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rcredi 2 juillet 2008

Le Programme alimentaire mondial va quadrupler son aide à la Corée ... - Le Monde

TOKYO CORRESPONDANT

Le Programme alimentaire mondial (PAM), organisme des Nations unies, a annoncé, lundi 30 juin, le quadruplement de son aide alimentaire à la République populaire démocratique de Corée (RPDC). Une décision qui confirme la gravité de la pénurie dans ce pays en raison de la perte d'une partie des récoltes consécutive aux catastrophes naturelles de l'été 2007, et d'une réduction de l'assistance chinoise et sud-coréenne.

Des équipes du PAM poursuivent leur mission d'évaluation à travers le pays mais, d'ores et déjà, la situation est "très sérieuse et se détériore dans certaines régions et, à l'intérieur de celles-ci, parmi les groupes de la population les plus vulnérables", déclare au Monde Jean-Pierre de Margerie, directeur de l'organisation onusienne pour la RPDC, contacté par téléphone à Pyongyang.

En avril, le PAM avait "tiré la sonnette d'alarme" en faisant état d'un risque de nouveau "drame humanitaire".

PERTE DES RÉCOLTES

Depuis 2005, à la demande de Pyongyang, l'organisme des Nations unies avait réduit ses opérations d'urgence et venait en aide à 1,2 million de personnes (sur une population de 23 millions). Dans les prochains mois, son aide devrait toucher 5 millions de personnes. Selon le PAM, 6,5 millions de personnes souffrent actuellement de malnutrition en Corée du Nord, et dans certaines régions reculées a commencé une véritable famine.

La perte des récoltes due aux inondations de l'été 2007 s'élève à 1,6 million de tonnes sur les 6 millions nécessaires pour nourrir la population. Entre 1996 et 1998, la famine avait fait près d'un million de victimes en RPDC.

La décision du PAM intervient alors que les premières livraisons d'assistance alimentaire américaine (37 000 tonnes de céréales) sont arrivées, dimanche, au port de Nampo, sur la côte ouest. Les Etats-Unis avaient promis, début juin, de reprendre leur aide alimentaire à la RPDC, suspendue depuis deux ans et demi, en lui fournissant 500 000 tonnes de nourriture sur une année. Une partie de la cargaison sera déchargée à Chongjin, port de la partie septentrionale de la côte est, une région durement affectée par la pénurie.

Mercy Corps, organisation humanitaire américaine, enverra pour sa part une aide de 100 000 tonnes dans les provinces du nord-ouest (Chagang et Pyongan du Nord). Cet afflux d'aide américaine intervient quelques jours après que la RPDC a fourni la liste de ses programmes nucléaires et détruit la tour de refroidissement de sa centrale atomique de Yongbyon.

Faisant preuve de plus grande flexibilité, le régime a accepté l'envoi de 50 experts supplémentaires du PAM (réduit à une dizaine de personnes) et de donner l'accès à 128 cantons, dont certains étaient jusqu'à présent fermés à l'aide internationale. Le PAM a obtenu du régime de meilleurs moyens de vérifier que l'aide internationale parvient bien à ses destinataires, souligne Jean-Pierre de Margerie.

Philippe Pons

Corée du Sud: Manifestations contre les importations de boeuf ... - CCTV.com

En Corée du Sud maintenant, des milliers de manifestants ont affronté des policiers anti-émeutes à Séoul. Ils protestaient contre la décision du gouvernement sud-coréen de lever l'interdiction sur les importations de boeuf américain. La vague de protestations de samedi coïncide avec la visite de la Secrétaire d'État américaine Condoleezza Rice à Séoul.

La visite de Condoleezza Rice à Séoul survient une journée après la destruction par Pyongyang de la tour de refroidissement de sa principale installation nucléaire.

Mais les Sud-Coréens sont moins préoccupés en ce moment par le vieux problème nucléaire de la péninsule coréenne que par la décision de Séoul de lever l'interdiction sur les importations de boeuf américain pour améliorer ses rapports avec Washington.

Selon les policiers, environ 13 mille personnes se sont réunies dans la capitale samedi pour manifester.

En soirée, les manifestants ont affronté les policiers. Ces derniers ont utilisé des canons à eau et des extincteurs d'incendie pour disperser la foule.

La police a installé des barricades et utilisé des autobus pour empêcher les manifestants de marcher jusqu'au bureau présidentiel.

La Secrétaire d'État américaine a déclaré que le boeuf américain était sans danger. Elle a encouragé les Sud-coréens à accepter la décision de leur gouvernement concernant la levée de l'interdiction.

Condoleezza Rice, Secrétaire d'État américaine

"Nous coopérons étroitement, et nous allons continuer de coopérer étroitement concernant les préoccupations de la population coréenne à propos du boeuf américain. Je veux rassurer tout le monde: le boeuf américain est sans danger."

Le boeuf américain a été interdit en Corée du Sud pendant la presque totalité des 4 dernières années et demie, soit depuis la découverte du premier cas de maladie de la vache folle aux États-Unis à la fin de 2003.

Séoul a recommencé à importer du boeuf américain après que les producteurs américains se furent engagés à n'envoyer que de la viande provenant de bovins de moins de 30 mois. On considère que ces derniers sont moins susceptibles de contracter la maladie de la vache folle.

Fei Lipu, CCTV

Les ministres du G8 appellent la Corée du Nord à désarmer - Edicom

Les ministres du G8 appellent la Corée du Nord à désarmer

Les ministres des affaires étrangères du G8 ont réclamé l'abandon des programmes nucléaires en Corée du Nord et en Iran. Le jour même, Pyongyang a fait un nouveau geste dans cette direction, en rasant une tour de refroidissement de son réacteur de Yongbyon.

Après une réunion de deux jours dans l'ancienne capitale impériale de Kyoto (centre-ouest du Japon), les huit ministres ont envoyé un message fort à la Corée du Nord et à l'Iran pour qu'ils renoncent à leurs programmes d'enrichissement d'uranium. Ils ont notamment appelé Téhéran à coopérer avec l'Agence internationale de l'énergie atomique.

S'agissant de la Corée du Nord, les ministres ont jugé que la déclaration remise jeudi par Pyongyang sur son programme nucléaire était un "pas important pour parvenir à (...) l'abandon de toutes les armes atomiques et des programmes nucléaires en cours". La secrétaire d'Etat américaine Condoleezza Rice a toutefois souligné que le processus de désarmement serait "encore très long".

Les Huit ont en outre demandé à la Corée du Nord de trouver une solution rapide à la question des Japonais enlevés par les services secrets nord-coréens dans les années 70 et 80. Cette question empêche toute normalisation entre Tokyo et Pyongyang.

Dans un nouveau geste fort envoyé aux puissances occidentales, la Corée du Nord a procédé, en présence d'un représentant du Département d'Etat américain et de médias étrangers, à la démolition d'une tour de refroidissement de son site nucléaire de Yongbyon.

SDA-ATS News Service

Le travail, c'est la galère pour les jeunes Coréens - France24

Par Nathalie Tourret / FRANCE 24

"La lessive", une comédie musicale pas tout à fait comme les autres, remporte un énorme succès en Corée du Sud. Au-delà de ses qualités artistiques, cette pièce parle, en effet, d’un sujet qui préoccupe la société coréenne : la précarité des jeunes.

Pour le producteur de la pièce, Kim Hui-won, la réalité est si difficile qu’il était indispensable de traiter ce sujet: "A Séoul, il y a de plus en plus de travailleurs immigrés et de jeunes Coréens qui se trouvent dans une situation précaire. Le problème est grave, il faut en parler." Dans la salle, le public est jeune et cette pièce, qui raconte la vie dans des habitations en sous-sol, les brimades des employeurs, les salaires impayés et les licenciements abusifs, lui parle.

Un des spectateurs explique à FRANCE 24 qu’en Corée, beaucoup de gens sont pauvres, ont des problèmes d’emploi ou de logement. "C’est un problème en hausse, depuis longtemps", dit-il. Il est de plus en plus difficile, en Corée, de trouver un emploi fixe : en 2006, les précaires représentaient 35,5% de la main-d’œuvre.

Leur revenu est en moyenne 40% plus faible que celui des employés réguliers. A 24 ans, Park Kon-ah, possède un diplôme de restaurateur en hôtellerie. Mais il n’a pu trouver d'emploi que dans un fast-food. "Je n’ai pas pu trouver un travail fixe qui m’apprenne à cuisiner", raconte-t-il. "C’est pour ça que je suis là. L’été, je peux travailler comme cuisinier mais le reste de l’année, c’est impossible."

Kon-ah gagne moins de trois euros de l’heure. Moins encore pour Min Jeong-hyon. Cette jeune fille a 24 ans. Un diplôme d’architecte en poche, elle doit se contenter d’un "arbeit", un petit boulot. Elle travaille entre cinq et onze heures par jour chez Baskin-Robbins. "Tout le monde veut un meilleur travail, mais il n’y en a pas, c’est ça le problème", déplore-t-elle.

Ces dernières années, en effet, les entreprises coréennes ont généré peu d’emplois, hormis des métiers manuels, à bas salaires. Seuls les CV des diplômés des universités les plus prestigieuses intéressent les grandes sociétés. Kim Ta en a fait les frais. Diplômée en design, après deux ans d’études, elle n’a pu trouver qu’un emploi précaire, sous forme de stage. Elle raconte : "En Corée, il y a ceux qui font de longues études supérieures et les autres. Je fais partie des autres et je n’ai donc pas pu entrer dans une grande entreprise. Je gagnais à peine 500 euros par mois, moins que le salaire minimum. Je faisais tellement d’heures supplémentaires, non payées d’ailleurs, que je devais parfois dormir au bureau. Il n’y avait même pas une salle de bain pour se laver."

Une loi est entrée en vigueur en juillet dernier qui stipule qu’un emploi précaire doit être automatiquement transformé en contrat à durée indéterminé au bout de deux ans. Pour les syndicats, c’est en fait une manière de légaliser cette précarité.

[한성일]다문화시대를 살아가는 법 - 중도일보

최근 한국언론재단 지역신문발전위원회의 제1차 공동기획취재 기자단에 선정돼 `다문화사회 공생 대안은 무엇인가`를 주제로 한 국내연수교육에 참여했다. 2박3일간의 워크숍을 통해 다문화 사회로 이행하고 있는 우리나라 현실을 직접 체감할 수 있었다.

그중 베트남 이주여성 후인마이 사건을 국선 담당했던 최권주 변호사의 사건분석은 가히 충격적이었다.
지난해 6월 천안시 문화동 지하 1층에서 베트남 이주여성 후인 마이(19)가 한국인 남편 장모씨(48)에 의해 무차별 폭행당한뒤 잔인하게 피살 당한 사건이 바로 그것이다. 가난을 피해 한국에 온 외국인 이주여성들은 한국에 가면 잘 살고 돈을 많이 번다는 막연한 환상을 갖고 결혼에 임했다가 자신이 꿈꾸던 이상과는 전혀 동떨어진 생활을 견디지 못하고 파경에 이르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주여성들과 결혼하는 한국남성들은 자신의 형편에 부담하기 과한 결혼비용을 지출해 늘 피해의식을 갖고 있는데다 아내가 도망갈 것이라는 염려를 갖고 있어 거의 감금하다시피 하고 언어가 소통되지 않는 상황에서 서로에 대한 오해와 불신은 폭력사태를 양산, 크나큰 비극으로 치닫고 있는 예가 허다하다.

법무부 출입국과 외국인정책본부, 체류외국인 현황 발표에 따르면 우리나라 체류 외국인이 현재 100만명을 넘어섰고 한국사회는 다인종, 다문화사회로 급속히 진전하고 있다. 농촌지역과 도시지역에는 국제결혼 알선업체를 통해 유입된 베트남, 필리핀, 태국, 중국, 우즈벡 출신 이주여성들이 약 20만여명에 이르고 있지만 국내에서 사회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고 이들 다문화 가족 자녀들 역시 사회통합,개인의 정체성 문제에 노출될 위험에 놓여있다.

여성결혼이민자들은 후인마이사건에서 보듯이 인격권을 보장받지 못하고 다양성과 평등성과는 거리가 먼 현실속에서 피해를 당하고 있는 상황이다. 인권유린적 단속과 강제추방속에서 노동3권의 보장도 받지 못하고, 태국 여성 노동자 8명의 과다 노말 헥산 노출로 인한 앉은뱅이병 사건인 노말 헥산 사건에서 보듯이 외국인근로자 산재는 허다하게 일어나지만 근본적인 대책이 마련돼 있지도 못하다. 이주여성노동자의 경우는 저임금과 장시간 노동외에 성폭력. 가정폭력 문제 역시 심각하다....

역사상 서해안 중심은 인천 - 기호일보

市역사자료관-민관학회 '바다와 섬'학술대회

2008년 06월 26일 (목) 20:57:45 최유탁 기자 cyt@kihoilbo.co.kr

서해안을 중심으로 발달했던 인천의 해양문화와 그 여러 가지 양상, 과거부터 현재까지 인천인의 생활 모습 등 바다와 150여 개의 섬을 가진 인천의 역사·민속학적 생활상을 두루 살펴보는 자리가 마련됐다.
인천시역사자료관은 26일 오후 3시 인천시종합문화예술회관 국제회의실에서 어윤덕 인천시 정무부시장, 하석용 유네스코인천협회장, 김윤식 인천문인협회장, 한창원 본보 사장, 강옥엽·강덕우 인천시역사자료관 전문위원, 시민, 학생 등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한국역사민속학회’와 공동으로 ‘제5회 학술대회’를 개최했다.

‘바다와 섬, 인천에서의 삶’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학술대회는 주강현 (재)해양문화재단부설 해양문화연구소장의 ‘인천항, 제국의 항구에서 근대의 풍경으로’라는 제목의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문을 열었다.

기조강연의 이어 배성수 인천시립박물관 학예연구사의 ‘해양과 방어체제-조선후기 관방을 중심으로’, 임학성 인하대 한국학연구소 연구교수의 ‘해양주민의 삶-19세기 후반 영종도를 중심으로’, 정연학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의 ‘해양문화와 어로생활-어구제작을 중심으로’, 이영태 인하대 BK21 연구교수의 ‘어업노동요, 복선율의 등장과 소통의 즐거움’ 등의 주제발표로 이어졌다.

특히 주제발표에서는 한국사에서 인천지역이 갖는 지리·공간적 위상과 그 역사적 의미를 검토해 보고, 이를 통해 한국사학계에서나 인천시민들이 인천 지역사 연구에 관심을 갖게 하는 계기가 됐다는 평이다.

강옥엽 인천시역사자료관 전문위원은 “이번 학술대회를 통해 이미 서해안의 중심지로 기능했던 인천의 해양문화와 그 여러 가지 양상을 천착해봄으로써 과거부터 현재까지 인천인의 생활 모습을 총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일제시대 소설 쓴 한국 주둔 그리스용사 할바차키스씨 - 매일경제

1953년 겨울 6ㆍ25전쟁 상흔이 채 아물지 않았던 한국. 당시 24세였던 콘스탄티노스 할바차키스는 유엔군 산하 그리스군 소대장으로 한국에 왔다. 휴전 협정이 이루어지긴 했지만 전쟁을 피해 떠나야 했던 사람들이 당시 서울로 몰려드는 등 혼란이 여전했던 시기였다. 이 젊은 장교는 시간이 날 때마다 그리스 정교회 성당이 있던 서울 정동 근처를 돌아다니며 피란민들을 만났다. 어느 날 그는 이들 이야기를 언젠가 글로 옮겨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로부터 14년 뒤인 1967년. 할바차키스는 한국을 다시 찾아 6개월간 머물렀다. 하지만 이번엔 군인이 아니라 그리스 정교회 신부라는 신분이었다. 고향으로 돌아간 이듬해인 1955년 정교회에서 정식 사제로 임명되었던 것. 그는 한국에 와서 예전에 했던 결심을 실행에 옮기기 시작했다. 그리고 그때 들었던 한국인들에 관한 이야기에다 새로운 기록을 보충해 한국 역사를 다룬 소설을 탈고했다. ...

한국 은퇴후 예상소득, 퇴직전 41% 불과 - 아시아경제

한국 근로자 가구의 은퇴 이후 연간소득은 직장생활을 할 당시 받던 수준의 4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은퇴 후 삶에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생활자금은 은퇴 직전 받던 소득의 62%로 조사돼 목표소득과 실제소득의 차이가 21%포인트에 달했다.

피델리티자산운용은 1일 자사의 모델을 토대로 서울대 생활과학연구소 은퇴설계지원센터와 함께 조사한 한국의 은퇴준비지수를 발표했다.

조사결과 한국 근로자 가구의 은퇴 이후 예상되는 소득이 은퇴 직전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인 은퇴소득대체율은 41%로 미국(58%), 독일(56%), 영국(50%), 일본(47%) 등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다.

한국에서 은퇴 이후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소득 수준인 목표소득대체율 역시 62%로 미국(85%), 독일(70%), 영국(67%), 일본(69%) 등에 비해 낮았다.

이번 조사에서 2인 근로자 가구를 대상으로 부부가 기대수명까지 함께 생존한다고 가정했을 때, 은퇴 이후 필요한 연간소득은 2529만원이었지만 예상되는 소득 수준은 1666만원으로 나타났다.

은퇴 후 예상 소득에는 공적연금, 퇴직금, 개인연금 및 저축 등이 반영됐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20대의 목표소득과 은퇴소득대체율 격차는 17%인 반면 50대의 경우 그 차이가 28%로 늘어나는 등 나이가 들수록 필요자금과 예상소득의 괴리가 큰 것으로 조사됐다.

데이비드 프라우드 피델리티자산운용 대표는 "피델리의 국제적 경험과 전문성 및 노하우가 집적된 금융상품을 한국 시장에 맞게 들여올 예정"이라고 말했다.

피델리티운용은 퇴직연금 비즈니스와 함께 은퇴준비를 돕는 데 필요한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해 한국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한다는 계획이다.

노 지리 사토시 피델리티 은퇴연구소 소장은 "일본은 고령화 사회에서 고령사회로 진입하는 데 20년 이상 걸렸지만 한국은 그보다 짧게 진행될 것"이라며 "지난해부터 일본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가 본격화되면서 퇴직금이 은행에 집중되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일본은 은퇴이후 모든 연령대에서 목표소득대체율이 은퇴소득대체율보다 높아 우려스럽다"면서 "한국은 아직 시간이 있으므로 가능한 빨리 투자를 통해 필요자금과 예상소득의 격차를 메워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경진 기자 shiwall@asiaeconomy.co.kr

‘독도 종합연구’ 심층 리포트 나왔다 - 동아일보

2004년부터 4년간 조류 식물 토양 대기 등 학술조사

■ 동아꿈나무재단 후원 ‘독도 심포지엄’

천연기념물 336호인 독도는 지리적으로뿐만 아니라 생태와 자연자원의 보고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 것으로 조사됐다.

독도를 다각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독도·울릉도 종합학술심포지엄’(자연보호중앙연맹 주최, 동아꿈나무재단 환경부 경북도 부산실업㈜ 공동 후원)이 20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 호암교수회관 수련홀에서 열렸다.

이날 심포지엄에서 조류 곤충 식물 해조류 토양 대기 인류문화 등을 전공하고 있는 각계 전문가들은 2004년부터 4년간 진행한 독도·울릉도 자연실태 종합 학술조사를 통해 얻은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단장인 이수광 자연보호중앙연맹 총재는 “1981년 정부 주도로 독도의 자연실태 조사가 처음 이뤄진 이래 개별적인 연구는 있었지만 종합적인 접근은 부족했다”며 “이번 결과는 앞으로 독도의 변화상을 파악할 때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

일본 정탐꾼이 본 1893년 조선 - 문화일보

조선잡기 / 혼마 규스케 지음, 최혜주 역주 / 김영사
김승현기자 hyeon@munhwa.com
조선의 운명이 풍전등화에 처했던 1893년 조선 침략의 첨병이었던 혼마 규스케(本間久介·1869~1919·필명 여수거사·如囚居士)의 조선 정탐기. 그는 부산에 머물면서 경성, 중부, 황해도와 충청지방까지 염탐, 1894년 일본의 이륙신보에 두 달간 연재한 뒤 154편의 글을 묶어 책으로 펴냈다. 그는 한국이 4000년이나 된 오랜 역사의 나라로 일본 상대(上代)의 개화를 이끈 나라이나 독립한 적이 드물고, 볼만한 것도 없다고 잘라 말했다.

그가 기록한 내용을 보면 정말 그런 생각도 든다. 어린아이 필독서인 동몽선습에 중국을 중화라고 하고 스스로를 소중화로 칭하는 등 사대풍습의 유래가 멀다고 지적했다. 한인은 정직하다기보다는 단순하고, 희로애락은 현금적이다, 눈앞에서는 은혜에 감동하고 위엄에 복종하지만 조금 있으면 모두 잊어버려 알지 못한다고 말했다.

또 조선의 무예는 궁술밖에 남아있지 않고 상하가 어두워져 기개가 이미 죽었다고 평가했다. 한인은 스스로 칭하여 예의의 나라라고 하는데 대개 허례(虛禮)이고, 실례(實禮)는 빈약하다. 정치적인 눈으로 시찰하면 조선사람은 어둡고 낮잠 속에 있다고 평가했다. 언어와 풍습, 문화, 지리, 제도 등에 대한 다양한 조사와 명료한 분석이 부분적으로 현재에도 들어맞는 부분이 있어 정신이 번쩍 든다.

김승현기자 hyeon@munhwa.com

기사 게재 일자 2008-06-20

동의보감 등 6건 보물지정 예고 - 매일경제

이순신 선무공신교서 등 5건은 보물지정
문화재청은 동의보감, 영천 은해사 순치 3년명 금고(順治 3年銘 金鼓), 안동 보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및 복장(腹藏)유물 등 6건을 보물로 지정예고했다고 27일 밝혔다. 동의보감은 허준 등이 선조의 명을 받아 중국과 우리나라의 의서들을 모아 집대성한 한의학 백과사전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25권) 및 규장각 한국학연구원(24권)에 소장돼 있다.

영천 은해사 순치 3년형 금고는 규모가 크고, 표현수법이 섬세한데다 예술성마저 뛰어나 17세기 전반기 금고의 면모를 알려준다는 점에서 보물로 지정예고됐다.

또 안동 보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은 13세기 전반기에 만들어진 보살상으로 추정되는데 이 시기 보살상이 거의 남아 있지 않다는 점에서 그 자료적 가치가 크다. 보살상 안에는 10종 194점에 이르는 복장유물이 나왔다.

이밖에 서산 문수사 금동여래좌상 복장유물은 고려말에 제작된 복식과 각종 직물류 및 팔엽통 등의 유물로 이뤄져 있어 학술적 가치가 상당하고, 청자 양각연판문 접시는 고려시대 청자 접시의 진수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지난 2003년 집중호우 때 발견된 마애불좌상은 기존의 영주 가흥리 마애삼존불(보물221호)과 함께 '영주 가흥동 마애삼존불 및 마애여래좌상'으로 명칭이 변경 돼 보물로 지정예고됐다.

문화재청은 8월 둘째 주 문화재위원회를 통해 이 문화재들의 보물 지정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한편 문화재청은 지난 4월 지정예고한 이순신 선무공신교서(宣武功臣敎書.1564호)'와 부여 무량사 소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塑造阿彌陀三尊佛像.1565호), '여수 흥국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ㆍ시왕상(木造地藏菩薩三尊像ㆍ十王像.1566호), '지장보살본원경(地藏菩薩本願經.1567호)',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大方廣圓覺脩多羅了義經.1219-(2)호)' 등 모두 5건의 문화재를 국가지정문화재인 보물로 이날 지정했다.

buff27@yna.co.kr

(서울=연합뉴스) 송광호 기자

[철종의 결혼식 그림에는 철종이 없다] - 매일경제

이성미 교수 '가례도감의궤' 연구 집대성

조선 인조의 아들 소현(昭顯)은 인조 3년(1625) 세자에 책봉되고 열다섯살이 된 2년 뒤에 강씨와 결혼했다. 그의 결혼식이 어떠했는지를 우리는 비교적 생생한 자료로 만날 수 있는데 이 때의 결혼식 장면을 파노라마처럼 그림으로 기록한 의궤(儀軌)라는 자료가 남아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왕실 혼례 장면을 담은 의궤를 '가례도감의궤'(嘉禮都監儀軌)라고 한다.

한데 결혼식은 순간에 일어나는 일이 아니다. 신부의 간택에서 시작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그래서 이런 일련의 과정은 중요한 순간순간을 포착해 시간 순서대로 나열할 수밖에 없다.

소현세자 가례도감의궤는 현존 가례도감 중에서도 연대가 가장 오래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자못 크다.

이런 의궤의 흐름을 정리하다 보면 조금은 재미있는 현상이 발견된다. 즉, 후대로 내려올 수록 의궤 또한 규모가 장대해 진다는 점이다. 소현세자 결혼식 '사진'은 그래서 8장에 지나지 않는다.

검소함을 몸소 실천한 이로 유명한 영조. 그는 "요즘 사치풍조가 날로 성행하니 마땅히 왕공(王公)이 솔선수범해야 하지 않겠는가"라는 말과 함께 훗날 정조가 되는 왕세손 이산의 혼례를 검소하게 치르라고 명령했다.

그의 결혼식 장면 또한 의궤로 남아있는데 그것을 분석했더니 그의 결혼식 행렬에는 총인원 394명에 92필의 말이 동원되었다.

그러던 것이 철종 시대가 되면서 장대한 행렬로 발전한다. 1851년에 작성된 그의 가례도감의궤는 우선 면수가 총 92면으로 늘었는가 하면 이에 등장하는 행렬 규모 또한 총인원 1천922명에다가 말은 559필이나 된다.

조선은 후기로 갈수록 국력이 약해졌다는 것이 통설인데, 이에 따른다면 국력에 반비례해 왕실 결혼식은 더욱 규모가 커졌음을 알 수 있다.

철종의 결혼식 의궤 중 42면은 왕의 가마행렬, 84면은 왕비의 가마행렬이다.

초기 왕실 결혼식 의궤에서는 왕비 행렬만 있다가 영조시대 이후에는 왕까지 등장하게 된다.

한데 철종의 결혼식 의궤를 보면 가마꾼들이 텅빈 의자만을 안치한 채 사방이 뚫린 어가를 메고 가는 장면을 발견할 수 있다. 반면 왕비의 어가는 사면을 가렸으므로 왕비 모습을 그리려 해도 그릴 수 없었음은 말할 나위가 없다.

왜 왕을 그리지 않았을까?

왕은 존엄한 존재이므로 그 모습을 그리는 것 자체가 금기시된 까닭이다. 이런 전통은 비단 조선뿐만 아니라 중국이나 일본과 같은 동아시아 문화권에서는 공통적인 현상이다.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학술지 '기억과 전망' 제18호 발간

(서울=뉴스와이어) 2008년06월17일--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이사장 함세웅) 연구소가 학술지 '기억과 전망'18호를 발간했다.

이번 호는 ‘1970~80년대 민주화운동의 사상과 이념’이란 주제로 모두 4편의 논문을 실어 특집으로 꾸몄다. 특별기고로 민주주의와 관련된 2편의 논문이 실렸으며, 일반논문 4편이 함께 게재되어 있다.

이번 호의 특집은 1970~80년대 등장했던 민주화운동을 그 사상과 이념이란 측면에서 접근하려는 논문들로 꾸려졌다.

첫번째 주제는 ‘정책이념(Policy Idea)으로서 대중경제론의 형성과정에 대한 연구’를 다루는 정상호(한양대)의 논문이다. 이 글은 1971년 대통령선거과정에서 나타난 김대중의 대중경제론을 유권자들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쳤던 성공적인 ‘정책이념’으로 평가하고, 대중경제론이 정치적 기획가로서 김대중의 정치적 역량과 박현채 등 당대 진보적 지식인 그룹의 적극적 연대 속에서 형성되었음을 밝히고 있다.

두번째 논문인 하승우(한양대)의 ‘한국풀뿌리민주주의의 사상적 기원에 관한 고찰’에서는 1970년대에 전개된 빈민운동, 야학운동 등에 영향을 미친 알린스키, 프레이리, 함석헌과 장일순의 사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풀뿌리민주주의의 사상적 기원을 도출하고 있다.

세번째 논문인 김정한(서강대)의 ‘5.18 광주항쟁의 이데올로기 연구’는 5.18광주항쟁을 사회운동이 아닌 대중운동으로 접근하며, 항쟁주체가 현실화시키려 했던 것이 당시의 지배이데올로기인 자유민주주의였음을 출발로 하여 광주항쟁의 이데올로기와 대중운동의 동학을 분석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수인(이화여대)은 ‘1980년대 학생운동의 민족주의담론’이라는 논문에서 80년대 학생운동의 민족주의 담론이 감정적 반미를 거쳐 이념적 반미의 체계화에 이어 유기체로서의 민족통일을 강조하게 되는 과정을 분석한다.

한편 민주화이후 민주주의의 위기가 심각히 제기되는 현실을 짚어보는 두 편의 논문을 특별기고로 게재했다.

'제3의 길과 한국적 중도진보’에서 김호기(연세대)는 한국의 중도진보세력은 제3의 길의 일방적 수용이 아닌 생산적 응용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한국적 제3의 길로서 ‘진보적 중도주의’를 제안하는데, 그 내용은 ‘자유시장경제’가 아니라 ‘조정시장경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기획이다.

'진보좌파의 민주주의, 그 성찰과 전망’에서 장석준(진보신당 정책팀장)은 역사적으로 자유민주주의 자체의 자기파괴성을 제어했던 것은 좌파운동이었음을 보여주고, 한국사회의 ‘민주주의의 위기’역시 좌파운동의 도전이 쇠퇴했기 때문이라고 강조한다.

그 처방으로 연대조직/사회운동의 재구성을 기반으로 형식과 제도가 아닌 이상과 규범으로 정의되는 ‘강한’민주주의를 제시하고 있다.

이외에 일반논문 4편은 다음과 같다. 김원(한국학중앙연구원)은 ‘1971년 광주대단지사건연구’에서 대단지 사건은 일회적, 한계적 사건이 아닌, 정부의 대중정치에 대한 공포를 가져다주었으며, 이들이 사용한 폭력이라는 실천양식은 일상과 과거의 기억과 경험 속에서 이들이 공유한 차별과 억압의 기억이 자연스럽게 표출된 것임을 보여준다.

김보현(성공회대)의 ‘한국 진보정당운동의 내부정치’에서는 한국 진보정당운동의 ‘지체된 성장’을 운동엘리트 내부의 정치에 주목하여 ‘연대의 결여’가 그 중요 요인임을 도출하기 위해 2008년 민주노동당의 분열을 출발로 시계열상 주요 국면들을 거슬러가며 고찰한다.

다음으로 허민영(노동사회교육원)은 ‘비정규직노동자의 조직화를 위한 조건과 과제’에서 부산, 울산지역을 중심으로 설문조사와 사례연구를 통해 비정규직노동자의 조직화를 위해 동원은 물론이고 노조조직 및 제도화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박현희(서울대)는 ‘한국의 참여민주주의 정치과정과 효과’에서 과천시보육조례개정운동과 전남학교급식조례제정운동이라는 두 가지 사례분석을 통해 ‘시민자치형’운동과 ‘정당주도형’운동으로 대별하고 운동발생유형과 주요 참여자, 운동전술, 쟁점해결방식, 운동효과 등의 양상을 비교분석하고 있다.

이번 호의 서평은 ‘5.18 그리고 역사 : 그들의 나라에서 우리 모두의 나라로’ (최영태 외 지음, 2008)를 게재했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소개

민 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한국 민주주의 발전의 핵심 동력이었던 민주화운동 정신을 국가적으로 계승·발전시켜야 한다는 사회적 합의에 따라 제정된 2001년 6월 여야합의로 제정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법(법률 제6495호)에 의해 설립되었습니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민주화운동을 기념하고 그 정신을 계승하기 위한 사업을 수행함으로써 민주주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법 제1조)으로 설립된 공공법인으로 국민과 더불어 민주화운동 기념사업을 수행하는 공공기관입니다.

언론문의처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연구원 김혜진(02-3709-7653)

출처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홈페이지 : http://www.kdemocracy.or.kr


보도자료 통신사 뉴스와이어(www.newswire.co.kr) 배포