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ndredi 19 décembre 2008

Ces médecins français au chevet de Kim Jong-il / Le Figaro, 11/12/2008

Georges Malbrunot

Le leader nord-coréen aurait visité le zoo de Pyongyang récemment. Un neurochirurgien français appelé en octobre au chevet de Kim Jong-il lève un coin du voile : «Les photos qui viennent d'être publiées me paraissent actuelles et authentiques. Il me semble qu'il est aux commandes du pays.» Crédits photo : AFP
Pour la première fois, des chirurgiens français témoignent sur leurs consultations secrètes auprès des dirigeants nord-coréens depuis plus de quinze ans.

Au printemps 2004, le professeur Yves Boin (1) reçut un étrange appel téléphonique. «Les services de renseignement français pensaient que j'étais en possession d'un tube de sang du leader Kim Jong-il, qui aurait eu le sida», raconte ce neurochirurgien, qui fut l'un des premiers membres de la filière médicale française à soigner des dignitaires de la nomenklatura nord-coréenne. C'était au début des années 1990. Il s'agissait de la femme de Kim Jong-il, sa favorite, Ko Young-hee, atteinte alors d'un cancer. Sécurité oblige, son entourage allait exiger qu'un étage entier de l'hôpital fût vidé ! «Ils étaient prêts à payer, mais je m'y suis opposé», se souvient ce chirurgien, aujourd'hui à la retraite, qui opéra, de nouveau, quelques années plus tard cette ancienne actrice, avant qu'elle ne succombe à la maladie à l'Institut Curie, à Paris, où elle avait été transférée dans le plus grand secret en 2004.
Le régime communiste récompensa le Dr Bouin, en l'invitant régulièrement à Pyongyang pour du «conseil médical». Le spécialiste y séjourna à quatre reprises, en famille, hébergé dans un hôtel qui disposait d'un système de couloirs souterrains, permettant d'accéder directement aux appartements du dictateur. Ensuite, «dès qu'il y avait un problème, poursuit le médecin, les Nord-Coréens m'appelaient pour récupérer des valves cardiaques, ou pour que je leur procure de l'héparine». Les contacts étaient initiés par Tchoë-il, leur représentant auprès des Nations unies à Genève, la très secrète cité suisse, qui sert au régime à la fois de porte ouverte sur le monde et de coffre-fort. De là, Tchoë-il, parfaitement francophone, va tisser des liens avec une poignée de praticiens français, qui parviendront à percer l'un des secrets les mieux gardés au monde, celui entourant la santé du dirigeant de la dernière citadelle communiste sur la planète, celle-là même que George Bush a placée sur l'«axe du mal», pour avoir fabriqué l'arme nucléaire.
Une valise remplie de won
Dernier d'entre eux à s'être rendu, fin octobre, au chevet de Kim Jong-il, François-Xavier Roux, chef du service de neurochirurgie de l'hôpital Sainte-Anne, à Paris, a accepté, pour la première fois, de lever un coin du voile sur sa mission à Pyongyang. «Kim Jong-il a été victime d'un accident vasculaire cérébral, mais il n'a pas été opéré. Aujourd'hui, il va mieux. Les photos qui viennent d'être publiées me paraissent actuelles et authentiques. Il me semble que Kim Jong-il est aux commandes de la Corée du Nord. Je ne peux pas en dire plus, je suis tenu au secret médical et au secret d'État», affirme cet ami du ministre des Affaires étrangères, Bernard Kouchner, un ancien comme lui de l'ONG, Médecins du monde.
À chaque gros pépin de santé du leader ou d'un de ses proches, un médecin français accourt à Pyongyang. En novembre 1991, Kim Il-sung, le fondateur du pays et père de l'actuel dictateur, souffrait d'une déficience cardiaque. Après avoir essuyé un refus de la Suisse, Tchoë-il se tourna vers des cardiologues lyonnais. «Il est arrivé un jour en nous présentant un électrocardiogramme d'un patient qui nécessitait l'implantation d'un pacemaker», se rappelle un anesthésiste. De qui s'agit-il ? «D'une personnalité nord-coréenne, c'est tout ce qu'on nous répondit.» Dix jours plus tard, l'anesthésiste, un chirurgien, sa femme, et une infirmière embarquèrent pour Pyongyang, dûment accompagnés par l'inévitable Tchoë-il. Première surprise : à l'aéroport de Genève, dix énormes sacs, enregistrés au titre de la valise diplomatique, donc dispensés de contrôle, jouxtent leurs bagages. L'équipe médicale découvrira leur contenu à son arrivée à Pyongyang : 350 stimulateurs cardiaques, d'une valeur totale d'environ un million de francs de l'époque (650 000 euros). «C'est ainsi que le régime contourne les sanctions qui le frappent pour s'approvisionner en matériels ou en médicaments rares» , constate le Dr Bouin.
Après avoir posé une quinzaine de pacemakers à de jeunes militaires, un soir, on les avertit que le patient du lendemain serait une personne âgée. Mais sur la table d'opération, pour qu'on ne le reconnaisse pas, l'homme portait des lunettes aux verres brisés. Ce n'est qu'à leur retour en France que l'équipe médicale aura la certitude qu'elle avait bel et bien soigné Kim Il-sung. Le Quai d'Orsay lui demanda, en effet, de confirmer une requête de la Corée du Sud, qui avait été mise au courant de la présence de chirurgiens étrangers auprès de leur voisin… Pour les remercier, les Nord-Coréens leur offrirent, à chacun, une valise remplie de won, la monnaie locale. Modeste solde, en fait ! «Tous les soirs, on nous emmenait dans des magasins où l'on a dû dépenser l'équivalent de 700 euros d'aujourd'hui», se souvient l'anesthésiste, qui ramena du parfum local à son épouse.
«On ignore qui on opère»
Quelques années plus tard, c'est Kim Jong-il, qui se blessera en faisant une mauvaise chute à cheval. Traumatisme crânien avec hémorragie cérébrale, pronostiquèrent des médecins locaux. «Faut-il l'opérer ?», s'interrogea la famille. Dans le doute, on sollicita un neurochirurgien parisien, qui se souvient encore avoir vu «débarquer» dans son bureau deux diplomates nord-coréens, le priant de partir immédiatement. «Un grand scientifique était malade, me jura l'un d'eux, tandis que l'autre ajoutait “ah, c'est idiot, j'ai oublié son dossier médical à Pyongyang”, en me dessinant le résultat du scanner qu'il avait volontairement laissé en Corée du Nord pour préserver l'anonymat du patient.»
Le neurochirurgien se rendit sur place, mais à Pyongyang, il ne vit jamais le malade. Seulement des images de scanners que lui présentèrent des médecins. Finalement, le Français estima qu'une opération n'était pas indispensable. Mais la famille de Kim Jong-il ne se satisfit point de cet arbitrage. Elle en réclama un second, et fit venir de Lyon deux autres neurochirurgiens, qui rendirent le même avis, sans savoir, bien sûr, que d'autres les avaient précédés. Quelques années plus tard, l'un des Lyonnais, appelé de nouveau à Pyongyang, constata que le goût du secret y était toujours aussi fort : «J'ai opéré une douzaine de patients du rachis lombaire, sans savoir qui c'était», avoue ce chirurgien, qui allait connaître quelques sueurs froides. Les Nord-Coréens autorisèrent sa femme à rentrer en France, sitôt ses interventions terminées, mais lui dut patienter une semaine supplémentaire… Un souvenir aigre-doux quand on se rappelle que des Japonais ont mystérieusement disparu en Corée du Nord dans les années 1970.
Entre le milieu médical français et la Corée du Nord, la relation n'est pas à sens unique. Paris est une capitale très prisée du régime communiste. «Régulièrement, raconte un chirurgien parisien, je suis contacté par des diplomates nord-coréens qui me demandent de rédiger une invitation afin qu'un de leurs responsables obtienne un visa pour se faire soigner à Paris.» Le document est délivré, en général, par le consulat de France à Pékin, étape obligée sur la route de Pyongyang. Informé de ces allées et venues, le ministère de l'Intérieur place discrètement une équipe de la DST sur les traces de ces «patients nord-coréens à haute valeur ajoutée».
Mystérieux suicide à Paris
C'est le cas notamment du fils aîné du leader, Kim Jong-nam, 37 ans, qui était encore à Paris en octobre. Ce noceur défraye régulièrement la chronique, pour ses virées à Macao et Pékin. «Un peu grassouillet», d'après l'un de ses médecins parisiens avec qui il communique par courriel, Jong-nam souffrirait de problèmes cardiaques, comme son père et son grand-père… Après des études en Suisse, cet héritier potentiel est parfaitement francophone. Comme sa cousine germaine, Jan Kung Song, qui étudiait à Paris, avant d'y être retrouvée morte en août 2006. Un suicide, selon certains. À 29 ans, la nièce du dictateur aurait refusé de rentrer au pays… Une mystérieuse disparition sur laquelle les médecins français et la DST affichent le plus grand silence.
Pourquoi la Corée du Nord choisit-elle des spécialistes français ? «Notre médecine est l'une des meilleures au monde», répond un des chirurgiens. «Et puis, ils doivent apprécier une certaine indépendance de la politique française», ajoute-t-il. Quant aux praticiens, «c'est le genre de voyage qui pimente notre vie», résume l'un d'eux.
(1) Pour préserver le secret médical, les médecins ont accepté de répondre à nos questions sous le couvert de l'anonymat ou sous un pseudonyme.


Source : http://www.lefigaro.fr/international/2008/12/11/01003-20081211ARTFIG00047-ces-medecins-francais-au-chevet-de-kim-jong-il-.php

lundi 15 décembre 2008

[인터뷰] 국제교류재단 공로상 도이힐러 교수 / 매일경제 2008-12-02

"홍(洪)씨라..본관이 어디인가요?" 한국역사 연구와 교육에 탁월한 업적을 인정받아 제1회 한국국제교류재단(이사장 임성준) 공로상 수상자로 뽑힌 마르티나 도이힐러(73.여) 런던대학교 동양.아프리카대(SOAS) 명예교수는 '한국학의 대가' 답게 취재기자 명함을 받자마자 유창한 한국어로 '성씨 본관'을 물었다.
도이힐러 교수는 한국학 연구의 현주소에 대해 "요즘 국내외를 막론하고 한국학을 공부한다는 사람들이 말은 유창해도 한자 공부를 잘 안하는 편이라 안타깝다"며 운을 뗀 뒤 "어렵다고 한문 공부를 안하면 어떻게 한국의 유구한 역사와 문화, 전통의 핵심을 연구할 수 있겠는가"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그는 자신의 한자 실력을 묻는 '도발적인 질문'에 "5천자는 넘겠지요"라고 했다가, 금방 "이젠 늙어서 많이 잊어버렸으니 한 4천∼5천자쯤 되겠다"고 수정했다.

스위스 출신의 하버드대 박사(역사 및 극동언어)로 유럽한국학회(AKSE) 창립회원이자 영국 학술원 회원인 그는 현재 서강대 사학과 초빙교수로 국내에 체류중이다. 10일 오후 7시 호암아트홀에서 국제교류재단상을 받는다.

다음은 일문일답.

-- 서양 사람으로서 한자 공부하는 게 어렵지 않았나.

▲라인대학에서 먼저 중국 고전을 연구하고 한국학을 해서인지 한자 때문에 큰 고생은 없었다. 오히려 표현 방식이 광범위하고 복잡한 문법체계를 가진 한글이 더 어려웠다.

-- 한자교육의 필요성을 역설해왔는데.

▲40년 전 한국에 처음 왔을 때만해도 주변이 온통 한자 투성이었다. 그런데 지금은 '한글 전용 교육' 등의 때문인지 한자를 찾아보기가 힘들다. 특히 요즘 대학생을 비롯한 한국의 젊은 세대들이 한자 공부를 열심히 하지 않아 학자나 일반인의 입장에서 볼 때도 몹시 안타깝다. 한글이 우수한 글자임에는 틀림없지만 한국의 전통문화가 담긴 한자 공부를 병행할 때 한글의 우수성도 더욱 빛날 수 있다고 본다.

-- 한국학에 관심을 갖게된 배경은.

▲하버드대에서 박사학위 주제인 구한말 외교사를 공부하던 1967년 서울대 규장각에 개항 당시와 관련된 풍부한 사료가 있다는 말을 듣고 처음 한국에 와 2년간 규장각 사료를 뒤적이며 공부했다. 1973년 다시 한국에 왔고 1975년 취리히대 한국학 교수로 임용됐다. 1988년 한국학 연구센터가 세워진 런던대로 자리를 옮긴 이후 거의 해마다 한국을 찾아왔다.

-- 1992년 출간된 저작 '한국의 유교적 변환: 사회와 이데올로기 연구'(하버드대 출판부)으로 각종 학술상을 휩쓸었는데.

▲한국학 전문가 소리를 듣기에는 아직도 가야할 길이 멀다고 본다.

-- '한국의 유교적..' 책의 한글판이 12년만인 2004년에야 나온 이유는.

▲역사학에는 특별한 이론이 필요없어서 문화인류학의 이론을 빌려 연구한 때문인지 여러 학문 분야에 관련된 각종 용어들이 몹시 어려운 편이다. 모 대학 교수들이 번역하다가 도중에 포기했다.

-- 한국학 진흥을 위한 주요 과제는.

▲한국정부의 재정 지원도 많이 늘고 좋은 시설도 갖추고 있는 등 과거에 비해 여건이 좋아졌지만 열정을 가진 연구 인력을 찾는 게 중요하다. 또, 어떤 작업이나 일정한 시간 과정이 필요하다. 조급한 마음으로 무언가 하루아침에 이루려 애쓰지말고 꾸준히 연구 인력을 양성하는 것이다.

-- 한국학의 세계화를 가로막는 장애물로 영어구사 인력 문제를 제기했는데.

▲한국의 학계가 당면한 큰 문제중 하나가 외국어 능력을 갖춘 인재가 크게 부족한 것이다. 해외에서 토론 등을 통해 좋은 아이디어들을 얻어야 하는데 한국의 학자들은 언어 문제 등으로 인해 이런 혜택을 누리지 못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 영어 뿐 아니라 한국어로도 충분한 논의를 못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학문의 발전을 위해 이처럼 의사소통 수단의 확보가 중요한데 영어는 '링구아 프랑카'(lingua franca 모국어를 달리하는 사람들이 상호이해를 위해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언어) 역할을 잘 해왔다.

-- 한.중.일 등 동아시아 연구에서 한자도 일종의 '링구아 프랑카'가 될 수 있나.

▲그렇다. 조선시대만해도 한.중.일 3국은 한자를 매개로 한 필담을 통해 의사소통을 하지 않았나. 다만, 최근 중국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3개국 모두 옛날 한자(번체자) 대신 간체자를 배우는바람에 번체자와 간체자에 각각 익숙한 기성 세대와 젊은 세대간 소통에 어려움이 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 현재 준비중인 연구 주제는.

▲유교사상이 조선시대의 사회사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빠르면 내년말까지 안동과 남원 등 향촌지역의 사족(士族) 연구를 할 계획이다.

duckhwa@yna.co.kr

(서울=연합뉴스) 홍덕화 기자

Séoul, la future capitale du design / Metro France 2008-12-02

Samsung, Daewoo, LG… La Corée a conquis le monde avec ses grandes marques technologiques. Mais pourriez-vous citer le nom d’un architecte ou d’un créateur coréen ? Alors que l’on désigne toujours Hong Kong, Tokyo ou Shanghai parmi les capitales asiatiques les plus influentes, Séoul sort de son sommeil et sort les grands moyens pour promouvoir ses jeunes talents. Préparez-vous au boom artistique du Pays du matin calme : Séoul a déjà été désignée capitale mondiale du design en 2010.

Des designers prometteurs
Le coup d’envoi a été donné cet automne. En octobre, le stade Jamsil (où se sont déroulés les JO de 1988) a abrité la Seoul Design Olympiad, gigantesque exposition de designers locaux, avec quelques grands noms étrangers invités (Newson, Matali Crasset). Pour l’occasion, l’extérieur du stade a été décoré de guirlandes constituées de bouteilles et autres déchets en plastique, pour allier l’aspect esthétique aux symboles : consommation, recyclage... A l’intérieur, l’expo “Design is Air” regorge de trouvailles surprenantes, amusantes, bourrées de talent. Une aile a été réservée à Zara Hadid : ses tables fuselées et ses étagères tracées comme un coup de couteau réconcilient la sensualité des lignes et la très haute conception technique.

Deux millions de visiteurs se sont pressés à cet événement culturel hors normes. Des conférences, un festival et une compétition ont été organisés en amont. Eun-Sook Kwon, directrice du SDO, précise : “Ecologie, sécurité et efficacité sont les valeurs de base de ces projets de design. Nous voulons montrer aux Coréens que le design fait partie de leur vie quotidienne, qu’il peut l’embellir. Ces projets ne sont pas réservés aux temps de prospérité.”

Young Se-Kim est un précurseur dans ce domaine : il a fondé Inno-Design en 1986, dans la Silicon Valley, et a vite connu un succès international. Son micro-ondes pour Samsung a été le premier de la marque a avoir été dessiné pour l’export. “Je veux créer un design facile à réaliser pour en fabriquer un très grand nombre et que les prix restent bas. Pour moi, c’est de la logique plus que du marketing : le design doit penser aux autres.” Les jeunes Coréens avaient l’air de beaucoup apprécier ses lecteurs MP3 en forme de poudrier Barbie et ses baskets dorées…

Un nouveau paysage urbain
Ce qui trahit de la façon la plus flagrante le déséquilibre entre développement technologique et développement culturel, c’est le paysage urbain. Séoul est une mégalopole de 10 millions d’habitants où les espaces verts sont plus que rares, même si la ville est entourée de magnifiques collines où l’on part randonner les week-end. Avec ses façades de rouille, ses néons, son verre et son béton, l’immeuble Wellcomm fait davantage penser à un bunker de Berlin-Est qu’à un bureau de création.

Son architecte, Seung Sang, n’a pourtant rien d’austère. L’un des plus grands architectes coréens reçoit sans façon, bienveillant derrière ses lunettes rondes. “Mon œuvre repose sur quatre principes : l’intégration dans la ville, la fonctionnalité, l’espace et la forme de l’immeuble. J’aime la simplicité, les matériaux peu onéreux, même si je pense à présent à utiliser des pierres volcaniques.” Quand on lui demande si un style architectural typiquement coréen commence à émerger, il répond humblement : “La nationalité de l’architecte ne compte pas, seul le lieu est important. Moi-même, je suis influencé par tant d’architectes étrangers, en permanence. Mais je trouve la jeune génération d’architectes très prometteuse.”

Espérons que l’un d’eux remportera le concours du Dream Hub, projet d’urbanisme visant à réaménager le quartier de Yongsan d’ici à 2013. La très belle tour en forme de goutte d’eau n’est qu’un exemple de ce futur quartier qui comprendra des bureaux, un centre culturel et des appartements dans un écrin plus vert et plus écolo. On doit connaître courant décembre le nom de celui qui dessinera la tour emblématique de Yongsan qui, à long terme, devrait évoquer Séoul comme l’Empire State Building à New York et la tour Eiffel à Paris.

Parallèlement, le Renais­sance Project souhaite revaloriser les berges de la rivière Hangang, qui coupe la ville en deux.

Beaux et stylés
Séoul, capitale de la mode ? Ça pourrait ne pas tarder, au vu de la Fashion Week qui s’est déroulée en même temps que les festivités du design. De la mode 100% coréenne, représentée par une quarantaine de stylistes. Les défilés ont montré des modèles inégaux, mais souvent intéressants. Sangbeg Ha aime les couleurs fluo. Ses mannequins, grands, maigres et boudeurs comme les Occidentaux, portent fièrement le tulle et le coton transparent. Ses influences ? Elles vont d’Alice au pays des merveilles à Dark Vador dans Star Wars…

Lee Seoktae, qui a étudié à Paris, jongle entre les basiques et les styles conceptuels. Ses pantalons sont aussi rigides que ses robes sont fluides. Quant à Lee Bomi, elle a gagné un concours de mode organisé par Air France en 1997 ; trois ans plus tard, elle a lancé sa marque, Veto by Leebomi. Professeur de stylisme à l’université de Sangmyung, elle a présenté une ligne où chaque pièce peut être coordonnée aux autres. Facile à porter, mais exigeante en matière de coupes. La crise économique ralentit mais ne stoppe pas l’élan que Séoul donne à sa culture moderne. En 2010, la ville devrait porter fièrement son étendard de capitale mondiale du design.

Et d’ici à 2015, parions qu’elle pourra égaler en influence Tokyo, sa rivale éternelle.

Jennifer Lesieur

"한국사회 이주여성 이중차별" / 경남일보 2008-11-26

“한국사회에서의 이주여성은 ‘외국인’과 ‘여성’이라는 이중차별을 받고 있는 실정이며 이를 위해 사회적 편견을 없애고 장기체류를 위한 법적 제도 개선이 절실하다.”
 2008경남세계여성인권대회 이틀째인 26일 오전 11시부터 ‘이주여성의 인권보장’을 주제로 워크숍이 마련된 가운데 (사)외국인노동자 인권을 위한 모임 정귀순<사진> 대표는 ‘이주여성의 인권’을 주제로 한국사회에서의 이주여성의 인권 현실과 개선점에 대해 발표해 주목을 받았다.
 이날 정 대표는 “한국사회의 외국인 체류수가 지난해 8월 106만여명으로 100만명을 돌파했고 이중 결혼이민자가 11만명에 달하고 있으며, 한국사회에서의 이주여성은 취업을 위한 이주노동자가 33%, 결혼을 통한 정주자로서 이주여성이 67%를 차지하고 있다”고 한국 이주여성 현황을 밝혔다.
 그는 “지난 96년부터 인권상담을 해왔는데 노동자로서의 이주여성은 법에 의한 노동시간이 월평균 210.8시간, 급여가 114만4000원이지만 임금체불을 비롯해 작업장에서의 언어폭력, 성폭행 등을 당하고 있지만 이를 호소할 수 있는 장치조차 없다”고 지적했다.
 또 정 대표는 “결혼을 통한 이주여성의 경우 결혼중계업의 난립횡포를 비롯해 이혼 후 법제도 미미, 정보차단, 사회적 편견 등으로 차별을 받고 있다”며 “노동자 여성이주자가 장기체류할 수 있는 정주 허용을 기준 넓히고 제도 내 차별 금지, 비등록 노동자 문제 해결을 위해 제도 보완, 결혼 여성이주자의 안정적 체류를 위한 영주권을 보장, 이혼 후 피해여성에 대한 충분한 보상과 다문화가족의 자녀교육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정 대표는 “이주여성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이주여성들이 가장 힘든 점이 이주여성을 바라보는 한국인들의 편향된 시각이며 한국에 살아도 한국인인지 외국인인지 혼란스럽다고 했다”며 “특히 법적 제도, 대안마련도 중요하지만 한국에서 사회적 인식으로 인해 차별을 받고 있는 이주여성들이 사회적 편견을 받지않고 한국인과 더불어 한국사회의 일원으로 자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좌장을 맡은 김은경 창원대 교수도 “지난 99년부터 이주노동자 상담교육을 지원하고 있지만 이주여성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여성차별과 이주민이라는 이중고를 겪고 있었고 한국인의 인식전환의 필요성이 충분히 공감된다”고 말했다.

김정희 기자

‘삼강행실도’ 지배층의 백성훈육 교과서 / 한겨레 2008-11-28

고금변증설 /

국가라는 권력기구를 작동시키는 것은 사회의 지배세력이다. 지배세력은 자신들의 지배를 정당화·영속화하기 위해 국가권력의 강제력을 이용해 자신들의 이데올로기를 피지배층의 대뇌에 설치하려고 한다. 뉴라이트가 국사 교과서를 문제 삼고 나오는 것은, 스스로를 한국 사회의 지배자라고 자신하기 때문이다.

1432년 6월9일 집현전은 <삼강행실도>를 엮어 세종에게 올린다. 한 해 전 충·효·열을 실천한 신하와 자식, 아내의 사례를 뽑아 책으로 엮으라는 세종의 명을 따른 것이다. 세종은 책을 서울과 각 지방에 나누어 주어 우부우부(愚夫愚婦)들이 책에 실린 행위를 본받게 하라고 다시 명한다. 이 책은 2년 뒤인 1434년 11월24일 인쇄되어 여러 지방에 보급된다. 하지만 한문으로 쓰인 책이라 백성들은 읽을 수 없었다. 이 책에 그림이 붙어 있는 것은 이 때문이었다. 세종은 지방관과 지방의 지식층이 문맹의 백성들에게 그림을 보여주며 설명을 해 주라고 명했던 것이다. 한데 지방관과 지식층은 열심이었던 것 같지는 않다. 새로운 도구가 필요했다. 세종은 1443년에 백성을 가르치는 문자, 곧 한글을 만든다. <삼강행실도>는 한글 창제 이후인 성종 때 원본을 3분의 1로 축약한 국문번역본이 나오면서부터 백성들 사이에 스며들기 시작한다.

<삼강행실도>는 조악한 느낌이 들 정도로 볼품이 없어 보이지만, 이 책은 백성을 가르치기 위한 최초의 책이라는 점에서, 또 조선 사람들의 위계적 윤리의 실천지침이 되었다는 점에서 대단히 중요한 책이다. 즉 지배층이 백성을 가르치겠다는 생각을 실천에 옮긴 것은 한국 역사상 이 책이 최초인 것이다. 하지만 그것뿐이다. 양반 체제는 한글로 된 책을 다양하게 인쇄해 백성들에게 공급하거나, 원하는 백성이면 모두 배울 수 있는 학교를 만들 생각은 전혀 없었다. 양반들은 되도록이면 백성을 무식하게 만들고, 자신들의 통치에 필요한 만큼 적은 지식만을 주입하면 그만이었다. 어떤 교육 내용을 어디서,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하는 것은 백성에게 묻지 않았다. 백성들 역시 일방적 교육에 비판과 저항의 목소리를 낼 길이 없었다.

모든 국민이 학교에서 교육을 받게 된 것은 1948년 이후의 일이다. 모든 국민이 교육을 받게 된 것을 사회 발전의 명백한 증거로 보기도 한다. 모든 국민에게 교육기회의 균등을 보장한다는 의무교육은, 외견상 선량한 의도를 띠고 있지만, 그 이면은 여간 복잡하지 않다. 무엇보다 교육하는 주체인 국가와 교육을 받는 국민의 관계가 권력적이라는 것이다. 이상하게 들릴지 모르겠지만, 먼저 지적하고 싶은 것은 학교에 다니지 않을 자유가 없다는 것이다. 의무교육 기간은 물론이고, 고등학교와 대학의 경우도 다니지 않을 수 없다. 국가는 개인의 능력이 아니라, 학벌을 따지는 사회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고등학교와 대학 진학을 거부하는 것은, 사회에서 도태되기를 자원하는 꼴이 되기 때문이다.

교육이 권력적 관계를 전제로 한다는 것을 한층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은, 교과목의 구성과 평가다. 즉 피교육자인 학생은 교과목의 구성과 내용에 대해 어떤 비판도, 항의도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예컨대 수영에 능한 신체조건을 갖춘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에게 수영이란 과목을 필수과목으로 부여하고 평가한다고 상상해 보자. 수영은 후자에게 꼴찌를 담보하는 과목이 될 뿐이다. 결코 공평하지 않다. 교과목의 구성은 바로 이 수영처럼 일방적으로 설정되어 있지만, 아무도 그것에 대해 비판하거나 항의할 수 없다.

이런 예에서 보듯 근대국가의 교육제도가 갖는 일방적인 과목 구성과 평가는, 피교육자에게는 저항과 비판이 불가능한 일방적 권력 행사가 된다. 국가는 모든 국민에게 균등한 교육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명분하에 일방적 권력 행사를 통해, 개인의 대뇌를 열고, 자신이 원하는 프로그램을 강제적으로 설치한다. 조선조의 교육과 근대교육은 이런 점에서 동일한 속성을 갖는다. 즉 조선의 지배층인 양반들은 백성들을 교육에서 소외시키고, 자신의 지배에 꼭 필요한 만큼의 프로그램을 백성들의 대뇌에 설치함으로써 자신들의 이익을 관철시키려 했다면, 현대 국가는 국민 전체에 교육기회를 균등하게 제공한다는 구실로, 자신에게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국민의 대뇌에 설치하려고 하는 것이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뉴라이트 세력의 역사 교과서 역시 이 점과 관련하여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뉴라이트 세력은 왜 자신들의 역사관을 일반 출판이 아니라 굳이 교과서를 통해 펼치려고 하는 것인가. 말할 것도 없이 국가 교육의 권력이 갖는 일방적인 강제력 때문이다. 이 강제력을 통해서 자신들이 원하는 역사의식을 학생들의 대뇌에 일방적으로 설치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왜 다른 교과서가 아닌, 국사 교과서에 집중하는 것인가.

국사는 수학처럼 부동의 진리를 가르치는 과목도, 인간 행위의 준칙에 대해 숙고하는 윤리를 가르치는 과목도 아니다. 국사는 대한민국의 국가권력이 행사되는 공간 안의 모든 개인을 세뇌하는 기본 도구다. 개인이 근원적으로 경험할 수 없는 사건을 동일하게 경험했다고 세뇌하거나, 일부 경험하였을 경우 그 경험의 의미를 단일한 것으로 확정하여 세뇌하는 것이다. 그 세뇌를 통해 동일한 기억을 공유하는 인간 개체, 곧 국민이 제작되는 것이다. 이렇게 제작된 국민은, 현실 속에서 차별받는 존재로서의 자신을 잊고, 자신이 다른 인간 개체들과 동등한 국민이라고 신념하게 된다. 차별성을 은폐하고 동일한 국민으로서의 환상을 심어주는 것이 국사의 목적이다.

국가라는 권력기구를 작동시키는 것은 사회의 지배세력이다. 지배세력은 자신들의 지배를 정당화·영속화하기 위해 국가권력의 강제력을 이용해 자신들의 이데올로기를 피지배층의 대뇌에 설치하려고 한다. 뉴라이트가 국사 교과서를 문제 삼고 나오는 것은, 바로 스스로를 한국 사회의 지배자라고 자신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시방 저 옛날 <삼강행실도>를 엮고 뿌렸던 양반들이 부활하고 있음을 목도하고 있다.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가?

강명관/부산대 교수(한문학)

근대 조선 왕조·민중 모습 담아 / 서울경제 2008-11-28

조선견문록 (릴리어스 호톤 언더우드 지음, 이숲 펴냄)

1888년 장로교 선교위원회의 요청으로 조선에 도착, 우리나라 최초의 국립 서양 병원인 광혜원 부인과 책임자로 근무했던 릴리어스 호톤이 조선에서 보낸 삶을 기록했다. 개인적인 기록이기도 하지만 단발령, 아관파천, 민비의 시해사건, 을사조약 등 일본과 러시아 그리고 청나라가 팽팽히 맞서면서 조선을 삼키기위해 호시탐탐 기회를 엿보던 당시 조선의 불운이 선명하게 남아있다.

그는 후에 연세학당 설립자인 언더우드와 결혼해 30년간 조선 머무르며 근대 한국 역사에 이름을 남겼다. 이들이 결혼 후 가마를 타고 한양에서 의주까지 조선 구석구석을 다녔던 신혼여행기에는 조선의 풍경과 평민들의 모습이 자세하다.

책은 제국주의 열강의 세력 다툼에 스러지는 조선 왕조의 모습, 초기 개신교 선교사들의 선교활동, 조선 민중의 삶 등 세가지 주제가 자연스럽게 섞여있다. 특히 그가 궁중 의사로 궁을 드나들며 가까워진 명성황후의 인간적인 면모에 대한 묘사, 고종과 세자를 비롯한 왕실과 주변 인물에 얽힌 이야기는 우리 근대 역사 자료로도 중요한 가치가 있다.

장선화 기자 india@sed.co.kr

저자권 없는 출판사 손목 비틀어 ‘책임 떠넘기기’ / 한겨레 2008-11-30

교과부, 집필자 반대 부딪히자 출판사에 압박
수정 항목마다 ‘구체적 문구’ 만들어 제시
‘직권수정’·저작권 둘러싸고 논란 뒤따를듯

올 한해 교육계를 뒤흔들었던 역사교과서 수정 논란은 결국 교육과학기술부가 의도한 대로 교과서를 고치는 것으로 끝을 맺게 됐다. 출판사가 교과서를 자체 수정하는 모양새를 취했지만, 지금까지의 과정을 돌이켜 볼 때 사실상 교과부가 직권 수정한 것이라는 비판도 나온다. 저작권을 둘러싼 법적 논란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교과부는 고교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 수정 요구에 집필자들이 따라주지 않자, 저작권도 없는 출판사에 수정 압박을 가했다. 출판사들은 교과서 검정 승인 권한을 갖고 있는 교과부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데다, 교과부가 검정 취소나 발행 정지 조처를 내릴 가능성도 있어 저작권 침해 논란을 감수하고 교과서 수정지시를 받아들였다. 금성출판사 쪽도 “지난 26일 공문으로 온 교과부의 ‘수정지시’를 ‘직권수정’으로 받아들였다”고 밝혔다.

교과부 자료를 보면, 55개 수정권고 항목 가운데 26건의 수정·보완 내역이 제출됐다. 그러나 29건은 고스란히 남은데다 집필자들이 고치겠다고 한 26건도 교과부는 내용이 미흡하다고 판단했다. 교과부가 지난 26일 출판사에 ‘수정지시’한 내용은 모두 41건으로, 출판사별로 보면 금성출판사가 33건으로 가장 많고 법문사·중앙교육진흥연구소·천재교육 등 3곳이 각각 1건씩이다. 가장 논란이 된 금성출판사의 경우 수정권고 38건 가운데 5건만 해결된 셈이다.

금성교과서 대표 필자인 김한종 한국교원대 교수(역사교육)는 “교과부가 집필자들과 계속 대화를 하겠다고 했고, 지금까지 출판사에 직접 수정을 요구한 적은 단 한 번도 없어 이런 상황을 예상하지 못했다”며 “교과서 수정이 급했던 교과부가 출판사에 책임을 떠넘긴 것”이라고 말했다. 김인호 금성출판사 대표도 “교과서 내용은 집필자의 몫이고, 출판사는 교과서를 발행할 책임만 있다는 것을 잘 알지만,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도면회 한국역사연구회 회장은 “교과부의 행태는 야비하기까지 하다”며 “학생들이 배우는 교과서가 누더기가 될 판”이라고 말했다.

저자의 동의 없이 출판사가 수정하는 것과 관련해 저작권 위반 논란도 일고 있다. 김기중 법무법인 동서파트너스 변호사는 “저작권법상 저작권을 갖고 있는 집필자의 허락 없이 저작물을 수정할 수 없다는 것은 가장 기본”이라며 “다만 출판사와 집필자가 계약을 맺을 때 이 부분에 대한 별도 언급이 있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한종 교수는 “저자 동의 없이 수정을 허락하는 내용의 계약을 맺진 않았다”며 “어쨌든 집필자들이 쓰지도 않은 교과서를 집필자들의 이름을 걸고 내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인 만큼, 법적인 검토를 준비 중”이라고 했다.

직권수정 문제도 논란거리다. 교과부가 26일 출판사에 통보한 ‘수정지시’에는 근·현대사 교과서 내용 중 수정을 해야 할 항목마다 ‘교과부 수정지시안’이 구체적인 문구로 적혀 있다. 윤종배 전국역사교사모임 회장은 “교과부가 수정문구를 만들고, 출판사에 압력을 넣어 고치라고 했으니 직권수정이나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한국검정교과서협회 관계자는 “정부가 검정도서를 직권수정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교과부 관계자는 “이번 경우는 ‘교과용 도서에 관한 규정’의 ‘교과부 장관은 검정도서의 경우 저작자 또는 발행자에게 수정을 명할 수 있다’(26조)는 조항을 근거로 수정을 명령해 출판사가 받아들였으니 직권수정이 아니다”라면서도 “법률 자문을 해본 결과 직권수정도 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말했다.

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

보수학자 안병직 교수 "현대사 보수·진보 시각 선택은 여러분 몫" - 세계일보 2008-12-01

보수 학자인 안병직 서울대 명예교수(사진)가 1일 서울 송파구 보성고에서 열린 고교 현대사 특강 강사로 섰다. 안 교수는 평소 주창한 ‘식민지 근대화론’과 “위안부 강제동원 증거가 없다”는 발언으로 반발을 사고 있는 것을 의식해 발언 수위에 각별히 조심하는 모습이었다.

안 교수는 학생들에게 내재적 발전과 외재적 발전 등 근대화 과정을 해석하는 여러 시각을 설명하면서 “이는 관점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지 옳고 그름의 문제가 아니다”라는 점을 수 차례 강조했다.

안 교수는 이어 “진보진영은 내재적 발전론 관점에서만 보기 때문에 한국 역사를 대외의존이 심한 실패한 역사라고 평가하며 이 주장이 극대화한 사례가 바로 북한 주체사상”이라면서 “굳이 주체사상을 욕하려는 게 아니라 주체사상 시각 자체가 그렇다는 말”이라고 설명했다.

1960년대 이후 우리나라 경제 성장에 대해 그는 “이승만 정권과 박정희 정권이 어느 정도 권위적인 방식을 택했기 때문에 가능했다”면서도 “독재정권으로 인해 많은 사회문제가 생긴 것도 틀림없는 사실이다. 양면을 고르게 봐야 한다”고 말했다.

안 교수는 강연 후 “나름대로 객관적으로 얘기하려 했지만, 결국은 외재적 발전론 입장에서 설명하게 된 것 같다. 사람은 자기 시각을 버리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라면서 “지금 현대사를 둘러싸고 진보와 보수 갈등이 첨예한데 어느 쪽을 선택할지는 여러분 몫”이라고 말했다.

이날 학교 앞에서는 강연 시간 30분 전부터 민족반역자처단협회 회원 10여명이 시위를 벌였다.

장원주 기자 strum@segye.com

lundi 1 décembre 2008

경기도 땅이름 참모습, 조선지지자료 경기도편 발간 / 데일리안, 2008-11-15

경기문화재단(대표이사 권영빈)이 최근 일제에 의해 한자로 표기됐던 경기도 지명의 `본래 이름´을 추적할 수 있는 연구 결과서인 ´경기도 땅이름의 참모습 -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 경기도편´(이하 조선지지자료 경기도편)을 출간, 지역 정체성을 확인하는데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조선지지자료 경기도편´은 1911년 조선총독부가 펴낸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중 경기도편에 대해 2년간의 조사연구를 거쳐 펴냈다.

경기문화재단이 발간한 ´조선지지자료 경기도편´의 조사연구 대상이 된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상자내용 참조)는 전국의 지명과 지지(地誌) 사항을 조사하여 작성한 지리(地理)정보를 집대성 놓은 책이다.

경기문화재단은 이번에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중 경기도편에 대해 지지에 수록된 고유지명에 관한 조사연구를 통하여 유관학문의 범위를 넓히고 누구나 손쉽게 원하는 지역 자료를 찾을 수 있도록 전통문화실에서 2년간 조사연구를 벌여왔다.

´조선지지자료 경기도편´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신종원교수를 비롯한 14명의 연구진이 원문 2371쪽에 걸쳐 실린 내용을 새로 입력하고 철저한 해석과 세세한 해주를 붙여 펴낸 것이다.

이 책에는 죽산・수원・남양・부평・연천・음죽・교하・적성・교동・안산・양천・가평・양성・통진・용인・마전・김포・삭령・양지・고양・포천・여주・개성・강화・ 안성・영평・장단・시흥・진위・풍덕・이천・파주・양평・광주・인천・과천을 수록! 하고 부록으로 과거 충청남도 영역이었던 평택을 담았으며, 총 37개 지역으로 총 1000페이지에 달한다.

이번 책 출간에 대해 경기문화재단 관계자는 “<조선지지자료(朝鮮地誌資料)>는 일제가 통치를 위해 전국 지명을 조사한 후, 순우리말 지명을 일본식 지명으로 바꿔 기록한 책으로 국립중앙도서관에 54책으로 보관돼 있었으나 분량이 방대해 책으로 펴낼 엄두를 못 냈던 자료”라며 “100년전 사용되던 순우리말 지명과 일본식 지명을 비교하며 세세하게 살필 수 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고 책을 소개했다.

따라서 ´조선지지자료 경기도편´은 우리의 지명이 오염되기 이전과 일제 강점기 행정구역구역 개편이 이뤄지던 1911년 당시의 지리정보를 살필 수 있는 소중한 사료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번 책 발간에 참여한 한국학중앙연구원 신종원교수는 “어이없게 왜곡돼 버린 지명들이 많았다”며 “전국에 무수히 많은 `국사봉´이나 `국수봉´같은 지명은 토속 신앙인 국사당(國師堂) 신앙에서 비롯된 것이 분명하지만 `國士(국사)´ `國思(국사)´로 표기된 탓에 `선비들이 망국의 울분을 토로했던 곳’이라는 엉뚱한 해설이 생겨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신 교수는 또 “이 책에는 당시 주막이나 저수지 지명, 금석문의 내용, 역사고고학 등에 대한 자료를 실었으며 민속자료 등도 분석해 정리했다”고 밝혔다.

신 교수는 이와 함께 “우리가 현재 쓰고 있는 지명은 일제가 통치의 편의를 위해 사용하기 시작한 것”이라며 “엉터리 지명집이나 지명유래가 더이상 나오지 않게 하고, 국적불명의 지명을 바로잡고자 책을 펴내게 됐다”고 말했다.

“한국 역사교과서 통제는 짜낸 치약 다시 넣는 격” ‘한국 근현대사 권위자’ 브루스 커밍스 지적 / 한겨레, 2008-11-25

“국가의 정통성은 국가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를 통해 나오는 것이지, 교과서를 통제하거나 역사적 사실을 조작해서 얻어지는 것이 결코 아닙니다.”

한국 근현대사 연구의 세계적 권위자인 브루스 커밍스(사진) 미국 시카고대 교수(역사학)는 25일 <한겨레>와 한 이메일 인터뷰에서, ‘좌편향된 교과서들이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훼손하고 국가에 대한 자긍심을 약화시킨다’는 한국 정부와 보수 진영의 주장에 일침을 놨다.

<한국전쟁의 기원>의 저자로 국내에도 널리 알려져 있는 커밍스 교수는 이달 초 정부의 역사교과서 수정 작업 중단을 요구하는 국내외 역사학자들의 서명운동에도 참여했다.

그는 “한국 정부는 ‘모래에 머리를 파묻은 타조’처럼 불편한 과거사에 대해 무작정 귀를 막으려 하고 있고, 이는 ‘국가적 자긍심’을 명분으로 역사 왜곡을 일삼는 일본 우익들의 행태와 다를 것이 없다”고 꼬집었다.

그는 오히려 한국 현대사의 고통스런 장면들을 정면으로 마주보는 일이 국가 정통성을 확보하는 데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고통스럽고 비극적인 과거의 일들을 재조명함으로써 역사의 희생자들과 그 반대편에 있던 사람들, 대립하는 관점과 경험을 가진 사람들, 남과 북 사이의 갈등을 풀어내는 일”이 국가의 정통성 차원에서도 훨씬 중요한 문제라는 것이다.

그는 정부의 역사교과서 수정 압력에 대해서는 “정부가 역사교과서에 개입하는 것 자체가 상식적이지 않다”며 “정부가 나서서 역사를 호도하면 할수록 학생들은 국가에 대한 신뢰와 자긍심을 잃어갈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또“이명박 정부는 과거 박정희·전두환 정권 때나 있었을 법한 통제 일변도의 정책으로 지난 20여년 동안 한국 근현대사가 이룬 성과들을 모조리 부정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역사 연구에서 새로운 성과들은 ‘치약 튜브에서 치약을 짜내는 것’처럼 만들어진다”며 “한국 정부는 짜낸 치약을 다시 치약 튜브에 밀어넣으려 하지만 그러한 시도는 결코 가능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민영 기자 minyoung@hani.co.kr

외규장각도서 반환문제 공식 제기된다 /헤럴드경제, 2008-11-19

프랑스가 병인양요 때 약탈해간 우리 문화재인 외규장각 도서의 반환문제를 비롯한 문화재 반환문제가 다시 논의의 테이블에 오른다.

문화재 반환촉진 정부간위원회(ICPRCP)의 설립 30주년을 기념하는 전문가회의와 정부간 특별회의가 문화재청과 유네스코 주최(후원 외교통상부)로 11월 26일부터 28일까지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개최된다.

이번 국제회의는 ICPRCP의 지난 30년 활동을 돌아보고, 향후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됐다. 회의에는 ICPRCP 위원국인 22개국 대표를 비롯해 유네스코 회원국, 국제기구, 비정부기구 등 약 30개국에서 200여명이 참석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오는 26일 열릴 ICPRCP 전문가 회의에서 신병주 건국대 교수는 “외규장각 도서는 한국역사 연구에 필수적인 국가기록물이므로 한국에 반환돼야 한다”고 촉구할 예정이다. 신 교수는 “외규장각 도서는 ‘감상용 미술작품’이라기 보다는 조선왕실 행사의 역사적 변천과정이 집대성된 연구자료”라며 2006년 일본 도쿄대가 보유하고 있던 조선왕조실록 오대산본을 한국역사 연구를 위해 기증 형식으로 반환한 사례를 들어 프랑스측에 반환을 촉구할 계획이다.

또한 이보아 추계예술대 교수는 일본이 북관대첩비(2005년 반환)를 야스쿠니 신사에 방치해 문화재 보호 의무를 저버린 사실 등을 환기시킬 예정이다. 전문가 회의에서는 불법 반출 문화재 보유 국가가 반환에 필요한 법적 수단과 문화재 목록을 공개해야 하며 그 반환 책임을 촉구하는 선언문이 채택된다.

ICPRCP는 원산국으로의 문화재 반환에 대한 국제적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1978년 유네스코 제20차 총회에서 설립돼 지금까지 14차례 위원회를 개최했다. 위원국은 지리적 배분, 국가간 순환 및 문화재의 원산국 반환에 기여할 수 있는 대표성을 고려해 유네스코총회에서 선출된다. 우리나라는 1989년부터 5회 연속 피선돼 위원국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2007년 제14차 정기총회에서 과테말라, 이집트, 탄자니아와 함께 부의장국으로 선출되기도 했다.

이번 서울에서 개최되는 ICPRCP 특별회의는 문화재반환에 대한 우리나라의 열망과 의지를 표명하는 계기가 될 뿐 아니라, 국제사회의 참여와 관심을 촉구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해외에 흩어져 있는 한국문화재는 2008년 9월말 현재 총7만6143건으로 이중 3만4369건이 일본에 소재해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영란 기자(yrlee@heraldm.com)

억울하면 서울 시민이 돼라? /한겨레 21, 2008.11.21 제736호

[출판] 강준만의 <지방은 식민지다>, 대한민국 ‘내부식민지’는 오스터함멜의 ‘식민주의’와도 통하네

“지방이 지방주의를 내세우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서울이 나라 전체를 생각하는 발상을 포기한 만큼 그 걱정도 지방이 해야 한다. 수도권의 고민도 헤아려가면서 좀더 정교한 대안을 제시하고 추진해나가는 실력을 키워야 한다는 뜻이다. 한국을 지방이 책임지자.”

우리 시대의 논객 강준만 교수가 <지방은 식민지다>(개마고원 펴냄)에서 던지는 제안이다. 그가 이번에 한국 사회 변혁을 위한 화두로 삼은 것은 ‘지역 모순’이다. 경상도와 전라도 얘기가 아니다. 모두가 알고 있지만 대개 모른 체하거나 불가피한 것으로 치부하는 문제, 곧 서울과 지방,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모순이 문제다. 그는 아예 ‘내부식민지’란 말까지 꺼내들었다. 대한민국은 식민주의 국가란 말인가?

독일의 중국학자 위르겐 오스터함멜의 <식민주의>(역사비평사 펴냄, 2006)를 참조하면 억지스런 주장만은 아니다. 그에 따르면, 식민주의는 먼저, 하나의 사회 전체가 자체의 역사 발전의 기회를 박탈당하고 타인에 의해 조종되며, 식민자의 경제적인 필요와 이해관계에 종속되는 것을 말한다. 말을 바꾸어, 지방이 자체의 발전 기회를 박탈당하고 중앙(서울)에 의해 조종되며 수도권 부유층의 이해관계에 종속된다면 바로 ‘식민주의’의 정의에 부합한다고 말할 수 있겠다. 이 좁은 땅덩어리에서 ‘우리가 남이가?’라고 말할 텐가? 하지만 유의할 것은 ‘서울 사람들’의 생각은 좀 다르다는 점.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렇게 말했다. “서울은 어떤 의미에서 대한민국보다 중요하다.” 억울하면 서울 시민이 되라는 뜻이겠다.

오스터함멜은 또 근대 식민주의는 무엇보다 ‘주변’ 사회를 ‘중심’의 필요에 종속시키려는 의지와 관련되며 역사적으로 유럽의 근대 식민주의자들은 종속민들에게 유럽의 가치와 관습을 이식하려고만 했지 그들의 문화에 적응·동화하려 하지 않았다고 말한다. 그 ‘중심’과 ‘주변’이란 말 대신에 ‘서울’과 ‘지방’을 대입해보면 바로 한국 사회 아닌가? 지방의 ‘서울 따라하기’는 있어도 서울의 ‘지방 따라하기’는 없다는 점도 말하자면 식민주의의 징후다.

거기에 식민주의의 ‘이데올로기적 구성’이라고 부를 만한 특정한 의식이나 태도도 덧붙일 수 있다. 가령 16세기 이래 이베리아 국가들과 영국의 식민지 이론가들은 유럽의 팽창 과정을 보편적인 사명의 달성으로 표현하고, 자신들의 문화적 우월성을 전제로 하여 이교도 전도, 야만인·미개인의 문명화, 특권을 수반한 ‘백인의 부담’ 등을 식민주의를 정당화하기 위한 구실로 내세웠다. 서울이 잘돼야 지방도 잘된다는 논리는 그런 ‘식민주의 이데올로기’와 무관하다고 말할 수 있을까?

사정이 이러하므로, 비록 내부식민지론이 1970년대 남미의 국가 간 종속이론의 연장선상에서 나온 이론이라 하더라도 한국 사회의 지역 간 불평등과 경제적 격차에 적용하는 것이 무리는 아니다(영국의 경우 잉글랜드와 웨일스·스코틀랜드·아일랜드의 관계가 우리와 마찬가지로 이런 내부식민지의 사례로 거론될 수 있다). 사실 한국적 현실의 ‘특수성’은 얼마나 자주 상식적 판단을 빗나가게 만드는가. 그 ‘특수한’ 현실은 강 교수가 반복해서 제시하는 간단한 인구통계만 보아도 알 수 있다. “2007년 10월 말 현재 주민등록상 인구 4919만4085명 중 서울·인천·경기 세 곳의 인구는 2390만3785명으로 48.6%를 점하고 있다. 국토 면적 11.8%인 수도권의 인구 비중은 1960년 20.8%에서 1980년 38.4%, 2000년 46.3%, 2002년 47.2%, 2004년 48.0%, 2007년 48.6%로 증가했다.”

그렇게 수도권 인구가 증가하는 만큼 감소하는 것이 비수도권 인구다. 강 교수가 거주하는 전북의 경우엔 사정이 심각해 매일 60명꼴로 감소하고 있다 한다. 대부분은 전북에서 먹고살 길이 없거나 희망이 없어서 떠나는 것이며 이런 현실은 정도의 문제일 뿐 다른 지방들도 예외가 아니다. 과연 이러한 추세가 역전될 수 있을까? 무엇이 달라져야 할까?

강 교수는 진정한 지방분권과 자치를 위해서 중앙정부의 권한을 지방으로 대폭 이양하는 ‘발상의 대전환’, 그리고 지방 내부의 개혁과 함께 한국 사회의 아킬레스건인 교육 문제를 해결해나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지방신문과 지방방송, 지방문화 육성을 위한 관심과 지원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많은 지면을 할애하고 있지만, ‘내부식민지’의 토대가 되는 것은 역시나 ‘교육’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구의 과잉 집중을 억제하고 지역 간 균형발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즉 ‘내부적 식민주의’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교육 분산’이 가장 중요한 과제가 될 수밖에 없다. 간단히 말하면 서울에 편중된 대학들을 지방으로 분산시키자는 ‘대학의 지방분산론’이다. 혹은 차별적인 지원정책으로 명문대학을 수십 개로 늘려 ‘경쟁의 병목현상’을 타개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그게 가능할까란 의구심이 바로 들 만큼 현실적으론 많은 난관을 극복해야 하는 일이기도 하다. 어떤 난관들인가? 먼저 기존 명문대의 반발을 극복해야 한다. 정책결정자들의 다수가 명문대 출신이란 점도 장애물이다. 게다가 단기간에 효과를 낼 수 없다는 점도 대안으로서의 매력을 떨어뜨린다. 그래서 학자들이나 시민단체들도 관심을 끌지 못한다. 그러는 사이에 명문대 입학을 위한 사교육 수요는 점점 늘어만 가고 해마다 대입제도 개선안이 발표돼도 학생들의 고통은 줄어들지 않는다. 근본적인 문제의식을 도외시한 탓에 올바른 방향을 잡지 못해서다. 강 교수는 이런 점에서는 “이명박 정권이나 노무현 정권이나 전교조나 모두 다 한통속”이라고까지 질타한다.

“무슨 일이 있어도 사대문 밖으로 이사 가지 말고 버텨라. 멀리 서울을 벗어나는 순간 기회는 사라지며 사회적으로 재기하기 어렵다.” 다산 정약용이 자녀들에게 남긴 유언이라 한다. 정조시대에 서울 인구는 전국 인구의 2.55%에 불과했지만, 서울이 문과 급제자의 43%를 차지했다고 하니 서울 중심의 집중화와 출세를 위한 교육의 연계는 오랜 뿌리를 갖고 있다. 뿌리 깊은 나무는 바람에 흔들리지 않는다고 했지만, 이제 우리의 과제는 그 ‘뿌리’를 뽑는 것이다. 지방을 볼모로 한 ‘우리 안의 식민주의’를 청산하는 일에 서울 시민도 동참할 수 있을지 궁금하다.

로쟈 인터넷 서평꾼 blog.aladdin.co.kr/mramor

“한국 여성차별 여전… 제한된 분야에서만 평등” /서울신문, 2008-11-26

“한국 여성들은 상당한 교육수준과 발전에도 불구,남성에 비해 여전히 많은 차별을 받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유엔여성인권차별철폐위원 3명이 25일 경남 창원에서 개막된 ‘2008 경남세계여성인권대회’에 참석하기 위해 방한했다.이들은 가나의 도르카스 코커 아피아,포르투갈의 레지나 타바레스 다 실바,말레이시아의 메리 샨티 다리암 위원이다.

●‘열악한 상황에서의 평등´ 이 현실

 이들은 세계여성차별철폐위원회의 입장에서 보면 한국 사회는 아직도 여성 차별적인 부분이 많다고 한 목소리로 지적했다.

도르카스 코커 아피아 위원은 “한국은 여성폭력 문제를 다루기 위한 관련 법을 갖추긴 했지만 충분히 법을 지키고 여성들을 보호하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메리 샨티 다리암 위원은 “지난해 7월 한국 여성인권차별철폐에 대한 심의를 할 때 취업문제에서 굉장히 많은 문제점이 노출됐다.”면서 “여성들은 남성에 비해 고위직이나 높은 임금에서 많은 제약을 받고 있으며,특히 한국 여성들은 제한된 분야에서 평등하기 때문에 ‘열악한 상황에서의 평등’한 대우를 받고 있다.”고 말했다.

 레지나 타바레스 다 실바 위원도 “한국 여성 인권 심의 때 여성들의 정치참여와 정책결정의 자리에서 제대로 평등한 지위를 갖지 못한 점 때문에 결과가 별로 좋지 않았다.한국도 모든 나라에 공통된 성에 대한 보편적 제약이 있다.”고 지적했다.

●“사회 인식 바뀌어야 여성차별 해소”

이들은 한국 사회의 이같은 여성차별 문제 해소를 위한 방안도 함께 제시했다.

 메리 샨티 다리암 위원은 “비록 여성차별을 금지하는 법을 갖고 있다하더라도 여성차별문제에 대한 사회 전체의 인식이 바뀌지 않으면 결국 여성 평등은 올 수 없다.”고 강조했다.

도르카스 코커 아피아 위원은 “여성차별문제 해소는 여러 방면에서 해결책이 나와야 한다.”면서 “법을 고치고,법을 집행하는 사람의 생각과 여성들의 의식도 함께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27 일까지 계속될 2008년 경남세계여성인권대회는 창원컨벤션센터에서 30여개국 여성인권운동가 등 200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여성인권과 상생의 공동체’를 주제로 폭력과 성 착취 근절 등 6개 주제를 놓고 주제발표와 토론을 갖는다.

창원 김상화기자 shkim@seoul.co.kr

"자본주의는 재난을 먹고 성장했다"/서울경제, 2008-11-21

지난 2003년 미국 정부는 대량살상무기를 감추고 있다고 단정짓고 이라크를 향해 미사일의 단추를 눌렀다. 6년째 끔찍한 전쟁이 계속되는 동안 미 정부는 다국적 석유회사인 BP와 쉘이 이라크의 석유 시추권을 30년간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법안을 통과했으며, 외국 투자자들이 이라크에 새로운 공장과 소매점 건설에 참여할 수 있도록 법을 제정했다. 많은 사람들이 재난으로 고통받는 동안 정부는 소수의 부자들을 위한 정책 수립에 바빴던 것이다.

사회적인 충격이 터지면 대중은 갈팡질팡 이성을 잃게 된다. 이를 틈타 정부 혹은 글로벌 자본주의는 소수 부자들을 위한 정책을 쏟아 내고 이를 슬그머니 통과시키는 일을 지금도 벌이고 있다.

자본주의는 재난을 바탕으로 성장했다는 이론을 펼치는 미국의 저널리스트 나오미 클라인은 이를 '쇼크 독트린'이라고 부른다. 이때 쇼크란 천재지변, 전쟁, 쿠테타, 국가 재정위기 등이다.

그는 고문 이론을 바탕으로 쇼크 독트린을 설명한다. 잠시 고문실로 장면을 바꿔보자. 캄캄한 방에 눈을 가린 한 죄수가 묶인 채 앉아 있다. 어디인지 어떤 일이 벌어질지 죄수는 알 수 없다. 곧 이어 물 젖은 천이 몸을 덮더니 몽둥이 세례가 시작됐다. 전기 충격도 가해졌다. 이틀간 고문을 당한 죄수는 이성적으로 자신을 방어할 수 없을 지경에 이르렀고, 정보든 고백이든 과거 신념에 대한 비난이든 심문관이 원하는 것은 무엇이든 털어논다.

죄수에게 충격적인 쇼크를 가하면 심신이 약해져 무엇이든 받아들이듯 사회적인 쇼크가 터지면 대중들이 방향감각을 잃게 되는데 정부는 이를 틈타 그 동안 반대에 직면했던 사안들을 경제적인 쇼크 요법으로 밀어붙인다. 차이점은 심문실에서 일대일로 고문해서 얻어낼 수 있는 것을 충격에 휩싸인 대중으로부터 더 큰 규모로 얻어낸다는 점이다.

경제적인 쇼크요법 전문가로 저자는 미국을 대표하는 시장주의 경제학자로 시카고 학파를 이끌었던 밀턴 프리드먼을 꼽았다. 정부규제, 무역장벽, 이익집단 등의 방해요소를 제거함으로써 순수한 자본주의로 돌아가려 했던 프리드먼은 절망적 상황에 처한 국가들이 일부 배짱 두둑한 정치인들에게 쇼크요법 구사를 종용했다고 구체적인 사례를 들면서 설명한다.

책 은 1973년 피노체트의 쿠테타부터 1989년 텐안문(天安文)사태, 1991년 소련의 붕괴, 1997년 아시아의 금융위기, 2003년 이라크전에 이르기까지 역사의 격변에서 경험한 재난의 현장 이면에서 벌어졌던 자본주의의 또 다른 얼굴을 비춘다.

저자는 쇼크 독트린이 위력을 발휘한 사건으로 1997~1998년 아시아의 금융위기도 놓치지 않았다.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들은 위기를 벗어나기 위해 국제통화기금(IMF)이 내 건 구조조정 요구를 순순히 받아들였다. 이는 아시아 호랑이들이 시장 문을 활짝 여는 계기가 됐다는 것.

책은 극소수가 막대한 부를 축적하는 과정이 평화롭지도 합법적이지도 않았다는 것을 논리정연하면서도 강력하게 경고한다. 저자는 책을 통해 번영을 누리는 사람은 누구이며, 어디서 그런 번영이 오는지 등 번영의 본질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을 던진다. 문제는 현재 진행중인 세계 금융위기도 어떤 부자와 지배 엘리트에게는 호기가 될 수 있다는 것. 저자는 쇼크 독트린을 이겨내는 방법으로 정보 공유와 대화를 제시했다. 이를 통해 새롭게 닥쳐올 경제 쇼크에 미리 저항하는 힘을 길러야 한다고 강조한다.

장선화 기자 india@sed.co.kr

조평통 “북침 전쟁을 ‘최후 목표’로 선포한 것”‥대북결의안 통과로 긴장 고조 / 쿠키뉴스, 2008-11-23

[쿠키 정치] 북한이 다음달 1일로 예고한 군사분계선 통행 제한·차단 조치를 일주일 남겨놓은 가운데 남북관계 긴장 수위가 높아지고 있다.

북한의 대남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는 22일 "이제는 반공화국(반북) 대결 광증이 골수에 배길대로 배긴 이명박 패당과는 북남관계와 통일문제를 논할 추호의 여지도 없다는 것이 입증됐다"면서 "우리는 이미 선포한대로 단호히 대처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조평통이 내놓은 대변인 담화는 최근 이명박 대통령이 방미 중 기자간담회에서 "자유민주주의 체제에서 통일하는 게 최후의 궁극 목표"라고 밝힌 발언을 문제삼은 것이다. 조평통은 또 "(이 대통령의 발언은) 북침 전쟁을 '최후 목표'로 선포한 것"이라며 엄중히 대처하겠다고 했다.

조평통의 담화는 북측의 육로통행 제한 조치 이후 정부의 통신 자재·장비 지원 입장과 민간 단체의 대북 전단지(삐라) 살포 중단 요청 등 잇따른 상황 관리 조치에도 불구하고 남측의 진정성에 대한 의구심을 거두기 어렵다고 판단한 것으로 해석된다.

더욱이 유엔에서 21일(현지 시간) 대북 인권결의안이 통과된 것도 남북관계의 악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우리나라가 처음으로 공동제안국에 참여한 이번 결의안은 찬성 95, 반대 24, 기권 62표로 인권문제를 다루는 제3위원회에서 가결됐다. 북한은 결의안을 전면 거부한다고 즉각 밝혔다. 유엔 주재 북한대표부의 박덕훈 차석대사는 "한국이 공동제안국으로 참여한 것은 무분별한 반민족적 반통일적 행위이고, 북한의 존엄성과 체제에 대한 도발"이라고 강하게 비난했다.

북측은 앞으로 개성공단의 운영과 직결된 육로통행 제한 조치를 실행에 옮기며 남측을 강하게 압박할 것으로 우려된다.

북측은 지난 12일 육로 통행 제한 조치를 발표한 이후 판문점 적십자 직통전화선을 차단한 것 외에는 아무런 후속 조치가 없는 상황이다.

다만 북측은 공언한 대로 다음달 1일을 전후해 준당국자의 추방, 통행·통관·통신 절차의 엄격한 집행 등 단계적으로 수위를 높일 것으로 보인다. '남북경협시민연대'도 23일 북측이 개성공단 관리위원회와 한국토지공사 간부급 상근자를 1차적으로 추방하는 조치를 취할 것으로 예상했다.

김규철 대표는 "북측은 관리위와 토공 상근자를 준공무원 성격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안의근 기자 pr4pp@kmib.co.kr

실학은 과거회귀적 학문이었나? / 조선일보, 2008-11-26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장을 지낸 ‘미국의 한국학 대부(代父)’ 제임스 팔레(Palais·1934~2006) 전 워싱턴대 명예교수의 대표 저서인 《유교적 경세론(經世論)과 조선의 제도들(Confucian Statecraft and Korean Institutions)》(전2권·산처럼 刊)이 24일 완역 출간됐다.

1996년 원서가 발간됐던 이 책은 “11세기부터 18세기 중반까지 고려·조선 700년은 노비의 비중이 30%를 넘어섰던 노예제 사회”라고 규정해 학계의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팔레 교수는 이 맥락에서 “조선 후기의 자본주의 발전이 한국의 근대화와 연결됐다는 ‘내재적 발전론’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말하기도 했다. 하버드대에서 대원군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고 카터 에커트, 존 던컨, 브루스 커밍스 등 미국의 대표적 한국학자들을 길러 낸 인물이었기에 파장은 만만치 않았다.

번역본 분량만 1500쪽이 넘는 이 ‘문제의 책’을 우리말로 옮긴 김범(金範) 박사(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사)는 “그런 관점이 나오는 것은 사실이지만, 팔레 교수의 초점은 좀 다른 데 있다”고 말했다. 조선 후기 제도개혁을 다룬 보기 드문 저서였던 실학자 반계 유형원(柳馨遠·1622~1673)의 《반계수록(磻溪隨錄)》을 중심으로 조선 후기의 정치·경제·사회를 포괄적으로 분석한 책이라는 것이다.

김 박사는 “팔레 교수의 시각은, 기존 한국 학계의 생각처럼 실학(實學)이 근대적이고 민족주의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었던 사상이 아니라는 데 있다. 오히려 과거회귀적이고 퇴영적인 사상에 가깝다고 봤다”고 말했다. 팔레 교수는 반계가 대중은 물론 조정의 관원들에게도 알려지지 않았던 관념적인 학자였지만, 자신이 살던 제도들과 그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획기적인 연구를 한 것은 분명하다고 평가했다. 토지 국유화와 재분배 직업군인제도 시행 공립학교 부흥과 도덕적 관원 양성 소액 동전만 발행하는 화폐제도 등이 반계가 제시한 개혁안이었다.

그러나 반계의 개혁안은 군사·화폐제도 등 그 뒤로 전개된 조정에서의 실제 정책보다 오히려 뒤쳐진 면을 보이고 있었다고 팔레 교수는 지적했다. 반계를 비롯한 유학자들의 경세사상은 정전제(井田制) 등 중국 고전에 서술된 ‘중국 고대의 제도’에 머물러 있었으며, 농업 생산의 주요한 원천을 장악한 양반 권력을 변화시키지도 못했다. 그 때문에 조선왕조가 멸망할 때까지도 끝내 상업과 산업경제는 중농적(重農的) 농업경제를 크게 바꾸지 못했다는 것이다.


김 박사는 “팔레 교수의 책은 방대한 사료를 철저하게 분석한 매우 중요한 연구지만, 지나치게 엄격하고 경직된 기준을 적용했기 때문에 많은 부분에서 부정적인 해석을 낳았다는 근본적인 한계를 지니고 있다”고 말했다.

/유석재 기자 karma@chosun.com

Nucléaire nord-coréen: les Etats-Unis réclament de nouvelles discussions / AFP, 2008-11-21

A BORD D'AIR FORCE ONE (AFP) — Les Etats-Unis vont insister ce week-end auprès de la Chine pour qu'elle organise une nouvelle réunion de négociations à Six pays sur le programme nucléaire nord-coréen, a indiqué vendredi la Maison Blanche.

Les Etats-Unis cherchent avant tout à revenir à la table des négociations pour mettre en place les procédures de vérification qui doivent être discutées avec les Nord-Coréens, a expliqué Dennis Wilder, directeur des affaires asiatiques au sein du conseil national de sécurité de la Maison Blanche.

"Ce sont les Chinois, évidemment, qui accueillent les négociations à Six. Il faut qu'ils convoquent cette réunion. Nous espérons très fort que lors de notre rencontre dans le cadre de l'Apec nous obtiendrons (...) une date pour cette réunion", a-t-il dit.

M. Wilder s'exprimait à bord de l'avion présidentiel qui emmenait vendredi le président américain George W. Bush à Lima où se tiendra ce week-end un sommet des dirigeants du Forum de coopération économique Asie-Pacifique (Apec).

Les négociations à Six sur le nucléaire nord-coréen regroupent, outre les Etats-Unis, la Chine, la Corée du Nord, la Corée du Sud, le Japon et la Russie.

M. Bush devait rencontrer dès vendredi le président chinois Hu Jintao. Il devrait aussi avoir en marge de ce sommet des entretiens bilatéraux avec ses homologues russe Dmitri Medvedev et sud-coréen Lee Myung-Bak, ainsi qu'avec le Premier ministre japonais Taro Aso.

M. Wilder a estimé que début décembre serait le meilleur moment pour la tenue de nouvelles négociations à Six. "Espérons que cette rencontre nous permettra de terminer pour de bon la deuxième phase des négociations à Six et de commencer à penser à la troisième phase", a-t-il dit.

Le département d'Etat a de son côté annoncé qu'un haut responsable américain se rendrait la semaine prochaine en Corée du Sud et au Japon, où il discutera des négociations sur la dénucléarisation de la Corée du Nord.

Sung Kim, directeur aux affaires coréennes du département d'Etat, sera en Corée du Sud de lundi à mercredi pour une conférence sur le désarmement en marge de laquelle il rencontrera des responsables sud-coréens, avant d'aller au Japon le 27 novembre pour des consultations avec les dirigeants nippons, a indiqué Sean McCormack, porte-parole du département d'Etat.

Le Japon et la Corée du Sud tentent de convaincre Pyongyang de fournir un programme en vue de mettre fin à son programme nucléaire. Le ministre japonais des Affaires étrangères Hirofumi Nakasone, qui a pris ses fonctions en septembre, s'est entretenu vendredi pour la première fois à Lima avec son homologue sud-coréen Yu Myung-Hwan.

"La Corée du Nord devrait fournir un document solide permettant de vérifier le cadre de sa dénucléarisation conformément aux négociations à Six", a-t-il dit à la presse, ajoutant que M. Yu "partageait entièrement" ses vues.

Washington a retiré le 11 octobre la Corée du Nord de sa liste noire d'Etat soutenant le terrorisme après un accord sur un processus de vérification du programme nucléaire nord-coréen.

En échange, le régime communiste s'est engagé à poursuivre le démantèlement de ses installations atomiques et à accepter le retour des inspecteurs de l'Agence internationale pour l'énergie atomique (AIEA) expulsés plus tôt.

Mais Pyongyang a ralenti le processus de démantèlement, contestant les termes de l'accord sur les vérifications, et afin de protester contre le retard dans la livraison de l'aide énergétique promise.

Les relations continuent de se dégrader entre les deux Corées / Les echos, 2008-11-24

La Corée du Nord a annoncé hier sa volonté de refermer davantage sa frontière avec la Corée du Sud, et de suspendre notamment les liaisons ferroviaires à partir du 1er décembre, un an seulement après leur reprise. Elle menace d'« expulser de façon ponctuelle » des Sud-Coréens travaillant dans un complexe industriel et un site touristique, situés au nord de la frontière, mais gérés conjointement par les deux pays. Les passages à la frontière vont être restreints. Le 12 novembre, Pyongyang avait déjà menacé de fermer partiellement sa frontière terrestre. Malgré cet avertissement, la Corée du Nord se plaint de la politique « de confrontation dangereuse et anti-réunification » de Séoul, selon l'agence nord-coréenne KCNA. Les relations entre les deux pays s'étaient dégradées après l'élection à la présidence sud-coréenne de Lee Myung-bak, prônant une ligne dure avec Pyongyang. Le ministère sud-coréen de l'Unification a appelé au dialogue dans un communiqu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