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rcredi 26 mars 2008

한국인에게 아파트는 무엇인가? / Naver 오늘의 책 - 아파트 공화국

프랑스 지리학자가 분석하는 아파트 제국의 모든 것

"아직도 강북의 단독주택에 사세요? 서울의 부유층 사이에 회자되는 농담 중의 하나인 이 말은 아직도 현대화되지 않는 낡은 습관을 가지고 있는가 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본문에서)

저자 발레리 줄레조의 특이한 경력은 책장을 넘기는 순간 눈에 띄게 된다. 그녀는 프랑스에서 한국을 연구하는 학자이자, 서울의 아파트단지에 대한 연구로 지리학 박사 학위를 받은 인물이다. 그녀가 서울을 처음 방문한 1993년 거대한 아파트단지에 놀라 이를 연구하기로 마음 먹었다고 하니, 이 책은 프랑스 지리학자의 눈으로 본 한국 아파트의 모든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국 사회에서 내집 마련의 꿈은 어느덧 아파트를 구입하는 것으로 대변되어 왔다. 분양가는 날로 상승하고 층수는 고층화하며, 개별 아파트의 면적뿐만 아니라 아파트 단지 또한 거대화돼 간다. 고급화하는 아파트는 현대를 사는 우리에게 너무나 당연한 도시의 주거공간이고, 마땅히 우리가 살아가야 할 삶의 보금자리인 것이다. 그러나, 프랑스에서 생활하고 교육받은 저자가 보는 한국의 아파트는 사뭇 다른 느낌으로 다가온다. '씨테' 등의 저급한 생활환경으로 부정적인 시각이 지배적인 프랑스 아파트와 달리 그 규모에서부터 유사 사례를 찾을 수 없을 만큼 대단지로 건설된 한국에서의 아파트에 대한 열광. 저자는 이 점을 먼저 이해해야 했다.

경제발전 과정에서 도시로 몰려드는 사람들로 인해 인구밀도는 치솟고 다분히 좁은 땅에서 많은 사람들이 살 수 있는 주택은 아파트뿐이라는 단순한 공식에 젖어 있는 우리에게 그녀는 가차없이 철퇴를 가한다. 우리 경제개발의 역사와 관련 법률까지 자세히 추적한 흔적은 서구인으로서 본 한국의 전통과 현대성, 서구성과 한국성의 대립적 관점을 해석하는 부분에서 결정을 이룬다. 정치-경제적, 또 사회-문화적으로, 세계적인 시각에서 한국을 들여다보며 분석하는 그녀의 논리는 대단히 놀라운 것이었다. 그녀는 분명 시간과 공간의 교차점에서 아파트라는 매개체에 시선을 고정했지만, 그 근본에는 '한국적인 것'이 자리하고 있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저자는 한국에서 아파트 단지가 확대재생산 될 수 있었던 근본적인 이유와 재테크 수단으로서 아파트의 역할, 그리고 정치-문화적인 원인들을 포함해 한국 아파트가 가지는 특수한 위치를 날카롭게 분석했다. 특히 깊이 있는 연구가 계속될수록 저자가 우리의 문화와 사회관계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인 점은 독자로서 깊은 감동을 받았다. 관련 전문가뿐만이 아닌, 주민들이나 경비실 근무자와의 대화, 통계자료, 관련 서적과 더불어 역사 인식에 관한 그녀의 관심도 독자를 놀라게 하기는 마찬가지였다.


마지막으로 저자는 대단지 아파트가 사회발전과 더불어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우려를 표명하면서, 그녀만의 높은 식견으로 충고의 목소리를 아끼지 않았다. 그러니 우리는 그 말을 주의 깊게 들을 필요가 있다.

"주택이 유행 상품처럼 취급되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별로 깊이 생각하지 않는 문제이지만, 결론적으로 말해 대단지 아파트는 서울을 오래 지속될 수 없는 하루살이 도시로 만들고 있는 것이다."(251쪽)

오늘의 책을 리뷰한 정만서님은
평범한 회사원이자, 책과 끝 없는 자기계발에 관심이 많은 39세 애 아빠. 네이버 '북꼼'과 '북코치 책을 말하다 북카페'에서 활동 중. http://blog.naver.com/alphasection

[여성]중년기 퇴직 남성들 집이 낯설다 - 강원일보

돈버는 아내에게 기죽고 자격지심·자책감 시달려

직장인이 체감하는 예상정년이 48.4세라는 조사가 최근 발표돼 관심을 끌고 있다.

한 취업 인사 포털사이트가 20∼50대 직장인 1,155명을 대상으로 ‘현 직장에서의 예상정년’에 대해 물은 결과 50대는 59.3세로 답한 반면 20대는 40.8세로 답해 연령대가 낮을수록 예상 정년도 짧았다.

IMF 경제 위기 이후 ‘퇴직’이 일반화되면서 인생 ‘이모작’, ‘삼모작’이란 말도 익숙해 지고 있다.

그러나 경제구조 변화에 비해 사회 인식은 여전히 ‘평생직장’에 익숙해 있으면서 가족 갈등도 빚어지고 있다.

중년기 퇴직 가족의 위기와 원인, 정책 필요성 등에 대해 살펴본다....

국호 ‘대한민국’ - 대구일보

임형두의 볼록거울
총선 열기가 뜨겁다. 이번 총선은 1948년 5.10총선거를 치른 지 꼭 60년 만이어서 역사적 의미가 적지 않다. 올해는 국호 ‘대한민국’이 태어난 지 60주년이 되는 해이기도 하다.
5.10총선으로 제헌국회가 구성된 직후 핫이슈는 국호 문제였다. 새 나라의 호칭을 놓고 정파마다 갑론을박을 거듭한 것이다. 민족주의 계열이 ‘대한’과 ‘한국’을 주장하자 사회주의 계열은 ‘조선’을 내세웠다. 중간파는 ‘고려’를 선호했다.
그래서 당시 “세칭 보수적 우익 측은 대한이오, 자칭 진보적 좌익 측은 조선이오, 통칭 회색적 중간 측은 고려다”는 말이 나왔다고 한다. ‘좌(左) 조선’ ‘우(右)대한’이나 ‘남(南) 대한’ ‘북(北) 조선’도 입에 오르내렸다.
논란 끝에 결정된 것은 ‘대한민국’. 그런데 이번에는 그 구성원을 어떻게 부를 것인가로 견해가 엇갈렸다. 헌법 초안에는 ‘인민’으로 쓰였다가 “그 말이 공산당의 용어인데 왜 그런 말을 사용하려 하느냐”는 주장에 부딪혀 ‘국민’으로 바뀌었다.
오늘날 사용되는 ‘대한민국’과 ‘국민’은 이런 우여곡절을 거쳐 헌법에 박혔다. 하지만 제헌헌법을 기초한 유진오는 ‘인민’ 대신 ‘국민’이 채택된 데 대해 못내 아쉬워했다. 국가우월주의 냄새가 풍기는 ‘국민’보다 국가도 침범할 수 없는 자유와 권리의 주체라는 뜻의 ‘인민’이 합당한데 공산주의자들에게 좋은 단어 하나를 뺏겼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대한민국의 영문 국호가 ‘Korea’로 정해진 연유는 뭘까? 이에 대해선 역사를 한참 더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임진왜란 때 왜군과 함께 조선 땅을 밟은 예수회 선교사들이 ‘조선’이란 국호 대신에 ‘코라이(Coray)’라고 부르면서 관행으로 굳어져버렸다.
이 영문 국호의 기원은 당연히 ‘고려’에 두고 있다. 선교사들이 왜 ‘조선’이라는 공식 국호를 놔두고 없어진 ‘고려’라고 표기했는지는 미스터리다. 아무튼 선교사에 의해 ‘재발견’된 은둔의 나라 조선은 ‘Coray’ ‘Coria’ ‘Coree’ ‘Corea’ 등으로 불리다가 오늘날엔 ‘korea’로 정착했다.
제헌의회의 난상토론 끝에 확정된 국호 ‘대한민국’(Korea)은 1948년 7월 17일 헌법 공포와 함께 60년 동안 사용돼오고 있다. 이렇게 태어난 ‘대한민국’은 2002년 월드컵대회 처럼 큰 행사가 있을 때마다 한국인의 정서를 하나로 묶는 구실을 했다.
하지만 민족사 전체로 보면, ‘대한민국’엔 분단의 아픔이 배어 있기도 하다. 북한이 남한보다 한 발짝 앞서 1948년 4월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헌법 초안을 승인한 데 이어 태극기 대신 인공기를, 애국가 대신 새 국가를 채택해 다른 길을 가버린 것이다. 넉 자밖에 안되는 국호 ‘대한민국’에는 이런 역사의 음영이 드리워져 있다.
총선 열기가 뜨겁다. 이번 총선은 1948년 5.10총선거를 치른 지 꼭 60년 만이어서 역사적 의미가 적지 않다. 올해는 국호 ‘대한민국’이 태어난 지 60주년이 되는 해이기도 하다.
5.10총선으로 제헌국회가 구성된 직후 핫이슈는 국호 문제였다. 새 나라의 호칭을 놓고 정파마다 갑론을박을 거듭한 것이다. 민족주의 계열이 ‘대한’과 ‘한국’을 주장하자 사회주의 계열은 ‘조선’을 내세웠다. 중간파는 ‘고려’를 선호했다.
그래서 당시 “세칭 보수적 우익 측은 대한이오, 자칭 진보적 좌익 측은 조선이오, 통칭 회색적 중간 측은 고려다”는 말이 나왔다고 한다. ‘좌(左) 조선’ ‘우(右)대한’이나 ‘남(南) 대한’ ‘북(北) 조선’도 입에 오르내렸다.
논란 끝에 결정된 것은 ‘대한민국’. 그런데 이번에는 그 구성원을 어떻게 부를 것인가로 견해가 엇갈렸다. 헌법 초안에는 ‘인민’으로 쓰였다가 “그 말이 공산당의 용어인데 왜 그런 말을 사용하려 하느냐”는 주장에 부딪혀 ‘국민’으로 바뀌었다.
오늘날 사용되는 ‘대한민국’과 ‘국민’은 이런 우여곡절을 거쳐 헌법에 박혔다. 하지만 제헌헌법을 기초한 유진오는 ‘인민’ 대신 ‘국민’이 채택된 데 대해 못내 아쉬워했다. 국가우월주의 냄새가 풍기는 ‘국민’보다 국가도 침범할 수 없는 자유와 권리의 주체라는 뜻의 ‘인민’이 합당한데 공산주의자들에게 좋은 단어 하나를 뺏겼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대한민국의 영문 국호가 ‘Korea’로 정해진 연유는 뭘까? 이에 대해선 역사를 한참 더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임진왜란 때 왜군과 함께 조선 땅을 밟은 예수회 선교사들이 ‘조선’이란 국호 대신에 ‘코라이(Coray)’라고 부르면서 관행으로 굳어져버렸다.
이 영문 국호의 기원은 당연히 ‘고려’에 두고 있다. 선교사들이 왜 ‘조선’이라는 공식 국호를 놔두고 없어진 ‘고려’라고 표기했는지는 미스터리다. 아무튼 선교사에 의해 ‘재발견’된 은둔의 나라 조선은 ‘Coray’ ‘Coria’ ‘Coree’ ‘Corea’ 등으로 불리다가 오늘날엔 ‘korea’로 정착했다.
제헌의회의 난상토론 끝에 확정된 국호 ‘대한민국’(Korea)은 1948년 7월 17일 헌법 공포와 함께 60년 동안 사용돼오고 있다. 이렇게 태어난 ‘대한민국’은 2002년 월드컵대회 처럼 큰 행사가 있을 때마다 한국인의 정서를 하나로 묶는 구실을 했다.
하지만 민족사 전체로 보면, ‘대한민국’엔 분단의 아픔이 배어 있기도 하다. 북한이 남한보다 한 발짝 앞서 1948년 4월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헌법 초안을 승인한 데 이어 태극기 대신 인공기를, 애국가 대신 새 국가를 채택해 다른 길을 가버린 것이다. 넉 자밖에 안되는 국호 ‘대한민국’에는 이런 역사의 음영이 드리워져 있다.
총선 열기가 뜨겁다. 이번 총선은 1948년 5.10총선거를 치른 지 꼭 60년 만이어서 역사적 의미가 적지 않다. 올해는 국호 ‘대한민국’이 태어난 지 60주년이 되는 해이기도 하다.
5.10총선으로 제헌국회가 구성된 직후 핫이슈는 국호 문제였다. 새 나라의 호칭을 놓고 정파마다 갑론을박을 거듭한 것이다. 민족주의 계열이 ‘대한’과 ‘한국’을 주장하자 사회주의 계열은 ‘조선’을 내세웠다. 중간파는 ‘고려’를 선호했다.
그래서 당시 “세칭 보수적 우익 측은 대한이오, 자칭 진보적 좌익 측은 조선이오, 통칭 회색적 중간 측은 고려다”는 말이 나왔다고 한다. ‘좌(左) 조선’ ‘우(右)대한’이나 ‘남(南) 대한’ ‘북(北) 조선’도 입에 오르내렸다.
논란 끝에 결정된 것은 ‘대한민국’. 그런데 이번에는 그 구성원을 어떻게 부를 것인가로 견해가 엇갈렸다. 헌법 초안에는 ‘인민’으로 쓰였다가 “그 말이 공산당의 용어인데 왜 그런 말을 사용하려 하느냐”는 주장에 부딪혀 ‘국민’으로 바뀌었다.
오늘날 사용되는 ‘대한민국’과 ‘국민’은 이런 우여곡절을 거쳐 헌법에 박혔다. 하지만 제헌헌법을 기초한 유진오는 ‘인민’ 대신 ‘국민’이 채택된 데 대해 못내 아쉬워했다. 국가우월주의 냄새가 풍기는 ‘국민’보다 국가도 침범할 수 없는 자유와 권리의 주체라는 뜻의 ‘인민’이 합당한데 공산주의자들에게 좋은 단어 하나를 뺏겼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대한민국의 영문 국호가 ‘Korea’로 정해진 연유는 뭘까? 이에 대해선 역사를 한참 더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임진왜란 때 왜군과 함께 조선 땅을 밟은 예수회 선교사들이 ‘조선’이란 국호 대신에 ‘코라이(Coray)’라고 부르면서 관행으로 굳어져버렸다.
이 영문 국호의 기원은 당연히 ‘고려’에 두고 있다. 선교사들이 왜 ‘조선’이라는 공식 국호를 놔두고 없어진 ‘고려’라고 표기했는지는 미스터리다. 아무튼 선교사에 의해 ‘재발견’된 은둔의 나라 조선은 ‘Coray’ ‘Coria’ ‘Coree’ ‘Corea’ 등으로 불리다가 오늘날엔 ‘korea’로 정착했다.
제헌의회의 난상토론 끝에 확정된 국호 ‘대한민국’(Korea)은 1948년 7월 17일 헌법 공포와 함께 60년 동안 사용돼오고 있다. 이렇게 태어난 ‘대한민국’은 2002년 월드컵대회 처럼 큰 행사가 있을 때마다 한국인의 정서를 하나로 묶는 구실을 했다.
하지만 민족사 전체로 보면, ‘대한민국’엔 분단의 아픔이 배어 있기도 하다. 북한이 남한보다 한 발짝 앞서 1948년 4월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헌법 초안을 승인한 데 이어 태극기 대신 인공기를, 애국가 대신 새 국가를 채택해 다른 길을 가버린 것이다. 넉 자밖에 안되는 국호 ‘대한민국’에는 이런 역사의 음영이 드리워져 있다.
총선 열기가 뜨겁다. 이번 총선은 1948년 5.10총선거를 치른 지 꼭 60년 만이어서 역사적 의미가 적지 않다. 올해는 국호 ‘대한민국’이 태어난 지 60주년이 되는 해이기도 하다.
5.10총선으로 제헌국회가 구성된 직후 핫이슈는 국호 문제였다. 새 나라의 호칭을 놓고 정파마다 갑론을박을 거듭한 것이다. 민족주의 계열이 ‘대한’과 ‘한국’을 주장하자 사회주의 계열은 ‘조선’을 내세웠다. 중간파는 ‘고려’를 선호했다.
그래서 당시 “세칭 보수적 우익 측은 대한이오, 자칭 진보적 좌익 측은 조선이오, 통칭 회색적 중간 측은 고려다”는 말이 나왔다고 한다. ‘좌(左) 조선’ ‘우(右)대한’이나 ‘남(南) 대한’ ‘북(北) 조선’도 입에 오르내렸다.
논란 끝에 결정된 것은 ‘대한민국’. 그런데 이번에는 그 구성원을 어떻게 부를 것인가로 견해가 엇갈렸다. 헌법 초안에는 ‘인민’으로 쓰였다가 “그 말이 공산당의 용어인데 왜 그런 말을 사용하려 하느냐”는 주장에 부딪혀 ‘국민’으로 바뀌었다.
오늘날 사용되는 ‘대한민국’과 ‘국민’은 이런 우여곡절을 거쳐 헌법에 박혔다. 하지만 제헌헌법을 기초한 유진오는 ‘인민’ 대신 ‘국민’이 채택된 데 대해 못내 아쉬워했다. 국가우월주의 냄새가 풍기는 ‘국민’보다 국가도 침범할 수 없는 자유와 권리의 주체라는 뜻의 ‘인민’이 합당한데 공산주의자들에게 좋은 단어 하나를 뺏겼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대한민국의 영문 국호가 ‘Korea’로 정해진 연유는 뭘까? 이에 대해선 역사를 한참 더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임진왜란 때 왜군과 함께 조선 땅을 밟은 예수회 선교사들이 ‘조선’이란 국호 대신에 ‘코라이(Coray)’라고 부르면서 관행으로 굳어져버렸다.
이 영문 국호의 기원은 당연히 ‘고려’에 두고 있다. 선교사들이 왜 ‘조선’이라는 공식 국호를 놔두고 없어진 ‘고려’라고 표기했는지는 미스터리다. 아무튼 선교사에 의해 ‘재발견’된 은둔의 나라 조선은 ‘Coray’ ‘Coria’ ‘Coree’ ‘Corea’ 등으로 불리다가 오늘날엔 ‘korea’로 정착했다.
제헌의회의 난상토론 끝에 확정된 국호 ‘대한민국’(Korea)은 1948년 7월 17일 헌법 공포와 함께 60년 동안 사용돼오고 있다. 이렇게 태어난 ‘대한민국’은 2002년 월드컵대회 처럼 큰 행사가 있을 때마다 한국인의 정서를 하나로 묶는 구실을 했다.
하지만 민족사 전체로 보면, ‘대한민국’엔 분단의 아픔이 배어 있기도 하다. 북한이 남한보다 한 발짝 앞서 1948년 4월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헌법 초안을 승인한 데 이어 태극기 대신 인공기를, 애국가 대신 새 국가를 채택해 다른 길을 가버린 것이다. 넉 자밖에 안되는 국호 ‘대한민국’에는 이런 역사의 음영이 드리워져 있다.

역사정보는 엠파스에서 검색하세요 - 파이낸셜 뉴스

SK커뮤니케이션즈의 검색 포털 엠파스는 한국학 서비스(koreandb.empas.com)를 개편하고 한국사 바로보기와 멀티미디어 자료실 등을 새롭게 선보였다고 29일 밝혔다.

엠파스는 한국학중앙연구원과 함께 한 이번 개편을 통해 4300여건의 신규 콘텐츠를 보강했으며 삼국사기 본기·잡지·연표·열전 등의 추가로 국내 포털 가운데 최대의 역사 관련 콘텐츠를 제공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한국학 서비스 개편으로 사용자들은 청구야담 등 민간 설화는 물론 조선구전민요와 성씨와 본관, 한국의 탈 사진 등 다양한 한국학 관련 자료를 검색어 입력 한번으로 손쉽게 찾아볼 수 있게 됐다.

SK커뮤니케이션즈 검색포털사업부 손영희 DB컨텐츠팀장은 “이번 업그레이드로 사용자들은 보다 상세하고 깊이 있는 한국학 자료를 쉽게 찾아볼 수 있게 됐다”면서 “앞으로도 우리 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높일 수 있도록 양질의 콘텐츠를 제공하는데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ck7024@fnnews.com홍창기기자

한국 ‘사투리지도’ 나왔다 - 동아일보

‘아이들이 밥을 한다, 반찬을 한다며 어른들의 살림 흉내를 내며 노는 것을 무어라 하는가.’

이 질문을 던지면 지역별로 다른 답이 돌아온다. 소꿉질, 수꿉질, 통굽질, 도꿉놀이, 동드깨미, 반드깨미, 반주까리, 바꿈살이, 새금박질…. 한국의 방언(方言)이 얼마나 다양한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


지역별로 다른 방언을 한눈에 보려면 사용 권역을 표시한 지도를 그리는 게 좋은 방법이다. 최근 출간된 ‘한국 언어지도’(태학사)가 그런 지도집이다.

한국의 첫 언어지도로 꼽히는 이 책은 30년 만에 나왔다. 1978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이 10개년 프로젝트의 하나로 ‘언어지도’ 그리기에 착수했다. 그러나 예산 부족 때문에 몇 차례 중단됐다가 이제야 빛을 봤다. 참여 학자 중 최명옥(서울대) 교수만 현직에 있을 뿐 이익섭 이병근(이상 서울대) 전광현(단국대) 이광호(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는 모두 정년퇴직해 명예교수가 되었다.

이익섭 교수는 “한창때 작업을 시작해 눈이 침침해진 지금에야 마무리됐다”며 “선진국에선 일반화된 언어지도를 우리도 갖게 됐으니 출간 사실 자체만으로도 꿈만 같다”고 말했다.

지도에 그려 넣은 단어는 모두 153종. 시군 단위로 전국을 답사하면서 파악한 방언의 지역별 분포의 특징도 설명해 놓았다.

언어지도의 장점은 어렵지 않게 방언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는 것. 나아가 “지역별 언어의 차이를 비롯해 사회 정치 문화의 동질성과 차이를 가늠할 수 있다”고 이 교수는 말했다...

토종 사학자' 논문집, 미국 코넬대 교재로 - 조선일보

이태진 서울대 인문대학장 영어 논문집 출간 / 연합뉴스

국내에서 수학한 토종 한국사학자의 유교 연구서가 미국 현지에서 출간돼 코넬대 교재로 사용될 전망이다.

이 태진 서울대 인문대학장은 지난해 12월 미국 코넬대출판사에서 자신의 영어 논문집 ‘한국사에서 유교의 역동성과 근대화(The Dynamics of Confucianism and Modernization in Korean History)’를 책으로 출간했다고 25일 밝혔다.

이 책에는 고려말부터 근현대까지 각 시대별로 유교의 사회적 기능이나 근대적 전환에 관해 이 학장이 쓴 12편의 논문이 담겨 있다.

미 국 코넬대에서 한국사를 가르치는 마이클 신 동아시아학과 교수는 그간 학문적 교류를 이어 온 이 학장에게 한국사를 전공하는 대학원생의 수업 교재로 사용하기 위해 논문집의 출간을 요청했고 수년에 걸친 수정 및 검토 작업 끝에 책이 출간됐다.

NCCK, 역사 한 눈에 볼 수 있게 - 뉴스앤조이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문서 정리 시작…2010년 경 완성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소장 김흥수)가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총무 권오성 목사) 문서를 정리한다. 역사연구소는 2월 28일 오전 11시 서울 수서동에 있는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앞으로 일정을 공개했다.

한국역사연구소는 2008년 2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문서를 분류하고 정리하는 작업을 거쳐, 2010년 정리된 자료를 토대로 2권 정도의 목록집을 간행할 계획이다. 이후에는 NCCK와 협의해 일부 자료를 열람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한국역사연구소는 일부 문서의 경우 독재정권 시절 정부와의 관계에서 민감하고 아직 공개해서는 안 된다는 판단이 들면 공개가 불가능할 수도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국역사연구소는 자료 정리를 위해 지난 2007년 11월 NCCK로부터 모두 102박스 분량의 문서를 대여 형식으로 이전 받았다. 김흥수 소장은 "이번 예산을 자료집 간행 비용을 제외하고, 약 8000만 원으로 예산을 책정했다"고 말했다. 또 김 교수는 "부족한 금액은 특별 모금을 통해 예산을 조달하겠다"고 했다.

이번에 정리하는 문서는 NCCK가 지난 수십 년 동안 소장하고 있던 각종 회의록과 공문, 성명서, 회원 교회 및 세계교회협의회와 아시아교회협의회 등과 주고받은 서신 등이 들어있다. 이 문서에는 교회 일치 운동뿐만 아니라, 인권 운동·민주화운동·통일운동 등을 전개해온 NCCK의 역사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

“고종·의친왕 화장실서 거사 밀담” - 중앙일보

“할아버지(고종)의 구국 노력을 재발견한 중앙일보를 읽고 큰 기쁨과 힘을 얻었습니다. 할아버지가 세웠다가 일제에 강탈당한 워싱턴 대한제국 공사관 건물도 6월에 반환 소송을 걸어 반드시 고국의 품에 돌려줄 것입니다.”

고 종의 아들 의친왕의 딸인 이해경(79·미국 뉴욕 거주·사진) 여사가 3일 고종 장례 89주년을 맞아 워싱턴의 대한제국 공사관 건물을 방문했다. 이 건물은 1891년 고종이 마련했다. 시내 중심가 로건 서클에 위치한 3층 건물 앞에 선 그의 손에는 고종이 1906년 독일 빌헬름 2세 황제에게 을사늑약의 부당함을 호소한 밀서를 보낸 사실 등을 특종 보도한 지난달 20일·23일자 중앙일보가 들려 있었다.

이 여사는 “워싱턴에선 처음으로 미국 대학(아메리칸대)에서 열리는 3·1절 기념식에 참석하기 위해 1일 새벽 뉴욕에서 기차를 타기 직전 친지로부터 ‘고종 황제의 구국 노력이 재발견됐다’는 기사가 실린 중앙일보를 건네받았다”고 말했다.

또 “기차 안에서 단숨에 기사를 읽고 기쁨을 참지 못했다”며 “할아버지는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난 1919년 초 아버지(의친왕)를 당시 파리에서 열린 평화회담에 밀사로 보내 조선 독립을 호소할 비밀 계획을 세우는 등 서거 직전까지 나라를 구하려 백방으로 노력하셨다고 어머니로부터 전해 들었다”고 말했다.

이어 “당시 고종은 일제의 눈을 피해 거사를 논의하려고 의친왕과 단둘이 화장실에서 밀담을 나누실 정도였다”며 “그 밖에 미국인 헐버트에게 부탁해 8개국 왕과 대통령에게 편지를 보낸 사실 등 고종의 구국 노력은 헤아릴 수 없이 많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여 사는 “일제의 고종 폄하와 식민사관의 영향으로 할아버지의 이 같은 노력이 제대로 알려지지 않아 안타까웠는데 중앙일보 특종 보도가 물꼬를 튼 셈”이라며 “고종을 재발견한 이번 보도 내용은 당연히 역사 교과서에 실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더 많은 고종의 구국 시도가 발굴될 것”이라며 “내친김에 고종이 구국 실용외교를 위해 워싱턴에 세운 공사관 건물도 반드시 되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여사가 이사로 활동 중인 워싱턴 소재 한국역사보존협회(회장 임청근)는 “6월 29일 일본 정부(주미 일본대사관)를 대상으로 공사관 반환 소송을 미 법정에 제기하겠다”고 밝혔다.

협회의 윤기원 사무총장은 “이날은 고종이 내탕금(개인 자금) 2만5000달러를 주고 자신의 명의로 구입한 공사관 건물을 일제가 1910년 고종의 서명을 위조한 뒤 단돈 5달러에 주미 일본 대사 우치다에게 판다는 허위 계약서를 만들어 강탈한 날”이라고 말했다. 일본은 이 계약서를 바탕으로 그해 9월 풀턴이란 미국인에게 10달러에 팔아넘겼다는 것이다.

현재는 미국인 변호사가 건물을 소유하고 있다. 이 여사와 협회 측은 “건물이 반환되면 고종의 구국 노력과 독립운동사를 기리는 기념관으로 활용할 것”이라고 밝혔다.

워싱턴=강찬호 특파원

국사 천대하는 대학이 무슨 인재 양성을 논하나 - 중앙일보

이영일 2008-03-05 오후 3:28

이영일 서울흥사단 사무국장



고려대, 서강대, 연세대, 성균관대, 이화여대, 중앙대, 한양대가 2010학년도부터 현 국사 과목을 수능 필수로 지정해 반영하겠다는 2007년 5월 자신들의 협의를 깨고 이를 재논의한다고 한다. 새 정부가 들어서고 대입정책이 변화되었기 때문이라는 것이 그 이유다.

지금 이 순간에도 일본은 자신들의 침략 역사를 미화하고 있고 동아시아 역사 자체를 왜곡하는 심각한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독도 분쟁은 물론 위안부 문제, 역사 왜곡은 계속 되고 있고 중국 역시 우리의 고대 역사를 중국 변방 역사로 전락시키는 동북공정을 진행해 지난 해 2월 완료되기까지 했으며 이제는 고조선사, 발해사까지 자신의 역사로 만들기 위한 작업을 진행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정작 우리는 소중한 우리 민족의 자산이자 미래의 발판이 되는 국사를 사회과목의 일부로 편제해 귀찮은 암기 과목, 안해도 그만인 선택과목으로 취급해 왔다. 하여 우리 국사의 강화가 시급하고 역사를 스스로 존중하고 가꿔야 한다는 국민적 여론에 따라 지난 2006년 말에는 정부가 사회과목안에 편제되어 선택과목으로 배워오던 국사를 한국 역사로 독립시킨다는 발표까지 했다. 그런데 대학들이 새 정부가 들어서자 입시제도의 변화를 이유로 자신들 스스로가 한 약속을 깨뜨리려고 하니 참으로 어이없고 개탄스러울 따름이다. 게다가 국사교육 강화가 비단 주변국들의 역사왜곡 때문에 강화하는 것인가. 안창호 선생과 안중근 의사도 구별하지 못하는 청소년들이 어떻게 세계 무대에서 대한민국 정체성을 가지고 경쟁할 것이며 영어만 잘한다고 국가 발전의 동량들이 될 것인가.

대 학은 우리 사회 지성의 보루요 학문의 장이며 우리 사회 발전을 선도하는 중추적 기관이다. 그런 대학들이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하려면 먼저 자신들의 뿌리와 역사를 먼저 알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런 대학들이 입시 자율화를 요구하고 고액의 등록금으로 많은 대학생들의 허리를 휘게 만들고 있으면서도 정작 인재 양성의 시대적 과제인 역사 교육 강화에 이렇게 줏대없는 시각과 발상으로 국사를 천대한다면 이는 비난받아 마땅하다. 역사와 교육을 바로 세우는 길이 정부의 주인이 누구이냐에 따라 좌지우지될 수 없음을 대학은 자각하길 바라며 차제에 국사 과목또한 “한국 역사”로 개칭, 우리 고대사 정통성을 강화함과 동시에 이를 사회과목에서 분리하여 필수과목인 한국 역사로 부활시켜야 한다. 이는 청소년에게 우리의 자랑스런 역사를 전달해주는 시급한 과제이며 중요한 의무일 것이다.

`대안교과서` 출간에 엇갈린 학계 반응 [연합]

5일 시중 서점에 깔리기 시작한 교과서포럼의 '대안교과서 한국 근ㆍ현대사'에 관련 학계는 대체로 "그 내용을 아직 분석하지 못해 무엇이라 논평하기에는 이르다"는 반응을 보였지만, 그간 교과서포럼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한 학계 일부에서는 식민지배와 독재를 찬양한 우익교과서라는 비판도 나왔다.

대안교과서 출간으로 논란 중심에 선 교과서포럼은 상임대표인 박효종 서울대 교수와 공동대표들인 이영훈(서울대)ㆍ차상철(충남대) 교수 등이 참석한 가운데 이날 서울 중구 세실레스토랑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런 비판들을 적극 해명했다.

진보성향의 계간 '창작과비평'(현 창비) 주간을 역임한 최원식 인하대 교수는 "대안교과서가 나왔다는 말만 들었지, 책을 보지 않은 상태에서 뭐라 논평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식 민지시대 경제를 어떻게 볼 것인가를 두고 그동안 대안교과서 편집책임자인 이영훈 교수에 맞서 '식민지 수탈론'을 주장하며 격한 논쟁을 벌인 허수열 충남대 교수 또한 다소 뜻밖에도 "(이 교수를 포함해) 교과서포럼 관계자들이 그간 내세운 주장들로 볼 때, 대안교과서가 어떤 역사관에 입각해 서술되었을지 짐작은 가지만, 명색이 공부하는 사람이 책(대안교과서)을 보지도 않은 상태에서 왈가왈부하는 것은 연구자의 태도가 아니다"면서 논평을 피했다.

한국 근대사 전공인 주진오 상명대 교수는 "책을 검토하지 못하고 언론보도와 교과서포럼에서 배포한 기자회견문 자료만을 토대로 한 견해"임을 전제하기는 했지만, "(교과서포럼이) 우선 역사학자는 배제한 채 집필한 책을 '교과서'라고 할 수 있는지 의문이 들고, 경제발전 지상주의, 혹은 국가주의에 지나치게 함몰돼 있지 않나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그는 나아가 "역사학자가 참여하지 않았으며, 역사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려 한 점 등에서 (대안교과서가) 일본 후소샤 판 우익교과서의 한국판이라는 느낌을 지울 길이 없다"면서 "포럼은 한국 역사학계가 좌편향적 시각 하나만으로 역사를 보고 있다고 비판하지만, 매우 다양한 시각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일부러 망각한 것이 아닌가 한다"고 덧붙였다.

독립운동사 전공인 국민대 국사학과 장석흥 교수는 "그들(교과서포럼) 스스로는 '우리가 무슨 식민지 찬양론자이며, 식민지 근대화론자'인가 라고 주장하지만, 결론을 보면 식민지근대화론자가 맞다는 것은 확실하다"면서 "이번 대안교과서 또한 이와 같은 시각에 입각해 서술되었다면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하지만 한국 기독교사 전공인 숭실대 박정신 교수는 "교과서포럼이 좌편향적 연구자에 맞서 우편향적인 시각에 기울어져 있는 것은 엄명한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기존 역사교과서나 역사학계의 한국 근ㆍ현대사 서술에 문제가 없는 것은 결코 아니다"면서 "대안교과서라는 것도 너무 이념 투쟁의 산물 등으로만 보지 말고, 역사를 보는 또 하나의 시각이 있을 수 있음을 보여주는 성과물 정도로 보면 한국 역사학 자체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고 평가했다.

박 교수는 나아가 "언론보도를 통해 보면, 이번 대안교과서가 표방하는 목적에 합당한 제목은 '대한민국사' 정도가 적당할 듯하고, 또, 그렇게 되었더라면 논란이 더 적었을 수가 있었을 터인데 이 점 또한 아쉽다"고 말했다.

한편 교과서포럼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우리 교과서가 일제 식민통치나 독재를 미화했다느니, 후소샤 판 일본 우익교과서와 논리구조가 비슷하다느니 하는 등의 비판에는 결코 동의할 수 없다"고 반박했다.

이 영훈 교수는 "일제의 식민지배가 억압적이었다는 데는 이론이 있을 수 없고, 그런 점을 대안교과서도 명확히 밝혔다"면서 "좌편향적 기존 역사교과서와 달리 식민지시대 다른 면들을 상대적으로 많이 서술하는 과정에서 그런 오해(식민지 미화론)가 있을 수는 있겠지만 그건 말 그대로 오해에 지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빼앗기고 얻어맞기만 했다면 노예이지 어찌 우리 조상이겠느냐"고 반문하면서 "(그들은) 극심한 차별 속에서도 근대문명을 학습, 실천, 이해, 집행하는 능력을 배웠으며 이에서 학습한 역량이 해방 후 근대 국민국가 형성에 도움이 됐다고 봐야지, 이를 식민지 미화론이라고 몰아 부쳐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

김일영 성균관대 교수는 "국민국가 형성과정에서 나타나는 희생을 서술하지 않았다면 문제가 되겠지만, 우리는 이승만 시기의 권위주의 정치, 박정희 시대의 성장의 그늘과 민주주의 취약성을 충분히 서술했으며, 이는 기존 좌편향 교과서에 비해서도 양적 균형에서는 전혀 손색이 없다고 생각한다"면서 "기존 교과서가 12년 집권한 이승만 시대를 2쪽에 걸쳐 서술한 반면, 4ㆍ19는 무려 8쪽에 걸쳐 소개한 비상식적인 불균형이 더욱 문제가 심각하다"고 말했다.

나아가 교과서포럼과 대안교과서가 '자학사관' 극복을 내세우는 등 일본 우익교과서의 논리 구조와 비슷하다는 비판이 있다는 지적에 김 교수는 "대한민국이라는 국가가 건설되는 과정을 연구하는 일이 어떻게 국가주의로 치부될 수 있으며, 우리가 언제 개인을 국가에 일체화하는 '국가유기체론'을 주장한 적이 있느냐"면서 "나오지 않은 책을 두고 일부 언론을 통해 그런 말로 우리를 비판한 역사학자가 과연 역사학자인지 기본소양을 의심케 하며, 부디 그런 소지가 있다면, 어디에 어떤 대목이 그런 지를 구체적으로 대라"고 강조했다.

교과서포럼은 또 포럼에 역사학자가 거의 포함돼 있지 않다는 지적에 "근현대사는 경제, 사회, 예술, 사상사 등의 모든 학문이 학제적으로 연결된 역사학이 존재할 뿐이지, 절대적이며 특권화한 역사학이라는 영역이 따로 존재할 수는 없다"면서 "우리의 주장에 문제가 있는 점에 반론을 가해야지 역사학자가 아닌 사람들이라고 비판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말했다.

4ㆍ3 제주사건이나 여순사건을 좌익세력의 '반란'으로 기술한 데 대해 김일영 교수는 "소제목을 그렇게 달아 오해의 소지가 있는 듯하다"면서 "다만 그 발생 원인이라는 측면에서 두 사건이 남로당 지시에 의해 일어났다는 것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역사적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영훈 교수는 그에 대한 부연 설명으로 대안교과서 144쪽에 수록된 '제주 4ㆍ3 사건'이란 박스 기사를 일일이 낭독하면서 "보다시피 원인은 그랬지만 그 전개과정에서 무고한 제주도민이 희생됐다는 사실을 우리는 충분히 서술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신간] '세계화와 한국의 국가-시민사회Ⅰ' - 매일경제

▲세계화와 한국의 국가-시민사회Ⅰ= 손호철ㆍ김원 엮음. '세계화, 국가, 시민사회'(2006), '세계화, 정보화, 남북한'(2007)에 이어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가 세번째로 내놓은 학술총서. 1997년 경제 위기와 신자유주의적 세계화 이후 한국 사회에서 일어난 변화와 그에 대응하는 국가와 시민사회의 양상을 살펴보면서 그 변화에 걸맞은 새로운 민주적 대안을 고민한다.

국가 차원의 논의에서는 1997년 경제 위기를 맞은 한국과 말레이시아의 대응, 일본과 한국의 지역발전정책ㆍ외국인 정책을 비교했다.

저자들은 노동운동과 반세계화 운동, 평화 운동을 중심으로 살펴본 시민사회 차원의 대처도 아직은 미숙한 것으로 평가했다.

'빨간조끼'로 상징되는 노조 중심의 노동운동은 무능력하고 이기적인 모습으로 지역사회로부터 고립됐으며, 반세계화 운동 진영 안에도 다양한 운동세력과 입장차이가 존재해 분열극복과 구체적 대안 마련이 시급한 과제로 남았다고 지적했다.

통일 운동에 뿌리를 두고 확대된 평화 운동은 평화운동 단체들의 국제연대를 가능케 했다고 평가하면서 구체적인 대안 마련과 전문화, 반미정서에 대한 인식 재정립을 남은 과제로 제시했다.

대한민국 건국 적극적 평가… 좌파-민족주의 시각 비판 - 문화일보

뉴라이트 계열 지식인들의 ‘교과서포럼’(공동대표 이영훈·박효종·차상철)이 23일 출간한 ‘대안교과서 한국 근·현대사’(기파랑)는 기존의 역사서술과는 사뭇 다른 논조를 띠고 있다. 가장 큰 특징은 대한민국 건국의 의미를 적극적으로 평가한 반면 북한에 대해서는 시종 비판적인 시각을 유지했다는 것. 또 좌파 혹은 민족주의 시각에 입각한 역사서술이나 해석을 비판하면서 기존의 역사상식을 뛰어넘으려는 시도를 곳곳에서 하고 있다.

◆ 개항과 일제시대 = 개항이 초래한 한국사회 변동에 대해 종래의 역사서술은 대체로 침략과 수탈, 저항이라는 관점에서만 접근했으나 대안교과서는 개항장 확대와 이에 따른 국제무역 증대, 쌀·콩 경작 확대, 외국은행 진출 등의 긍정적인 측면도 아울러 부각시켰다. 논란이 뜨거운 식민지시대 한국사회의 성격에 대해서는 “일제의 한국지배는 한국인의 정치적 권리를 부정한 폭력적 억압 체제였다”고 규정하면서도 이 시기에 완전한 의미의 근대적 신분해방과 사유재산제도가 이뤄지고, ‘모던 보이’와 같은 근대의 인간군상이 탄생한 시기라는 측면도 강조했다.

기존 역사학은 일제의 토지조사사업으로 한국인 상당수가 토지를 빼앗겼다고 적고 있지만 대안교과서는 그 결과 “전국의 모든 토지에 대해 토지대장, 지적도, 등기부가 작성”되었으며 “국가가 토지재산에 대한 증명제도를 완비함으로써 토지거래가 활성화하고 토지를 담보로 한 금융이 발전하였다”고 주장했다.

◆ 이승만과 박정희 = 한국 현대사에서 가장 뜨거운 감자라고 할 수 있는 이승만과 박정희에 대해서는 대한민국의 건국자이자 수호자, 그리고 경제성장의 주역으로 적극 평가했다. 또 남북분단은 스탈린의 지령을 받은 김일성이 먼저 시작했고, 6·25 전쟁은 남침임을 분명히 했다.

대안교과서는 이승만에 대한 기술에 많은 분량을 할애했다. 6·25 전쟁 중 이승만의 주도로 체결한 한·미상호방위조약과 전시작전 통제권의 미국 이양에 대해 기존 역사학에서는 한국의 자주권을 포기한 굴욕으로 평가하지만, 대안교과서는 “공산주의 세력의 공세로부터 대한민국을 방어”하기 위해 취한 조치였다고 평가했다. 이승만의 비타협적 반공주의가 반대파나 인권을 탄압하는 부작용을 빚기는 했지만 전반적으로 “대한민국의 기틀을 자유민주주의와 자유시장경제 체제로 올바로 잡는 데 동시대 어느 누구와도 나눌 수 없는 커다란 공훈을 세웠다”는 것이다.

박정희의 집권과정을 ‘군사쿠데타’, 10월유신을 ‘또 한 차례의 정변’으로 규정하면서도 “그는 식민지로 전락한 한국민족의 사대주의, 자주정신의 결여, 게으름, 명예심의 결여를 증오했으며, 그 결과로 빚어진 민중의 고난과 가난에 근원적으로 분노했고, 민족의 새로운 역사를 개척하는 데 소수 엘리트의 지도적 역할을 중시했다”고 적었다.

한편 교육현장 배포와 일반 판매를 위한 이번 대안교과서는 각 분야, 각 시대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는 인물 소개에 주력해 김대중·김영삼·김종필 3김씨 외에도 포철 신화를 이룬 박태준씨라든가, 이미자, 조용필씨도 소개하는 파격을 시도했다.

김영번기자 zerokim@munhwa.com

기사 게재 일자 2008-03-24

“인터넷 중독도 정신병… 한국 심각” - 동아일보

인터넷 중독은 일종의 정신 질환이며, 이에 관한 가장 흥미로운 사례와 대책들이 한국에서 나오고 있다고 미국의 정신과 의사가 주장했다.

미 오리건건강과학대의 제럴드 블록 박사는 미국 정신과 학회지 3월호 칼럼에서 “인터넷 중독은 정신장애 진단매뉴얼(DSM-Ⅴ)에 포함돼야 한다”며 한국 청소년보호위원회의 지난해 심포지엄 자료 등을 인용해 한국의 사례를 소개했다.

블록 박사는 “한국의 인터넷 카페에서 심폐 관련 사망사고가 10건 일어나고 1건의 게임 관련 살인사건이 발생한 뒤 한국 사회는 인터넷 중독을 가장 심각한 공중 보건 이슈로 여기게 됐다”며 “한국에는 1043명의 전문 카운슬러가 있고 190개의 병원과 치료센터가 학교와 연결돼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또 “한국 정부 자료에 따르면 6∼19세 청소년 중 약 21만 명이 (인터넷 때문에) 고통받고 있어 치료가 필요하다”며 “그중 80%는 심리학적 약물 투여가, 20∼40%는 입원과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블록 박사는 또 “한국 고교생들은 1주일에 평균 23시간 동안 게임을 하고, (현재 인터넷 중독자 이외에) 120만 명가량이 추가로 중독에 빠질 위험이 있다고 한다”고 소개했다.

그는 중국도 인터넷 중독이 심각한 상태라고 덧붙이면서 “아시아처럼 인터넷 카페가 흔하지 않은 미국의 경우 집에서 인터넷 게임과 가상섹스를 하기 때문에 실태 파악이 어렵다”고 지적했다.

블록 박사는 또 “인터넷 중독 임상 사례를 보면 환자들은 평균 1.5개의 다른 정신 질환을 함께 갖고 있어 특별히 관심을 갖지 않는 한 의사가 인터넷 중독을 진단하기가 어렵다”며 “아시아에선 이를 가려내기 위한 교육이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다.

워싱턴=이기홍 특파원 sechepa@donga.com

"스웨덴에서 자란 입양인이 왜 한국을 그리워하죠?" - 프레시안뉴스

[기고] "다민족 사회 한국, 국제입양에 열린 태도 가져야" 2008-03-25 오전 8:23:20
박정준/서울대 비교문학협동과정 박사과정

한국인들은 전 세계 어느 나라 사람들 못지않게 외부에서 한국인들을 어떻게 보는지에 대해서 호기심을 가지며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듯하다. 최근 인기리에 방영 중인 '미녀들의 수다'도 한국에 체류 중인 소위 '미녀'들의 입을 통해 우리 안의 모습을 확인하고 싶은 욕망의 투영으로 보인다.

"한국, 아이들을 스웨덴으로 보내는 나라"

필자가 스웨덴에서 머물렀을 때 만난 스웨덴 인들에게 비친 한국의 이미지는 꼭 긍정적이지만은 않았다. 첫 번째 느낀 것은 한국에 대한 무관심과 몰이해였다. 남한과 북한을 구분하지 못한 채 뭉뚱그려 'Korea'로 생각하거나, 독재정권이 무자비하게 시민을 학정으로 몰아붙이며 인재(人災)가 끊이지 않는 위험한 나라로 여기는 경향이 지배적이었다.

뿐만 아니라, 그들이 '한국'을 떠올릴 때 먼저 떠오르는 것은 '스웨덴에 입양을 대거 보내는 나라'라는 점인듯 했다.

한국인들이 선진국들의 모임이라할 수 있는 OECD에 가입한 윤택한 국가로서 88서울올림픽과 한일월드컵을 개최한 부강한 이미지로 인지되기를 바라고 있는 것과 달리, 스웨덴 생활 중 맞닥뜨린 한국에 대한 현지 인식은 그 기대와 현저히 동떨어진 듯 보였다.
...

막연한 부채감으로 해외입양인을 바라보며 그들의 불행을 쉽사리 단정 짓거나, 뻔질나게 선진국 흉내를 내면서도 여전히 해외입양을 숱하게 보낸다는 비판 못지않게, 이제는 해외입양에 관한 인식의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해외입양인에게 '한국인' 규정, 강요 말자"

해외입양인 문제는 앞서 언급했듯이 한국의 치명적인 복지제도의 누수나 여전히 가시지 않은 채 온존하고 있는 정상가족 이데올로기와 결부돼 있다.

누구나 아이를 기를 권리를 향유하며, 그 권리를 지원할 제도가 뒷받침돼 있고, 다양한 형태의 가구(household)를 인정하며, 이른바 사회지도층부터 입양을 널리 실시하는 노블리스 오블리제가 실현되고, 마지막으로 입양에 관해 긍정적인 시각을 견지하는 매스미디어가 늘 때 차츰 해외입양의 문제는 실마리가 잡힐 것이다.

나아가, 한국인은 이제 열린 마음으로 해외입양인과 서로의 차이를 존중하며 소통을 준비해야 할 때이다.

이러한 대화에서 선험적으로 해외입양인을 '한국인'으로 규정하는 태도는, 소통에 하등 도움을 주지 않을 것은 명약관화할 것이다.

美국무부 '북한보고서' 표현싸고 마찰 - 조선일보 NKchosun.com

대외관계

美국무부 '북한보고서' 표현싸고 마찰
북한의 핵프로그램 신고지연으로 북핵 6자회담이 정체된 가운데 미 국무부의 동아태국과 민주주의.인권.노동국이 북한인권실태에 대한 표현을 놓고 갈등을 벌였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5일 보도했다.

포스트에 따르면 국무부내에서 인권문제를 다루는 민주주의.인권.노동국이 최근 작성한 북한인권보고서의 일부 표현에 대해 한반도 문제를 다루는 동아태국이 제동을 걸었다는 것.

동아태국의 글린 데이비즈 부차관보는 지난 달 29일 민주주의.인권.노동국의 에리카 박스-러글즈 부차관보에게 이메일을 보내 북한인권 보고서의 일부 표현을 바꿀 것을 요청했다고 포스트는 전했다.

데이비즈 부차관보는 당시 이메일에서 북한인권보고서가 완성되면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에서 검토할 수 있는 점을 언급, "(콘돌리자 라이스) 국무장관이 6자회담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음을 감안해 몇몇 형용사를 삭제하기를 바란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애초 보고서에 `억압적인 북한 체제(repressive North Korean regime)'라고 돼 있던 표현은 `북한 정부(North Korean government)'로, `공개처형이 증가했다는 보도가 있다(Reports of public execution were on the rise)'는 구절은 '공개처형이 계속 드러났다는 보도가 있다(Reports of public execution continued to surface.)'라고 바뀌고, 보고서 내용 중 `고립된 국가'라는 표현은 아예 빠졌다고 포스트는 밝혔다.

이 같은 갈등은 민주주의.인권.노동국의 경우 인권문제에 대해 강경노선을 견지하는 반면, 북한 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6자회담을 진행중인 동아태국으로선 가급적 북한을 자극하지 않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연합

LA동부 한인갱‘세불리기’ - 미주 한국일보

대부분 10대후반,‘HKB’등 LA서 활동무대 옮겨

LA카운티 동부 샌개브리엘 밸리에서 한인 청소년 갱이 활개를 치고 있다.
LA카운티 셰리프국에 따르면 지난 4-5년 동안 잠잠했던 한인 갱 단원들의 움직임이 최근들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는 것.
이 관계자는 “한인 청소년들로만 구성돼 있는 ‘HKB’(Hankook Boys)가 로랜하이츠를 중심으로 점차 활동 영역을 넓혀가고 있고 대표적인 중국계 갱인 ‘와칭’(Wa-Ching) 에 가담하는 한인 청소년들도 증가하는 추세”라고 밝혔다.
셰리프국 갱 범죄 전문가들은 한때 LA지역을 무대로 악명을 떨치던 ‘KPB’(Korean Play Boys) ‘LGKK’(Last Generation Korean Killers) 등도 경찰의 강력한 단속으로 두목급들이 각종 범죄혐의로 경찰에 검거되며 와해되는 듯 했으나 최근 한인인구가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 LA동부로 진출해 세 불리기에 나서고 있다.
갱에 가담하는 한인 청소년들은 대부분 10대 후반이며 ‘마이 스페이스’(MySpace) 등 인기 소셜 네트웍 웹사이트에 사진을 게재해 갱 단원을 모집하는 ‘하이텍ㄴ크’ 방식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 찰은 또 남가주 전역에 퍼져있는 ‘와칭’과 필리핀계 갱 ‘제프록스’에도 가담해 활동하는 한인 청소년들이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인더스트리 셰리프 지서의 한 관계자는 “최근에는 한인 갱이나 중국계 갱의 구분이 점점 흐려지며 혼합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며 “LA카운티 동부 아시안 인구가 늘면서 갱 활동도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인을 비롯한 아시안 갱들은 마약 밀매와 주택침입 강도 등의 전통적인 범죄는 물론이고 최근에는 신분도용과 컴퓨터를 이용한 금융범죄, 주택가 마리화나 재배 등 다양한 범죄에 손을 대고 있다.
한 경찰 관계자는 “아시안 갱들은 흑인이나 라티노 갱들과는 달리 활동구역이 한정돼 있다”며 “인터넷을 통한 멤버 모집 등 사이버 활동에 능하고 범죄로 벌어들인 돈을 또 다른 범죄에 이용하는 등 지능적으로 조직을 운영하는 특징이 있다”고 밝혔다.
<김연신 기자>

논문 이중게재 원천 봉쇄된다 - 전자신문

논란이 됐던 논문 이중게재, 연구비 이중지원 등이 원천 봉쇄된다. 대학 및 연구기관의 논문 게재실적, 지식재산권, 연구비 수혜 등 각종 연구 업적 정보가 통합 관리시스템으로 구축되기 때문이다.

  한국학술진흥재단(이사장 허상만 www.krf.or.kr)은 서울대학교·고려대학교·연세대학교 등 총 156개 연구기관과 협력해 ‘국가 연구업적 통합정보(KRI:Korean Researcher Information)’ 시스템을 구축, 오는 31일 본격 서비스한다고 밝혔다. 시스템이 가동되면 각 분야 연구자들은 관련 연구 업적 정보를 대학과 학술진흥재단에 각각 등록할 필요가 없어지고, 대학은 소속 연구자들의 정보를 쉽고 빠르게 제공받아 행정업무 부담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특히 이 시스템으로 교수의 연구실적이 통합 관리됨에 따라 논문 중복게재, 연구비 이중 지원 등 도덕성 논란이 사라지게 될 전망이다.

학술진흥재단은 재단과 대학 등 연구자들의 연구업적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이를 국가적 차원에서 통합 관리·제공하기 위해 KRI 시스템을 지난해 2월부터 구축해 왔다. 지난 1월 1일 중앙대학교를 비롯한 8개 기관이 시범 서비스를 오픈한 데 이어 31일부터는 156개 기관이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허상만 학술진흥재단 이사장은 “KRI 시스템은 자료의 정확성과 적시성이 부족했던 기존 시스템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했을 뿐 아니라, 학술지 인용정보, 특허정보 DB와 연계해 정보의 신뢰성도 확보하게 됐다”며 “연구자들의 연구업적 관리와 학술적 정책 수립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했다.

 한편 학술진흥재단은 25일 서울 프라자호텔에서 박종구 교육과학기술부 차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KRI 서비스 오픈 기념식’을 갖는다.

 전경원기자@전자신문, kwjun@etnews.co.kr

2007년도 출판 통계 - 한국경제 (보도자료)

(서울=뉴스와이어) 2008년02월04일-- 대한출판문화협회(회장 박맹호)는 국립중앙도서관 및 문화관광부, 국회도서관의 납본업무를 대행하고 납본된 도서를 기준으로 출판 통계를 집계하고 있는 바, 지난 한 해(2007. 1. 1. ~ 12. 31.) 동안 출협을 통해 납본된 신간 도서(정기간행물은 제외)의 발행량 및 분야별 현황, 평균 정가, 평균 면수 등은 다음과 같다.

2007년 신간 발행량

지난 한 해 동안 대한출판문화협회를 통해 납본된 자료를 집계한 결과 신간 도서의 발행량은 총 4만 1,094종(만화 포함)이며, 발행부수는 1억 3,250만 3,119부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발행 종수는 9.7%(▼4,427종)로 감소하였으며, 발행부수는 17.1%(▲19,363,492부)증가한 수치이다. 한편 종당 평균 발행부수는 3,224부, 한 권당 평균 책값은 1만 1천 872원, 평균 책의 면수는 266쪽으로 집계되었다. 평균 발행부수는 29.7%, 평균 정가는 2.8%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분야별 발행 종수 현황

발행 종수는 총 4만 1,094종이 발행되었다. 이 가운데 총류 분야가 102% 증가하여 가장 크게 늘어난 분야로 나타났다. 이밖에 철학 29%, 종교 13%, 아동 9% 순으로 늘어났는 바, 일반이 쉽게 접할수 있는 철학.종교도서의 발행과 독서로 이어졌다는 점을 보여주며, 세 분야를 제외한 다른 분야는 전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속적인 출판 경기 불황의 현실을 단적으로 보여준다고 볼 수 있다.

분야별 발행 부수 현황

발행 부수의 경우 총 1억 3,250만 3,119부로 집계되어 전년(1억 1,313만 9,627부) 대비 17.1%의 증가를 보였다. 전년 대비 가장 많이 늘어난 분야는 아동 분야로 무려 168.9%의 대폭적인 증가를 보였으며, 이는 아동도서의 홈쇼핑 판매 확대 및 전집 등 방문판매의 활성화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대표적인 독서문화 세대라 볼 수 있는 386세대의 자녀 독서교육 중요성에 힘입어 대량판매로 나타난 것이라 볼 수 있다. 이밖에 총류(119.4%), 철학(25.3%) 등이 상승하였고, 다른 분야는 발행 종수와 마찬가지로 전반적으로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발행부수가 가장 많은 분야로는 아동으로 5,674만 7.059부가 발행되어 전체 발행부수의 50.16%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만화(15.99%), 문학(15.31%), 학습참고(11.85%), 사회과학(8.22%) 순으로 집계되었다...

La Corée du Nord critique les manifestations au Tibet - nouvelobs.com

La Corée du Nord critique les manifestations au Tibet
AP | 20.03.2008 | 05:24

La Corée du Nord, fidèle alliée de la Chine, a critiqué jeudi les manifestations au Tibet qui tentent selon elle de saper l'organisation des Jeux olympiques de Pékin en août prochain.

Le ministère des Affaires étrangères nord-coréen "dénonce avec fermeté les éléments peu recommandables" qui cherchent à obtenir l'indépendance du Tibet, peut-on lire dans un communiqué.

La Corée du Nord, pays très dépendant de la Chine en matière d'aide énergétique et alimentaire, avait ces derniers jours affirmé qu'elle soutenait les efforts mis en oeuvre par Pékin afin de maintenir la stabilité et l'état de droit au Tibet. AP

[경제시평―김종걸] 한·미 FTA 이후 할 일 - 쿠키뉴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는 이미 공식 서명된 바 있다. 양국 통상장관은 2007년 6월30일 미 의회에서 한·미 FTA 서명식을 갖고 2006년 2월부터 17개월간 진행돼온 협상을 마무리했다. 이제 공은 양국 의회로 넘어갔다. 한국정부는 지난해 12월 비준동의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적어도 금년 4월 이명박 대통령의 방미를 계기로 쇠고기시장 전면개방, 그리고 미국의회에 대한 '압박'이라는 명분에 입각한 한·미 FTA 비준 논의가 급물살을 탈 가능성이 크다. 이미 '판도라의 상자'는 반쯤 열려버렸다. 이것을 다시 닫아야 하는지, 아니면 활짝 열어야 하는지, 한국사회가 가진 시간은 그리 많지 않다.

필자는 한·미 FTA 그 자체가 한국경제 발전의 '묘약'도 또한 '독약'도 아니라고 생각한다. 협정문으로만 본다면 제도의 '선진화'를 위한 '묘약'으로도, 혹은 한국사회의 '공공성' 영역이 심각하게 침해당할 수 있는 '독약'으로도 읽힐 수 있다. 오히려 더욱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는 것은 '정책검증의 무신경 구조'와 단순한 '시장만능주의적 사고방식'이 한·미 FTA와 연계되었을 때 나타나게 되는 사회적 파괴력에 있다. 1300여 쪽에 달하는 협정문은 사방이 지뢰밭이다. 각각의 내용이 한국의 경제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제대로 된 평가 및 대응작업도 없이, 그냥 "미국의회의 비준에 압력을 넣기 위해서", 혹은 "한국경제 선진화의 계기"라는 상황적 논리, 추상적 논리로 한·미 FTA를 밀어붙이려 하는 것은 바로 한국사회의 '정책검증의 무신경구조'를 그대로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