정권 차원에서 큰 의미를 두지 않고 있다는 의미다.

이처럼 여성정책이 후퇴하는 근본적인 이유로 일각에선 청와대를 지목한다. 한 정부 관계자는 “여성의제 자체가 진보적인 성격이 있는건데 청와대에선 진보적인 의제를 백안시한다. 수석회의에서 여성의제가 견제받는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여 성부 역할축소는 여성정책 후퇴와 밀접한 연관관계에 있다. 여성부는 2005년 가족·보육업무를 맡으면서 남녀차별 개선업무를 국가인권위원회로 넘겼다. 하지만 지난해 가족·보육 기능은 보건복지부로 넘어갔다. 현재 여성부는 집행부처가 아니라 ‘정책협력부처’일 뿐이다. 이같은 환경에서 여성관련 정책을 성평등 관점에서 주도적으로 끌어가기엔 힘이 부친다.

●위상은 집행부처 아닌 ‘정책협력부처’

여 성부측은 이의를 제기한다. 정봉협 여성부 여성정책국장은 “그동안 성과를 거둔 인권이나 소수자 중심 정책이란 바탕 위에서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여성인력개발로 정책중심이 옮아간 것”이라면서 “정책전환 초기 과정에서 나타나는 과도기현상으로 이해해 달라.”고 밝혔다. 그는 “사회변화라는 게 급격하게 올라가다가 어느 시기에서 정체되는 시기가 있다.”면서 “장기적 관점에서 보면 다른 평가가 나올 것이라고 본다.”고 덧붙였다.

여성부 스스로 새로운 비전을 만들어내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여성정책 후퇴를 외부요인이 아니라 내부요인에서 찾아야 한다는 지적도 많다. 여성부는 지난해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여성정책의 패러다임을 바꾸겠다.”며 여러 정책목표를 내놓았다. 하지만 구체성이 떨어지고 새로운 정책수단도 부족했다. 가령 여성인력개발을 내세웠지만 여성 경제활동인구 660만명 가운데 441만명에 이르는 비정규직 대책은 아예 없었다. 목표로 했던 성평등기본법 제정도 결국 이루지 못했다.

●초심으로 돌아가야 산다

올 해 예산을 살펴보면 성평등정책 관련 예산의 증가폭은 미미하다. 지난해 9500만원 규모였던 외국인성매매피해여성보호 사업은 올해 전액 삭감됐다. 일본군위안부피해자기념사업도 6억원에서 1억원으로 83%나 깎였다. 집결지 성매매여성 자활지원사업도 54억원에서 21억원으로 줄었다.

김경희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여성부 업무는 여성부 단독으로 할 수 있는 게 아니라 정부차원의 협력이 필수”라면서 정부차원의 의지를 강조했다. 이어 “지난해부터 시행중인 3차 여성정책기본계획은 보육서비스 공공성확보를 강조한게 특징이다.”면서 “3차 계획이 충실히 이행되기 위해서는 국무회의나 여성정책조정회의 등 부처간 정책조정이 내실있게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오관영 함께하는시민행동 사무처장은 “여성부의 영문명칭에서 명확히 드러나듯 여성부의 존재이유는 ‘성평등’이다.”면서 “초심으로 돌아가야 길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성평등보다 여성인력개발·여성일자리창출 등 여성을 ‘대상’으로 한 사업에 편중되면 ‘중복업무’ 논란에서 빠져나갈 수가 없다.”고 꼬집었다. 권미혁 여성민우회 공동대표는 “성평등을 위한 의제설정과 정책개발에 더 많이 주력해야 한다.”면서 “정부차원의 여성정책 후퇴에 대해 여성부가 적극적으로 자기 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주문했다.

강국진기자 betulo@seoul.co.kr

Séoul appelle Tokyo à ne pas mener d'explorations sous-marines près d'un territoire en litige - XINHUA / 2009-01-09

SEOUL, 7 janvier (Xinhua) -- La Corée du Sud a demandé mercredi au Japon d'abandonner son projet d'exploration scientifique sous-marine près des îlots disputés de Dokdo, dont Tokyo réclame la souvertaineté et les appelle Takeshima, situés dans l'est de la péninsule coréenne, selon des médias locaux.

Selon l'agence de presse Yonhap, le ministère sud-coréen des Affaires étrangères a remis mardi par voie diplomatique un message clair à la partie japonaise pour qu'elle ne procède pas à un tel projet de recherches sans le consentement de Séoul.

"Il semblerait que le Japon soit arrivé dans la dernière phase de préparation du projet de recherches. Nous souhaitons que le Japon n'inclue pas les eaux près de Dokdo dans son plan définitif eu égard à ses relations avec la Corée du Sud", ont indiqué des responsables anonymes du ministère des Affaires étrangères cités par Yonhap.

Les remarques de Séoul sont intervenues après que le quotidien japonais Yomiuri Shimbun eût annoncé mardi à la une de son journal que Tokyo avait rédigé un plan étalé sur dix ans consistant à mener des études scientifiques poussées près de Dokdo pour identifier d'éventuels gisements de pétrole, de gaz et d'autres ressources énergétiques.

Les fonds marins autour de Dokdo pourraient renfermer un énorme gisement d'hydrocabures, a estimé Yonhap.

La Corée du Sud contrôle Dokdo depuis les années 1950.

lundi 26 janvier 2009

옛 도시들의 '침울한' 근대화 - 매일경제 / 2009-01-06

동국대 한국문학연구소 국제학술대회 열어

서울, 평양, 경주, 부여와 같은 우리 역사의 중심지는 일제 강점기 하에서 어떤 근대화 과정을 거쳤을까. 고적조사라는 일제의 왜곡에 수난을 당하고 일본인들이 방문한 최고의 관광지라는 찬사를 듣기도 한 우리 옛 도시들의 발전 과정을 조명하는 국제학술대회가 마련된다.
동국대 문화학술원 한국문학연구소는 9~10일 양일간 동국대 충무로영상센터에서 `고도(古都)의 근대 - 고도 인식과 표상을 통해 본 한.일 역사 인식의 비교`를 주제로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한다.

한국과 일본, 대만 학자 22명이 옛 도시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고 토론을 벌인다.

이순자 숙명여대 강사는 `일제강점기 고적조사의 정치학`을 통해 "일제가 고적조사 지역을 한사군 영역이었던 평양 부근과 경주를 중심으로 한 한반도 남부지역에 집중한 이유는 한국사의 타율적 역사를 문헌뿐만 아니라 유적.유물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는 의도가 깔려있었다"고 분석한다.

즉 "일제의 조선 식민지배를 정당화하기 위해 내걸었던 일선동조론, 타율성론 등을 유적.유물을 통해 구체적으로 증명하고자 이 지역에 대한 집중적인 고적조사사업을 강화하였던 것"이다.

이 강사는 "일제의 고적조사사업은 한국의 유적.유물을 조사하고 보존하며 나아가 한국의 전통문화를 보호한다는 미명하에 실시하였으나 결국은 일본이 보여주고 싶은 역사, 말하고 싶은 역사를 대변하는 증거물로 적극 활용함으로써 왜곡.재구성되는 극히 정치적인 성격을 띠거나 `보존`이라는 명분하에 유물이 유출되는 이중성을 드러낸 사업이었다"고 강조한다.

김백영 광운대 교수는 `청결의 제국, 오물의 고도-경성의 위생 담론과 공간정치`에서 일제가 청결을 이유로 우물을 파괴하고, 상수도를 건설했으나 상수도 사용비가 높아 일반 조선인들이 상수도를 사용하기 힘든 구조적인 모순이 있었다고 설명한다.

그러면서 우물의 품질이 훼손되고 상수원에 대한 접근 자격을 박탈당한 조선인들에게 강요된 선택지는 "고가이자 저질인 상수도이거나 과거보다 훨씬 더 더러워진 우물 사이의 양자택일이었을 뿐"이라며 일제시대 위생사업의 문제점을 짚는다.

나카다 다카유키 일본 에히메대 교수는 `제국 일본의 만선(만주와 조선) 관광지와 고도 경주의 표상`을 통해 일본인들의 조선여행은 "경성을 중심으로 한 도시 관광과, 금강산이나 평양 등 풍광명미(風光明媚)한 경승지 탐방, 고도나 옛 전장을 둘러보는 역사 관광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고 말한다

이 가운데 경주는 "일본의 `나라`와 같은 취급을 받으며 일본 만선 관광의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다"고 분석한다. 그러면서 "1910년대 후반부터 널리 행해지기 시작했던 `만선` 여행은 제국 일본의 확장주의적 문화정책으로서 추진된 관광 사업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는 말도 곁들인다.

이밖에 `식민지 상상 지리 속의 경주`(황종연.동국대), `전시된 조선과 민족의 기억(최지현.동국대), `한국 근대문학에 나타난 평양 표상(박성란.인하대), `고도의 폐허와 창조된 신도, 문학작품에 나타난 부여`(허병식.동국대), `무엇이 그리고 누가 타이페이를 현대적으로 만들었나`(소석빈.대만 세신대) 등 모두 11편의 논문이 발표된다.

buff27@yna.co.kr

(서울=연합뉴스) 송광호 기자

Un rêve de réunification - Courrier International / 2009-01-06

Un peintre et un musicien qui ont fui la Corée du Nord, sans toutefois renier leurs origines, rêvent de contribuer par leurs arts à la réunification intercoréenne, relate le Weekly Kyunghyang.

La première vague de réfugiés nord-coréens en Corée du Sud a commencé en 1998. Leur nombre atteint aujourd'hui quelque 14 000. Ils sont chaque année de plus en plus nombreux à demander asile à ce pays où ils réussissent à arriver au péril de leur vie, mais leur nouvelle existence n'est pas toujours facile, notamment à cause du regard biaisé des gens du Sud.
Son Mu, 36 ans, est artiste peintre ; Kim Chol-ung, 34 ans, est pianiste. Originaires du Nord, les deux hommes ont beaucoup de points communs. Ils ont réussi à se faire un nom dans les milieux artistiques de Corée du Sud, où ils jouent aussi le rôle d'initiateurs à la culture nord-coréenne auprès de la population locale. Chacun d'eux utilise un pseudonyme afin de ne pas compromettre la sécurité de sa famille restée au Nord. Son Mu, surtout, refuse d'être photographié, ce qui lui vaut d'être surnommé le "peintre sans visage". Son père, un médecin, et sa mère vivent de l'autre côté du 38e parallèle. Il a traversé le fleuve Tuman [Tumen en chinois] en 1998, et, après avoir erré trois ans en Chine, il est arrivé en Corée du Sud.

Né d'un père haut fonctionnaire et d'une mère universitaire, le pianiste Kim Chol-ung a quant à lui bénéficié de l'éducation réservée à l'élite nord-coréenne, avant de poursuivre sa formation au conservatoire Tchaïkovski, à Moscou. Il a été premier pianiste de l'Orchestre national de Pyongyang jusqu'en 2001, date à laquelle il a fui le pays. Arrêté en Chine, il a été renvoyé chez lui où il était sur le point d'être exécuté (considéré comme un criminel politique du fait de son statut d'intellectuel, il risquait une peine plus lourde que ceux que la faim pousse à passer la frontière), mais, sauvé in extremis, il a pu gagner la Corée du Sud. Le 18 avril 2009 prochain, il donnera un concert au Carnegie Hall, la célèbre salle new-yorkaise.

Sont-ils satisfaits de leur vie en Corée du Sud ? La réponse est mitigée. Chacun, pour des raisons qui lui sont propres, ne s'y sent pas complètement libre. Son Mu a récemment connu une mésaventure : une de ses œuvres retenues pour la biennale de Pusan a été décrochée du mur la veille de l'ouverture. Il s'agissait en fait d'un portrait de Kim Il-sung [père de Kim Jong-il, le "Grand Leader" de la Corée du Nord, décédé en 1994], que les organisateurs ont préféré retirer pour éviter d'éventuels ennuis. "L'an dernier, quand j'ai organisé une exposition personnelle, j'ai été interpellé par la police pour avoir accroché un portrait de Kim Jong-il. Mais je ne pensais pas avoir le même genre de problème lors d'un événement international. D'autant que mes tableaux disent justement que Kim Il-sung n'était pas le soleil de la Corée ! J'ai réalisé à cette occasion que le Sud avait aussi son idéologie et que la liberté d'expression n'y était pas totale."

Kim Chol-ung pointe du doigt des mauvaises pratiques des Sud-Coréens qu'il juge regrettables : "Les professeurs de musique exigent de leurs disciples qu'ils les imitent. Il suffit d'écouter le jeu d'un élève pour deviner qui est son maître ! Quant à moi, je dois faire plus d'efforts que les autres si je ne veux pas être méprisé à cause de mon origine nordiste."

Tous deux déclarent qu'ils ne veulent pas être jugés selon des critères politiques. Son Mu entend souvent dire : "Pourquoi vous attachez-vous à votre passé nord-coréen ? Passez à autre chose !" Mais il ne veut pas renier ce qui constitue son identité. "C'est ma vie en Corée du Nord qui a fait de moi ce que je suis aujourd'hui. Il est difficile dans ces conditions d'ignorer Kim Il-sung et Kim Jong-il, quelles que soient mes opinions à leur sujet. Je fais de l'art, c'est tout." Ses tableaux sont en effet loin de constituer un éloge des deux dictateurs. Un d'eux représente de trois quarts l'actuel dirigeant nord-coréen, tout sourire dans un survêtement de marques Nike et Adidas d'un rose inquiétant. Par dérision, il peint souvent avec des couleurs gaies la morosité et la crainte qui règnent dans la société nord-coréenne. Son art va probablement contribuer à rapprocher les Coréens des deux bords. De son côté, Kim, qui est aussi compositeur, rêve de contribuer à faire avancer la réunification : "Je créerai une musique qui parle aussi bien aux gens du Sud qu'à ceux du Nord."

500년 왕조의 넋을 담다 조선왕조의궤 - 조선일보 / 2008-12-11

박정혜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유네스코에서는 세계적 가치가 있는 귀중한 기록유산에 대한 인식의 증진과 보존 및 활용을 위해 1997년부터 2년마다 세계기록유산을 선정하고 있다. 조선왕조의궤는 2007년 6월 제8차 유네스코 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에서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됐다.

등 록 기준에 의거해 생각해 보면, 의궤는 ‘조선왕조 500년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며 ‘조선왕조를 초월하여 동아시아 유교문화의 정신적 가치를 반영하는 자료’일 뿐만 아니라, ‘세계 어디에서도 발견되지 않는 독특한 기록 양식을 지닌다’는 점에서 그 가치와 고유성을 인정받은 것이다.

의궤는 국가 및 왕실의 의례에 대한 전모를 글과 그림을 통해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기록한 것으로서 후대를 위한 참고 자료로 보존하기 위해 제작된 관찬官撰 기록물이다.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奎章閣에 소장된 546종 2,940책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藏書閣에 소장된 287종 4,790책이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돼 있다.

왕실문화 연구, 한국학 연구의 보고寶庫

*

의 궤는 가례嘉禮, 책봉冊封, 국장國葬, 존호尊號, 부묘, 각종 연향宴享과 같은 왕실 의례를 비롯하여 명나라 사신접대, 궁궐 영건 및 수리, 공신 녹훈, 실록實錄과 선원록璿源錄 등의 편찬, 보인寶印과 악기의 제조, 어진御眞 모사 등 국가적 차원으로 행해졌던 각종 의례에 대한 종합보고서의 성격을 지닌다. 이러한 의례의 준비와 진행은 임시로 설치된 도감都監의 책임이었으며 의궤는 행사 종료 후 따로 설치된 의궤청儀軌廳 소관이었다. 임시 준비기관은 행사의 규모에 따라 도감, 청廳, 소所로 나뉘며 의궤의 명칭도 그에 준하여 붙여졌다. 거꾸로 말하면 의궤는 각종 왕실과 국가 의례 중에서 임시 준비기관이 설치되었던 주요 의례에 한하여 편찬될 수 있었다.

의궤는 왕(혹은 황제)의 열람을 위한 어람용御覽用, 왕세자(혹은 황태자)의 열람을 위한 예람용睿覽用, 사고 및 관련 관청의 보관을 위한 분상용分上用으로 구분되며 어람용 및 예람용과 분상용은 제작과정, 장인, 재료 및 장황粧潢에서 엄격히 차별화됐다. 규장각에는 어람용과 예람용, 규장각용으로 제작된 고급의궤를 148종이나 소장하고 있다. 장서각에는 전라도 무주 적상산 사고에 보관되었던 의궤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일제강점기에 제작된 어람용 의궤 유일본을 보관하고 있는 점도 특기할 만하다.

의궤는 조선 건국 초기부터 제작되었으나 임진왜란을 지나며 소실됐고 현전하는 가장 오래된 의궤는 1600년 의인왕후의 국상 때 제작된 『빈전혼전도감의궤殯殿魂殿都監儀軌』와 『산릉도감의궤山陵都監儀軌』다. 시대가 흐름에 따라 의궤의 편찬체제가 잡혀갔고 18세기 중엽이 되면 전형적인 체제를 지니게 된다. 또 정조년간 이후에는 1795년乙卯 현륭원 전배를 기록한 『원행을묘정리의궤園幸乙卯整理儀軌』나 1797년에 완공된 화성 건설을 기록한 『화성성역의궤華城城役儀軌』, 19세기의 궁중연향 관련 의궤처럼 금속활자로 인쇄되고 그 이전에는 찾아볼 수 없었던 새로운 체제를 갖춘 의궤도 제작되었다.

의궤는 최근 20년 동안 조선시대 왕실문화 연구가 급진적으로 발전하는 데 절대적으로 기여했다. 의궤는 역사, 정치, 경제, 사회, 미술, 음악, 무용, 건축, 복식, 음식 등 다양한 분야의 한국학 연구자들에게 풍부한 자료로 활용됐으며 아직도 발굴되지 않은 보석 같은 자료가 의궤 속에는 가득 숨겨져 있으리라 기대한다. 그 자료의 방대함과 다양함은 실로 놀라워서 의궤를 한번 접해본 사람들은 누구나 그 무한한 매력의 세계에 빠지게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글과 그림의 상호보완을 통한 의례의 완벽한 복원

*

의 궤의 가치는 그 안에 수록된 시각자료를 통해 배가 된다. 시각자료라 함은 행렬반차도行列班次圖, 각종 의물의 견양도見樣圖, 배경이 되는 건축도, 행사도行事圖 등을 말하는데 의궤의 종류와 편찬 시대에 따라 차이가 있다. 의궤의 그림은 글로서 설명이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주고 글은 그림의 내용을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된다. 물론 모든 의궤가 다 그림을 수록하고 있는 것은 아니나 의궤의 그림은 꼭 필요할 때, 적재적소에서 내용을 보충해주고 있다.

반차도는 의궤의 종류에 따라 다른데, 가례도감의궤에는 별궁에서 신부수업을 받던 왕비가 동뢰연을 치르기 위해 입궁하는 행렬이 그려졌고 어진도사도감의궤에는 완성된 어진을 진전眞殿에 봉안하러 가는 행렬이 그려졌다. 행렬을 구성하고 있는 사람과 의장의 위치, 순서, 숫자를 정확하게 기록하는 데 초점이 맞춰진 그림이다. 좀 더 회화적인 그림은 영조년간에 『대사례의궤大射禮儀軌』를 통해 시도됐다. 『원행을묘정리의궤』에는 여러 형식의 그림들이 본문에 앞서 별도의 권수卷首에 실려 있는데 그림들은 종류의 다양함, 정확성, 과학적 사고의 반영, 회화적 우수함 등에서 『화성성역의궤』와 함께 의궤 그림의 꽃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의궤 그림을 통해 우리는 당시의 궁중 문화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프랑스에 소장된 외규장각의 어람용 의궤

의궤는 국내뿐만 아니라 영국, 프랑스, 미국, 일본, 카자흐스탄 등 국외에도 소장되어 있음이 조사됐다. 그중에서 프랑스 파리국립도서관 소장본 191종 297책 가운데 186종이 어람용 의궤라는 점이 우리의 관심을 집중시킨다.

많 은 어람용 의궤가 먼 이국땅에 소장된 연유는 원래 강화도 외규장각에 보관되어 있던 것을 1866년 병인양요 때 강화도를 점령했던 프랑스 군대가 퇴각하면서 본국으로 가져갔기 때문이다. 각 권이 상당한 무게인데다가 세로가 50cm, 가로가 35cm 가량의 작지 않은 크기의 의궤를 실어간 것을 보면 외국인의 눈에도 아름다운 비단 표지와 고급 놋쇠의 꾸밈새, 고급 지질, 화려한 채색 등이 높은 가치로 느껴졌음이 분명하다.



*

630 년(인조 8) 인목대비에게 올린 풍정을 기록한 『풍정도감의궤豊呈都監儀軌』에서부터 1754년(영조 30) 후릉·현릉·광릉·경릉·창릉·선릉·정릉의 표석을 세우는 과정을 기록한 의궤에 이르기까지 파리국립도서관 소장본 중에는 국내에 없는 유일본 의궤 30책도 포함되어 있다. 특히 『풍정도감의궤』는 가장 큰 규모의 궁중 연향을 의미하는 풍정에 대한 의궤로서 유일하다. 풍정은 숙종 이후로는 거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17세기의 궁중연향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기도 하다.

파리국립도서관 소장 외규장각 의궤에 대한 실사와 디지털화

파 리국립도서관 의궤는 그곳 사서로 근무하던 박병선 박사에 의해 1985년 국내에 소개되었고 1993년 한불정상회담에서 프랑스의 미테랑 대통령이 『휘경원원소도감의궤徽慶園園所都監儀軌』를 반환하면서 언론의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외규장각 의궤의 반환은 당시 일단 무산됐지만 반환협상은 지금까지도 진행 중에 있다.
다행히 2000년대에 들어 국가적 차원에서 두 차례에 걸쳐 현지 실사가 이루어졌고 이 사업의 결과로서 파리국립도서관 소장 의궤에 대해서는 문화재청 국가기록유산 포털사이트www.memorykorea.go.kr에서 간략 서지와 이미지들을 제공하고 있다.

국가기록유산 포털사이트는 국가지정의 국보, 보물, 중요민속자료, 시도유형문화재 등 중요 전적문화재들의 이미지와 텍스트, 서지, 해제, 그리고 이와 관련된 다양한 영상 콘텐츠들을 만날 수 있는 곳이다.

특 히 유일본 의궤 30종의 전체 원문, 어람용 의궤 12책의 비단 표지를 확인할 수 있어서 의궤 연구자들에게는 그간의 궁금증이 해소되는 더없이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독자 여러분도 품격 있는 어람용 서책의 장황과 분상용에서는 느낄 수 없는 어람용 반차도의 정세한 묘사와 아름다운 채색을 즐겨보시기 바란다.

lundi 5 janvier 2009

“한국학, 사회과학과 소통 절실” - 중앙일보 /2008-12-18

“한국학은 고전적인 인문학의 범주를 탈출해 사회과학 영역으로 확장되지 않으면 존립 자체가 위협 받을 수 있다.”

연 세대 박명림(45) 교수의 주장이다. 지금까지 한국학은 역사·언어나 전통 사상을 중심으로 “우리 것은 좋은 것”이라는 자기 긍정의 학문에 치우친 바가 컸다는 것이다. 이런 방식으로는 국제 학계에서 보편적인 관심을 불러 일으키기 어렵다. 한국학이 사회과학과 소통할 때 보편적 학문으로서 자리 잡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박 교수는 18일 연세대 국학연구원(원장 백영서) 6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에서 이런 주장을 내놓았다. 학술대회의 주제는 ‘21세기 한국학: 세계 보편 담론을 향하여’다. 박 교수는 ‘세계 보편 담론’으로서 한국학이 자리 잡을 수 있는 영역이 민주주의 연구라고 제안했다.

한 국은 2차 대전 이후 경제 발전과 민주주의를 동시에 이룬 나라로 손꼽힌다. 하지만 한국 민주주의의 발전과 경로가 인문학 위주의 한국학에서 중심 의제가 된 적은 없었다. 또 사회과학에서 민주주의 연구는 한국의 정당 정치나 제도사를 서구 이론을 통해 해설하는 정도에 그친다. 박 교수는 “이승만·신채호·안중근이나 임시정부 헌법 등에 대한 연구를 독립운동의 관점에서가 아니라 민주주의·인권·평등의 관점에서 접근한다면 더 풍부한 성과를 거둘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한국학과 민주주의론의 ‘쌍방향 통합’이 성공하면, 남미의 민주주의 연구에서 종속이론이 만들어진 것처럼 한국학에서 새로운 학문적 패러다임이 나올 수 있다”고 기대했다.

박 교수는 민주주의 연구를 가로막고 있는 가장 큰 장애물이 ‘이념의 과잉’이라고 말했다.  

배노필 기자

['직지'고장 청주서 조선 첫 금속활자 복원] - 매일경제/2008-12-18

세계 최고(最古) 금속활자 인쇄본인 `직지심체요절`의 고장 청주에서 조선시대 첫 금속활자 계미자를 비롯해 임진왜란 이전에 사용된 금속활자가 복원됐다.

청주시는 청주고인쇄박물관이 경북대 영남문화연구원, 청주대 한국문화연구소, 한국학 중앙연구원 등과 공동 연구를 통해 임진왜란 이전까지 조선시대에 사용된 금속활자 11종의 복원에 성공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에 복원된 활자는 태종 3년(1403년)에 조선시대 첫 금속활자로 만들어진 계미자를 비롯해 경자자(1420년), 병진자(1436년), 경오자(1450년) 등과 16세기 초 중종때 제작된 병자자(1516년) 등이다.

이들 활자는 대부분 왕들이 자신의 통치철학 등을 널리 알릴 목적으로 각종 책자를 대량 제작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조선시대 인쇄문화 발전의 변천사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들 활자 복원에는 경북대와 청주대의 문헌정보학과 교수 3명, 한국학 중앙연구원 고문헌 관리학과 교수, 국립중앙과학관 학예연구관, 청주고인쇄박물관 학예연구사 등이 참가, 지난 2월부터 조선시대의 각종 문헌을 연구해 활자주조방법, 조판방법 등을 찾아냈다.

또 금속활자장 전수조교인 임인호씨가 활자 주조, 조판, 인출 등을 금속활자의 옛 모습 그대로 복원해 냈다.

연구진들은 이날 `2008 조선황실 주조 금속활자 복원사업 최종 보고회`를 갖고 복원한 계미자 등으로 찍어 낸 `송조표전총류` 등의 인쇄물과 함께 연구성과를 공개했다.

청주고인쇄박물관은 지난해에도 갑인자 계열의 활자 등 조선시대 10종의 금속활자를 복원하기도 했다.

이 박물관은 내년에도 각각 임진왜란 이후 만들어진 금속활자 10여종을 복원하는 등 2010년까지 조선시대 활자 35종을 복원할 계획이다.

청주고인쇄박물관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가장 위대한 문화유산인 `직지`를 비롯한 금속활자와 인쇄문화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 활자복원 사업을 벌이고 있다"며 "이 작업은 인쇄문화가 우리나라 역사발전에 어떤 역할을 했는 지를 보여주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bwy@yna.co.kr

(청주=연합뉴스) 변우열 기자

러 지리학자 “독도는 한국땅” - 서울신문 /2008-12-11

러 교사들에 독도 강연 글루시코프 자연사연구소 부소장

“독도는 한국의 고유한 영토임이 분명합니다.독도가 한국 영토라는 걸 증명하는 고문서와 지도는 많습니다.일본인들은 독도가 자신의 영토라고 강변하고 있지만 근거가 없으니 부당한 주장이죠.”

한국인이 아닌 러시아 지리학자의 말이다.주인공은 러시아 국립과학아카데미 발레리 글루시코프 자연사 연구소 부소장.지리학 박사로 2000년부터 독도 문제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그는 현재 러시아 내 최고의 독도 전문가다.

그 가 10일(현지시간) 러시아 교육아카데미 세미나실에서 현지 지리·역사 교사 20여명을 상대로 ‘독도’ 강연을 펼쳤다.‘한국강좌 시리즈’ 첫 순서로 마련된 이날 강의에서 러시아 교사들은 그가 준비한 독도 관련 영상 자료에서 눈을 떼지 못했다.

독도 의 역사적 유래를 알아내기 위해 러시아에 있는 고지도를 모두 뒤지고 영토 분쟁을 다루는 국제법까지 공부했다는 글루시코프 부소장은 “최근 한국을 찾아 러시아 학자와 한국 학자들이 독도 문제에 함께 힘을 모으기로 했다.”고 말했다.

정서린기자 rin@seoul.co.kr

[코리아인앤아웃] 어떻게 조사했나…국적포기자 9만명 8개월간 분석 - 쿠키뉴스 /2008-12-12

[쿠키 사회] 정부수립 60주년을 맞은 올해 재외국민 참정권 실현 방안이 가시화되는 등 재외동포에 대한 관심이 부쩍 높아지고 있다.

본보는 재외동포의 현주소를 파악하기 위해 지난 3월부터 8개월에 걸쳐 법무부가 관보에 게재하는 국적포기자 명단을 수집, 9만873명에 대한 기본 정보를 자료화해 이를 분석했다. 고려대 사회학과 이명진 교수와 함께 전문 통계 분석 프로그램인 SPSS와 지리정보 시스템(GIS)을 활용, 이들의 본적·생년월일·국적포기일자·국적을 취득한 국가·국적 포기 사유를 입체적으로 살펴봤다.

이들 명단에 재외동포와 신규이민자가 혼재돼 있는 사실에 유념해 대한사회복지회·재외동포재단·보건복지가족부·법무부·외교통상부에 문의해 이들의 특성을 세분화했다. 분석 결과 일본 국적 취득자의 국적 포기 사례가 가장 많다는 점과 국적 포기 사유가 시대상의 변천에 따라 다변화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또 영·유아의 해외입양이 여전하다는 사실과 이른바 ‘허리 세대’인 20∼40대가 한국을 등지고 있다는 사실, 50대 이상의 은퇴 및 투자이민이 증가하는 실태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미국·일본·호주·필리핀의 한인타운을 직접 찾아 이들의 실상을 추적했다.

재외동포들의 실상은 한국에서의 예상과는 달랐다. 미국의 심장부인 뉴욕에 부촌(富村)을 건설하며 살아가기도 했고 한국의 숨막히는 사회환경과 기업문화를 등지고 조국을 ‘탈출’한 젊은이들도 많았다. 한국의 해외 이민 양태는 이제 한 단어로 정리할 수 없을 정도로 다양화됐다.

특히 일본에서 확인한 변화상들은 놀라웠다. 미국, 캐나다 등 이민 인기국가를 제치고 국적포기자가 가장 많았던 일본의 경우 ‘민족적 자존심’ 대신 실리를 택하는 젊은이들이 크게 늘고 있었다. 교포 2·3세들은 ‘자이니찌(在日)’라는 이름으로 차별받는 대신 일본 국적을 갖고 살아가는 방안을 택했다. 폐쇄적인 일본 사회에서 외국인으로 살아가는 데 어려움을 실감할 수 있었다.

이 교수는 “재외동포와 이민자 등 국적포기자에 대해 9만명 이상의 데이터베이스를 확보해 분석한 것은 전례를 찾기 힘든 일”이라며 “재외동포를 껴안기 위한 정책을 마련하고 귀화 외국인의 정착 지원 시스템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뉴스 분석 일본이 내년에 개정할 고교 교과서 지도요령에서 독도를 언급하지 않아 냉각된 한·일 관계가 풀릴 조짐을 보이고 있다. - 중앙일보 / 2008-12-22

뉴스 분석 일본이 내년에 개정할 고교 교과서 지도요령에서 독도를 언급하지 않아 냉각된 한·일 관계가 풀릴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일본은 지난 7월 중학교 학습요령 해설서에 독도가 일본 영토라고 기술,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개선 움직임을 보이던 한·일 관계를 악화시켰었다.

일 본 문부과학성이 22일 마련한 교과서 학습지도요령 초안에 따르면 “일본의 위치와 영역, 국가 간의 관계 등에 대해 이해시킬 것” “일본의 위치와 영역에 관련해선 세계적 시야에서 일본의 위치를 파악하는 동시에 일본의 영역을 둘러싼 문제도 언급할 것”(지리A 과목)이라고만 기술돼 있다.

지리B 과목 초안도 “현대 세계의 민족·영토 문제를 대관(大觀)시킬 것”이라고만 기술하면서 독도는 언급하지 않았다.

문부과학성은 이 초안을 놓고 한 달간 여론 수렴 기간을 거쳐 내년 1월 말~2월 초에 최종안을 확정해 관보에 공시할 전망이다.

일 본의 이 같은 조치는 지난 13일 한·중·일 정상회담을 계기로 회복 기미를 보이고 있는 한·일 관계를 악화시키지 않으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요미우리(讀賣) 신문에 따르면 아소 다로(麻生太郞) 총리가 내년 1월 10일부터 사흘 일정으로 한국 방문을 추진 중인 것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신문은 22일 “아소 총리가 한·일 셔틀외교의 일환으로 방한해 이명박 대통령과 금융위기, 북핵 문제를 논의할 계획”이라며 이같이 보도했다.

지 난 4월 이명박 대통령의 방일로 정상화의 길로 들어서던 한·일 관계는 7월 독도 사태를 계기로 급랭했다. 권철현 주일대사는 역대 주일 대사 중 최장 기간인 3주간 본국에 소환됐다. 한국 등 주변국과의 관계 개선에 집중했던 후쿠다 야스오(福田康夫) 당시 총리의 지지율 역시 독도 사태로 추락을 면치 못했다.

따라서 일본 정부가 이번에 독도 언급을 피한 것은 내각 지지율이 20% 아래로 떨어진 가운데 더 이상 외교 분야에서 분쟁 소지를 만들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으로 분석된다.

하 지만 해가 바뀌어도 지지율이 계속 떨어지면 아소 총리가 지지율 만회를 위한 마지막 카드로 영토 문제를 꺼내 들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도 있다. 자민당의 주요 지지 기반인 극우파들이 “일본은 영토·역사 문제에 강경 대응해야 한다”고 당에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도쿄=박소영 특파원

"한국,中전통문화 보존에 공헌"[中학자] / 매일경제 / 2008-12-27

중국의 저명한 역사학자인 거젠슝(葛劍雄) 교수는 27일 한국은 중국의 전통문화를 보전해온 공헌이 크다고 말하고 중국은 한국과 역사 해석 문제로 다툴 필요가 없다고 주장했다. 중국 푸단(復旦)대학 도서관장 겸 중국역사.지리연구소 교수인 거젠슝 교수는 이날 광둥(廣東)성 과학도서관에서 열린 포럼에서 '개혁.개방과 중국의 현대화'를 주제로 강연하면서 이같이 주장했다고 포털 사이트 써우후(搜狐:www.sohu.com)가 28일 보도했다.

거젠슝 교수는 한국이 중국 전통 문화를 보존한 것은 중국 국익에도 도움이 된다고 강조하고 중국은 역사에 대한 과장이 없느냐고 반문하면서 한국의 역사에 대한 과장을 이해할 수 있다고 말했다.

거젠슝 교수는 또 국민성은 명학하게 규정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고 말하고 민족간에 구별이 있는 것도 사실이어서 민족주의는 피할수 없고, 정부들이 민족주의를 이용하고 있지만 정도를 넘어서는 안된다고 역설했다.

sdcho@yna.co.kr

(베이징=연합뉴스) 조성대 특파원

[특파원칼럼] "한국은 과연 통일을 원하는가?" / 조선일보 / 2008-12-19

이하원·워싱턴 특파원 May2@chosun.com

현재 미 국무부에서 한반도 정책을 총괄하는 동아태 차관보는 크리스토퍼 힐(Hill)이지만, 4년 전 그 자리에는 제임스 켈리(Kelly) 가 있었다.

미국의 초대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를 역임한 그는 대북(對北) 온건파로, 지금의 힐 차관보 못지않게 남북한의 주목을 받은 인물이다. 다변(多辯)의 힐 차관보와는 달리 다소 어눌한 켈리 전 차관보는 한국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드러낸 적이 별로 없다. 지난해 5월 그를 인터뷰했을 때도 북한과 관련된 발언만을 주로 들을 수 있었다.

그랬던 켈리 전 차관보가 미국의 닉슨 연구소가 발간하는 '내셔널 인터리스트' 최신호에서 한국에 대해 비판적인 분석을 했다.

그는 '지금 당장은 두 개의 한국(Two For Now)'이라는 제목의 기고에서 미국 사회 일각에서 제기하는 북한 붕괴론의 문제점을 비판했다. "북한을 제거하는 것은 희망일 뿐이며, 이를 급속히 추진하는 것은 위험하고 비용이 많이 들 수 있다"는 것이다.

그 러면서 '한반도 현상유지'의 중요한 논거(論據)로 삼은 것은 한국사회의 북한에 대한 태도였다. 그는 "한국의 비약적인 경제적 성공은 역설적으로 한국 국민들이 분단의 현상유지를 편안하게 여기며 살도록 만들었다"고 지적했다. 또, 한국인들은 추상적으로는 통일을 선호하지만 경제적 궁핍과 북한 주민들을 흡수해야 하는 잠재적인 비용을 두려워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 결과가 "북한에 대한 엄청난 무관심과, 한국 정부의 정치적 성향에 관계없이 북한과의 긴장을 회피하고 심지어 '보호용' 자금을 주는 경향을 낳았다"는 것이다.

한반도 정책을 4년간 담당했던 켈리 전 차관보의 분석은 분단국가인 한국이 미국에 어떻게 비치는지를 정확하게 보여주는 사례다. 미국 정부 관계자와 한반도 전문가들은 한국 내에서 북한 인권에 대해서 말하면 "또 그 이야기냐"며 지겨워하는 상황을 잘 알고 있다. 이들은 보수주의 정권이 들어선 후에도, 북한의 '협박'에 굴복해서 집권당 대표까지 나서서 민간단체의 대북 삐라(전단) 살포를 가로막는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탈북자들이 한국 대통령보다 미국 대통령을 만나는 것이 훨씬 더 쉽다"며 조소(嘲笑)하는 한반도 전문가들도 있다.

워싱턴 포스트가 최근 국제면 톱기사와 사설을 통해 북한의 강제수용소를 탈출한 신동혁씨를 보도하면서 한국의 대북 무관심을 지적한 것도 이런 맥락이다. 이 신문은 "신씨가 살고 있는 한국에서 단지 500명만이 그의 책을 샀다는 사실은 끔찍하다(horrifying)" 고 비꼬았다.

문제는 미국의 한반도 전문가들과 언론의 이 같은 분석이 낯뜨겁게 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한국의 대북 무관심과 한국이 북한의 위협에 잇달아 굴복하는 현실은 미국의 대(對)한반도 정책 형성에 고스란히 반영된다. 미 국무부, 국방부의 정책 결정 담당자들이 한반도 정책을 논의할 때 켈리 전 차관보처럼 당분간은 한반도 통일이 아니라 현상유지를 해야 한다고 주장할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건강 이상설이 제기되면서 북한 문제는 내일 처리해도 될 문제에서 '오늘의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사회가 전체적으로 북한에 대한 태도를 바꾸지 않는 한, 워싱턴에서 한국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바뀌기는 어려울 것 같다.

신뢰도 떨어진 한국사회…직장인 불신 심각 - CNB뉴스 / 2009-12-22

김대희 기자 CNB뉴스,CNBNEWS ,씨앤비뉴스

한국사회에 대한 신뢰가 떨어지면서 직장인들의 불신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개혁이 가장 시급히 이뤄져야 할 분야는 '정치'로 나타났다.

22일 온라인 리크루팅 업체 잡코리아가 지난 1일부터 10일까지 국내외 기업에 재직 중인 남녀 직장인 1,58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사회 개혁 필요성 인지 여부’ 조사 결과, 국내외 기업에 재직 중인 직장인 10명 중 8명은 ‘한국사회에 대해 신뢰할 수 없다’고 답했으며, 불신의 정도는 남성 직장인(82.3%)이 여성 직장인(76.9%)에 비해 더 깊었다.

자세히 살펴보면, 설문에 참여한 남녀 직장인 80.0%(1,265명)가 ‘한국사회를 불신한다’고 답했으며, ‘한국사회를 신뢰한다’고 답한 직장인은 7.4%에 불과했다. 특히, 남성 직장인들의 불신 정도는 82.3%로 여성 직장인(76.9%)에 비해 5.4%P 더 높았다.

또한, 국내 직장인들은 우리나라 사회 전반에 걸쳐서 개혁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한국사회에 개혁이 필요한가’에 대해서는 10명 중 9명 수준인 91.7%(1,449명)의 직장인이 ‘개혁이 필요하다’고 답했고, 개혁이 가장 시급히 이뤄져야 할 분야(*복수응답)로는 ‘정치(72.0%)’를 꼽았다.

다음으로 관공서 및 공무원 조직(48.0%), 초/중/고등학교 교육(41.3%), 노동계(21.1%), 대학(19.2%), 의료기관(14.0%), 종교단체(13.8%), 시민운동 단체(8.7%), 문화/예술/체육계(7.0%), 군대(6.5%), 환경운동 단체(4.6%) 등의 부문에서 개혁이 이뤄져야 한다고 답했다.

개혁을 이루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해당 기관의 자체적인 개혁의지(42.4%)’가 1위로 뽑혔으며, 다음으로 시민들의 개혁의지(31.9%), 정부의 지원(23.3%)등의 의견이 있었다.

한편, 우리나라가 과거에 비해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있는지는 63.9%의 직장인이 ‘긍정적으로 변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예나 지금이나 똑같다’는 의견은 20.4%, ‘부정적으로 변하고 있다’고 답한 의견은 15.7%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